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
근대적 시공간, 청각적 기억의 장으로서 국민음악_최유준
국민음악으로서 국악의 존재양상, 쟁점, 의미_김희선
대중음악에서 국민음악의 차원과 난점_이기웅
제2부
국민음악의 원형과 재현, 그리고 투쟁_김은영
북조선의 ‘국민음악’ 만들기_천현식
궁중음악 BGM이 되다_이수정
1940년대 한국 음반산업과 ‘국민음악’의 보급_석지훈
‘국민음악’의 형성과 담론권력_이은진
박정희 시기 국악계의 지형변화_김민수
국가대표로서의 클래식 음악인들_신혜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