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학
김규철 비선형 패러다임 시대의 동양예술 창의성 고찰 ㆍㆍㆍㆍㆍ12
김인환 신화적 공간의 개연성과 역동적인 미학적 매트릭스 : 복희 여와_이야기 ㆍㆍㆍㆍㆍ28
박상원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인체비례도」와 퇴계 이황의 「천명도』 비교 ㆍㆍㆍㆍㆍ48
조민환 동양예술 창작론에 나타난 「우연성」에 관한 연구 ㆍㆍㆍㆍㆍ58
최다은 퇴계 매화시에 나타난 소박미 담론 ㆍㆍㆍㆍㆍ72
서예
김병기 초서의 흥기와 서「예」화의 상관관계 연구 ㆍㆍㆍㆍㆍ86
김응학 「태극건곤』의 서화미학적 고찰 ㆍㆍㆍㆍㆍ106
문정자 17, 18C 동국진체의 제특성에 관한 고찰 ㆍㆍㆍㆍㆍ120
박주열 서위의 이단적 서예심미의식 고찰 ㆍㆍㆍㆍㆍ134
송수현 롤랑바르트의 「글쓰기의 영도」로 본 창암 서예의 발속 ㆍㆍㆍㆍㆍ150
송하경 21세기 신서예미학 정신 ㆍㆍㆍㆍㆍ166
이종선 자율성과 소통가능성으로서 예술론에 관한 연구 ㆍㆍㆍㆍㆍ182
장지훈 고운 최치원의 「풍류」와 「해운대석각」 ㆍㆍㆍㆍㆍ194
전상모 근원 김용준이 본 서예, 그 직관의 미 ㆍㆍㆍㆍㆍ204
회화
고연희 조선시대 「모사」의 양상과 미술사적 의미 ㆍㆍㆍㆍㆍ224
김찬호 정약용 회화의 전신론 연구 ㆍㆍㆍㆍㆍ242
배현진 쉬빙의 「배후의 이야기』 시리즈에 나타난 전통 해체와 재조합 ㆍㆍㆍㆍㆍ258
심영옥 공자의 문질빈빈 심미관과 조선시대 문인화론의 관계성 ㆍㆍㆍㆍㆍ276
염중섭 고려불화 「관경서분변상도」의 합의와 작품분석 ㆍㆍㆍㆍㆍ292
이근우 강암 송성용 사군자에 대한 연구 ㆍㆍㆍㆍㆍ310
이은호 의경론으로 본 이가염 산수화 연구 ㆍㆍㆍㆍㆍ326
최병식 한국미술사 정립을 위한 근대미술관 설립의 필요성 ㆍㆍㆍㆍㆍ344
음악
문선아 뮤지컬 「영웅」의 한국적 가치 고찰 ㆍㆍㆍㆍㆍ368
홍세아 소설 「게우사」에 나타난 국악공연 형태와 음악 고찰 ㆍㆍㆍㆍㆍ382
무용
강기화 동래학춤이 현대인의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 ㆍㆍㆍㆍㆍ398
김지원 여백의 공간개념에서 한국춤의 미적 양상과 의미고찰 ㆍㆍㆍㆍㆍ410
이병옥 고대한국무용의 중국교류와 변용고찰 ㆍㆍㆍㆍㆍ428
정강우 동남아시아 춤 연희의 혼합주의적 특성과 기능적 해석 ㆍㆍㆍㆍㆍ444
조하나 무용에서의 신체표현에 나타난 연극적 연기표현에 관한 연구 ㆍㆍㆍㆍㆍ464
허동성 한국 궁중정재의 공연콘텐츠 개발 방향성 시론 ㆍㆍㆍㆍㆍ482
공예
신나경 일본의 전통도예에서 조선도공의 영향과 그 미학적 의의 ㆍㆍㆍㆍㆍ504
복식
김인자·이상은 한국의 조형미가 나타나는 예복 디자인 연구 ㆍㆍㆍㆍㆍ522
전희정 조선후기 왕족의 남아 돌복에 나타난 문양에 관한 연구 ㆍㆍㆍㆍㆍ534
건축
김경수 신한옥의 미학적 문제와 지향 송 영선령을 통해 본 송대 주택의 형제와 심미화 ㆍㆍㆍㆍㆍ552
백소훈 송 영선령을 통해 본 송대 주택의 형체와 심미화 ㆍㆍㆍㆍㆍ568
디자인
이용제 예술의 실천적 지혜로서의 디자인과 디자인의 공공성 ㆍㆍㆍㆍㆍ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