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책을 내면서
미술가는 두 가지 형식의 삶을 사는 것 같습니다
미술가가 오히려 자신을 더 모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책을 쓰면서
미술가의 창의적 도전은 개인적 모험인가?
삶에 대하여 미술가들이 주는 대답은?
예술정책은 문화정책이다
1장ㆍ미술가는 어떤 사람인가?
직업으로써 미술가
전문가로서 미술가
창조자로서 미술가
미술가는 직업으로 어떻게 제도화되었나?
미술가는 노동자인가?
스스로 노동하는 미술가
작품에 스며든 미술가의 노동 가치
2장ㆍ미술가의 삶
무료 전시는 미술가에 대한 사회적 착취의 한 형태
‘미술가의 휴가비’는 누가 지급하나?
미술가, 사회적 권리와 의무
시민의 예술 소비권을 위한 미술가의 권리
3장ㆍ미술시장에서 미술가
미술시장은 미술가를 어떻게 보나?
미술시장과 작품가격
미술시장을 키우는 보이지 않는 힘
투자 대상으로써 미술품
미술가에게 어떻게 투자하는 것이 좋을까?
미술시장의 경제 원리
미술품도 개인에 맞는 소비가 가능할까?
4장ㆍ현대사회에서 미술은 왜 필요한가?
미술은 현대 사회의 풍요로움에 기여하는 힘
미술, 우리가 기대하는 것
미술, 함께 나누어야 할 가치
미술, 변화를 따라가려면
5장ㆍ미래를 이끄는 미술의 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술
미술, 우리를 먹여 살릴 수 있습니다
미술 산업, 미술 기업가
미술은 국가적 문화콘텐츠
6장ㆍ미술가의 성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미술가 인큐베이팅
미술, 더 쉽게 즐기기 위해서
당연한게 당연하지 않은 ‘아티스트 피’
7장ㆍ지역 미술을 살려야 지역이 삽니다
지역의 특색 있는 미술
지역의 공공 미술 컬렉션
미술의 힘, 교육 자치가 키운다
지역 미술 생태계 구축을 위하여
지역 미술 발전을 견인할 플랫폼
우리 마을에 작은 미술관을 세우자
유휴공간을 미술로 채우자
미술가에게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면, 사람이 모입니다
건축물 미술작품 제도, 다시 생각해 본다
‘건축물 미술품 기금’은 지역 미술 진흥을 위해서 사용되어야
이곳을 예술 공원으로
스튜디오 미술관, 조금 다른 미술관
살만한 도시로 바꾸려면 미술가를 써라
8장ㆍ미술인 복지의 첫걸음
사회적 공헌자로서 예술인의 법적 지위
누구를 예술인이라고 부르나
예술가, 표현의 자유와 직업적 권리
이어 나가야 할 서예의 가치
문화산업으로 공예 진흥
내 그림으로 세금을 낼 수 있을까?
작가가 남긴 미술품에 대한 세금
기획하고 전시하며, 작품 판매까지
9장ㆍ미술가에 대한 공정한 보상
작품을 판매한 후에도 로열티를 받는다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미국에서의 미술품 재판매보상청구권
미술품 재판매보상청구권의 양극화 문제
10장ㆍ미술가들이 스스로 돕기 위한 조직
미술인 사회 보장을 위해 스스로가 나서야
미술가 조직은 자발적 복지 기구로 전환해야
미술품을 담보로 대출이 가능할까?
미술품을 판단하는 눈
한국의 근현대 미술 자산이 사장되고 있습니다
좀 더 넓게, 좀 더 많은 미술가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