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선법의 명칭과 약문자 예(例)
ㅡ 강원도의 상부소리 ㅡ
(1) 강원도 상부소리 녹음지역 〈그림 1 ~ 21〉
(2) 장례 전날(葬禮前日)부터의 풍속요(風俗謠)
(2.1) 초혼, 반함, 곡(哭) 등
(2.2) 대맞이, 말멕이기, 사시랭이 불림.
(2,3) 발인축 등
(3) 하직소리, 운상(運喪)소리
(4) 달구질소리
(5) 귀가길 진사놀이
(6) 강원도 무형유산 제4호 횡성 회다지소리와 제26호 양양 수동골 상여소리
(7) 두마디 비넘차류 어이야가리 지역의 논매기소리
(8) 오조밭에 새 들었네, 우여
(9) 강원도 상부소리의 특색
# 강원도 각 시군의 상부 악보
〈그림 1 ~ 20〉 녹음지역
〈그림 21〉 강원도에서 회다지기 마치는 신호로서의 우야소리 지역
부록 1. ㅡ 서울특별시의 상부소리 (Funeral Songs of Seoul)ㅡ
강서구 마곡동/ 강동구 암사동/ 은평구 갈현동
부록 2. ㅡ 인천광역시의 상부소리 (강화군, 옹진군. 내륙)
강화군/ 옹진군 / 인천광역시 중구, 서구 일부지역/
인천광역시 문화유산 제1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