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제2절 연구 목적 및 가치
제3절 선행연구 검토
제4절 연구 범위 및 방법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주셴진 목판 연화
1. 판화 및 목판화
2. 주셴진 목판 연화의 개념 및 역사적 발전
3. 주셴진 목판 연화의 제작 과정
4. 주셴진 목판 연화의 보전과 카이펑 박물관
제2절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
1.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2. 도상 해석의 3단계
3. 도상해석의 예시
4. 도상해석학과 주셴진 목판 연화의 연계성
제3장 주셴진 목판 연화의 이미지 해석
제1절 연화 작품의 선정
1. 선정 기준과 대표성
2. 선정 과정
제2절 문신(門神) 연화의 해석
1. 연화 ‘위치공 장군(尉迟恭將軍)’
2. 연화 ‘친총 장군(秦瓊將軍)’
3. 연화 ‘종퀴이(鍾馗)’
제3절 신상(神像) 연화의 해석
1. 연화 ‘션농시(神農氏)’
2. 연화 ‘샹관쌰차이(上官下財)’
3. 연화 ‘지씽까오자오(吉星高照)’
제4절 길상(吉祥) 연화의 해석
1. 연화 ‘푸루쇼우(福祿壽)’
2. 연화 ‘치린송즈(麒麟送子)’
3. 연화 ‘만자이얼꾸이(滿載而歸)’
제5절 희곡(戲曲) 연화의 해석
1. 연화 ‘산냥자오즈(三娘教子)’
2. 연화 ‘텐어파이(天河配)’
3. 연화 ‘따오시엔차오(盜仙草)’
제4장 목판 연화의 본질적 의미 및 해부도 제시
제1절 문신 연화의 본질적 의미
1. ‘위치공 장군’의 본질적 의미
2. ‘친총 장군’의 본질적 의미
3. ‘종퀴이’의 본질적 의미
제2절 신상 연화의 본질적 의미
1. ‘션농시’의 본질적 의미
2. ‘샹관쌰차이’의 본질적 의미
3. ‘지씽까오자오’의 본질적 의미
제3절 길상 연화의 본질적 의미
1. ‘푸루쇼우’의 본질적 의미
2. ‘치린송즈’의 본질적 의미
3. ‘만자이얼꾸이’의 본질적 의미
제4절 희곡 연화의 본질적 의미
1. ‘산냥자오즈’의 본질적 의미
2. ‘텐어파이’ 및 ‘따오시엔차오’의 본질적 의미
제5절 연화 해부도 및 활용 방향
1. 해부도 제시
2. 연화 해부도의 활용 방향
제6절 소결
제5장 결론
제1절 결론 및 시사점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