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제1장 음악인류학에서의 탐구
1. 범주
2. 공유된 합의점으로서의 민족지
3. 부분적으로 공유된 견해
4. 이론
5. 연구 방법
6. 가정
7. 연구 대상
제2장 비교음악학에서의 문화진화주의와 전파주의
1. 문화진화주의
2. 전파주의
3. 문화진화주의와 전파주의에 함축된 사상
4. 비교음악학의 유산
제3장 구조주의-기능주의 이론
1. 구조주의-기능주의의 가설
2. 구조주의-기능주의에 대한 비판
3. 구조주의-기능주의의 공헌
4. 음악인류학에서의 구조주의-기능주의
5. 관련된 방법론 : 유기체로서의 음악 체계
6. 이론적 방법론에서의 구조주의-기능주의의 위상
제4장 언어학 이론
1. 민족과학
2. 변형-생성 문법
3. 기호학
4. 결론
제5장 병렬적 구조주의
1. 병렬적 구조주의의 가설
2. 병렬적 구조주의에 대한 비판
3. 병렬적 구조주의의 공헌
4. 음악인류학에서의 병렬적 구조주의
5. 음악인류학에서의 병렬적 구조주의의 가설
6. 음악인류학에서의 병렬적 구조주의에 대한 비판
7. 음악인류학에서의 병렬적 구조주의의 공헌
8. 병렬적 구조주의와 음악이론
9. 구조주의 분석을 응용한 크펠레 사례
10. 결론
제6장 마르크스주의 이론
1. 마르크스주의의 가설
2.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대한 비판
3.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공헌
4. 음악인류학에서의 마르크스주의 이론
5. 음악인류학에서의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가설
6. 음악인류학에서의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비판
7. 음악인류학에서의 마르크스주의의 공헌
8. 음악인류학에서 마르크스주의 사례
9.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의한 크펠레 족 음악 연구 사례
10. 결론
제7장 문학 이론과 극작법 이론
1. 메타포
2. 극작법 이론
3. 독자 반응 이론
4. 해체주의
5. 문학 이론의 유산
제8장 인식론과 커뮤니케이션 이론
1. 인식론
2. 커뮤니케이션 이론
3. 결론
제9장 음악인류학에서의 공연 이론
1. 공연 이론의 가설
2. 공연 이론에 대한 비판
3. 공연 이론의 공헌
4. 음악인류학에서의 공연 이론
5. 공연 이론의 크펠레 족 사례
6. 결론
제10장 젠더, 인종, 정체성 논제
1. 젠더ㆍ페미니즘
2. 민족성과 정체성 논제
3. 도시/지방 정체성
4. 국가 정체성
5. 초국가 정체성
6. 인종 정체성
7. 크펠레 족 연행에서의 정체성 논제
8. 결론
제11장 현상학과 경험주의
1. 사회학적 현상학의 가설
2. 현상학과 음악
3. 음악인류학과 사회학적 현상학
4. 비교음악학과 현상학
5. 사회학적 현상학에 대한 비판
6. 사회학적 현상학의 공헌
7. 현상학 사례; 라이베리아 크펠레 족의 워이 서사음악
8. 결론
제12장 역사학적 연구
1. 역사학적 연구의 가설
2. 역사학적 연구에 대한 비판
3. 역사학적 연구의 공헌
4. 음악인류학에서의 역사학적 연구
5. 역사학의 가설
6. 역사학에 대한 비판
7. 역사학의 공헌
8. 역사학적 연구; 라이베리아의 사례
9. 결론
제13장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식민주의, 세계화 논제
1. 포스트모더니즘
2. 포스트식민주의와 세계화 논제
3. 결론
제14장 이론의 융합과 대립
1. 과학적 태도와 방법론
2. 의미의 본질
3. 민족지적 현장 연구의 역할
4. 초점의 범위
5. 사회 맥락과의 관계
6. 문화 전승자의 역할
7. 시간성
8. 학자가 관심을 갖는 질문
9. 결론
옮긴이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