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7
1 / 셰익스피어를 만나다 15
ㆍ 동시대 작가로서의 셰익스피어 ...... 15
ㆍ 살아있는 연기의 원리 ...... 23
ㆍ 셰익스피어가 우리에게 주는 선물 ...... 28
ㆍ 셰익스피어 연기훈련의 목적 ...... 30
ㆍ 소란스러운 관객 ...... 31
ㆍ 배우는 관객을 위해 존재한다 ...... 33
ㆍ 연기의 기본: 상대를 상대하기 ...... 34
ㆍ 상대를 상대하면서 일어나는 모든 것, 그것이 극이다 ...... 50
ㆍ 첫 등장부터 관객을 사로잡아야 한다 ...... 56
ㆍ 말과 캐릭터 ...... 58
ㆍ 극적 행동(action)으로서의 말 ...... 62
ㆍ ‘해보다’와 ‘해내다’의 원리 그리고 ‘더’와 ‘다’ ...... 63
2 / 셰익스피어를 읽다 67
ㆍ 생각의 차이 = 소리+말의 차이 ...... 67
ㆍ 시(詩)와 blank verse 그리고 생명의 박동 ...... 71
ㆍ 시(詩): 정제와 함축 ...... 72
ㆍ 시(詩)와 비유 ...... 75
ㆍ 여전히 대사가 아니라 ‘말’이다 ...... 89
ㆍ 말은 이미지와 생각으로부터 나온다 ...... 90
ㆍ 상상의 그림판/스크린 ...... 96
ㆍ 두 세계: 현실의 리얼리티 〈 상상의 리얼리티 ...... 98
ㆍ 서브텍스트, 아이러니(irony)와 말의 중의성 ...... 101
ㆍ 변화의 움직임 ...... 109
ㆍ 표면적으로 일어나는 사건 vs 진짜 사건 ...... 112
ㆍ 셰익스피어의 캐릭터 ...... 131
ㆍ 저항 ...... 132
ㆍ 인식ㆍ상상력의 한계 ...... 133
ㆍ 비극(tragedy)과 희극(comedy) ...... 135
ㆍ 비극적 결함(hamartia) ...... 140
ㆍ 극적 아이러니(dramatic/comic irony) ...... 142
ㆍ 시간ㆍ공간ㆍ인간 ...... 158
ㆍ “Who’s there?”: 〈햄릿〉의 극세계 ...... 159
ㆍ 외관과 실체 ...... 164
ㆍ “Fair is foul, and foul is fair”: 〈맥베스〉의 극세계 ...... 173
ㆍ 경계와 젠더(gender): “Unsex me!” ...... 175
ㆍ 광기(狂氣, madness)와 정서적 인식 ...... 183
ㆍ 비교ㆍ대조ㆍ대치ㆍ병렬 그리고 대구법 ...... 187
3 / 셰익스피어를 하다 193
ㆍ 대사 분석의 과정 ...... 193
ㆍ 몸의 삶과 신체 언어 ...... 204
ㆍ 대근육, 소근육, 그리고 미세근육 ...... 207
ㆍ 신체언어로만 독백을 탐색하기 ...... 208
ㆍ 캐릭터와 극적 행동 ...... 210
ㆍ 캐릭터가 배우에게 요구하는 것들 ...... 246
ㆍ 싸움으로서의 극적 행동 ...... 248
ㆍ 극적 행동으로서의 독백 ...... 249
ㆍ 생각의 과정으로서의 독백 ...... 253
ㆍ 생각의 과정을 이끄는 동력은 ‘질문’이다 ...... 259
ㆍ 다중 행동 ...... 266
ㆍ 캐릭터의 상상: 원하는 결과와 원하지 않는 결과 ...... 273
ㆍ 나(I)와 나(me)들: 캐릭터 안에 존재하는 상반된 나들 ...... 287
ㆍ 자연과 인간 ...... 299
ㆍ 통합 적용: 〈십이야〉 1막 5장 ...... 302
ㆍ 극적 상상력과 비상(飛翔)의 꿈 ...... 329
ㆍ 충만한 배우와 연기적 카타르시스 ...... 331
4 / 〈리어왕〉 들여다보기-메소드배우를 위한 대본 분석 333
ㆍ 1막 1장 ...... 335
ㆍ 1막 2장 ...... 374
ㆍ 1막 3장 ...... 395
ㆍ 1막 4장 ...... 398
ㆍ 1막 5장 ...... 432
ㆍ 삼등분과 힘의 균형 ...... 437
ㆍ 사랑 시험 ...... 440
ㆍ 캐릭터의 능동성: 코딜리어의 경우 ...... 441
맺음말 ...... 443
부록: 독백과 장면 연습을 위한 체크리스트 ......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