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작곡가의 길
백영호의 방랑벽 14
작곡가의 길로 들어서다 18
야인초와 맺은 인연
첫 작곡 데뷔곡 ‘고향 아닌 고향’
대구 유니온레코드사에서 전속 작곡가 제의
부산 미도파레코드사 임정수 사장과 만남
만년 전속가수 방운아
1950년대 백영호의 길이 열리다 41
백영호와 작사가 한산도 콤비
백설희와 현인
출세작 ‘추억의 소야곡’과 남인수
은방울 자매, 큰 방울 박애경과 작은 방울 김향미
신해성의 ‘여인 우정’
‘임이 좋아요’의 황금심
‘원통해서 못 살겠네’를 부른 정향
‘해운대 엘레지’와 손인호
방운아의 못다한 말
1954년, 반려자 박정선을 만나다
부산 미도파레코드사 시대를 접고 서울로
제2부 ‘동백 아가씨’의 탄생
‘동백 아가씨’에 얽힌 사연 88
라디오 드라마 ‘동백 아가씨’가 영화로
‘동백 아가씨’에 거는 기대
영화 ‘동백 아가씨’ 줄거리
‘동백 아가씨’가 몰고온 태풍
동아방송 강수향 PD와 안평선 PD
‘동백 아가씨’ 뒷이야기
‘동백 아가씨’에 이은 히트곡 112
인세를 받은 최초의 작곡가
‘황포돛대’와 작사가 이용일
전성시대를 예고한 ‘옥이 엄마’, ‘울어라 열풍아’
‘인정사정 볼 것 없다’와 ‘홍콩의 왼손잡이’
공군 군가가 된 ‘성난 독수리’
‘오솔길 아가씨’와 ‘한 많은 대동강’
지구레코드사의 순항
1965년 ‘추풍령’의 행운아 남상규
식을 줄 모르는 ‘동백 아가씨’의 인기 143
일본으로 간 ‘동백 아가씨’
이미자의 화려한 귀국
해적판 ‘동백 아가씨’
트로트의 왜색 논쟁과 편견
‘동백 아가씨’의 외로운 투쟁
제3부 작곡 인생 황금기
물밀듯이 쏟아진 영화 주제가 162
백영호 작곡 이미자 노래
‘지평선은 말이 없다’ ‘저 강은 알고 있다’ 그리고 ‘갯마을’
영화 ‘계약 결혼’과 배우 문정숙
1966년의 금자탑 ‘잊을 수 없는 연인’
‘임금님의 첫사랑’과 ‘어느 여배우의 고백’
이미자의 ‘평양 기생’
신파극 ‘민 검사와 여선생’
재일 한국인 가수 겸 작곡가 강영철
불세출의 저음 가수 문주란 178
문주란의 등장
백영호와 문주란의 만남
문주란의 황금시대를 연 ‘동숙의 노래’
‘황색 마후라’와 함께 떠난 문주란
새로운 만남 새로운 시도 198
제2의 이미자를 꿈꿨던 ‘새벽길’의 남정희
‘사람 나고 돈 났지’를 부른 남진
춤의 요정 펄시스터즈
1968년에 떠오르는 가수 정은숙
배호의 ’비 내리는 명동‘
마지막 불꽃까지 태우고 떠난 배호
백영호 이미자 그리고 박춘석
전성기를 이어간 영화 주제가 217
일본에서 히트한 ‘남몰래 흘린 눈물’
평양기생 강명화의 비극적인 로맨스
‘상감마마 미워요’와 문주란의 ‘애수’ ‘방황’
‘두견새 우는 사연’과 ‘보은의 기적’
영화화된 소설 ‘빙점’
명작 ‘여자의 일생’과 ‘서울이여 안녕’
‘춘천댁 사공’과 ‘첫날밤 갑자기’
연속극 주제가 ‘아씨’와 ‘여로’ 230
전 국민을 울린 TV 연속극 ‘아씨’
최고 TV 시청률을 기록한 ‘여로’
김부자의 ‘나는 어쩌나’와 이미자의 ‘그때가 옛날’
정든 둥지 지구레코드사를 떠나다
지구레코드사 재입성
제4부 원로 작곡가 백영호
전성기를 뒤로 하고 248
이미자의 ‘여자 하숙생’
꽃을 피워보지 못한 태현철
뒤늦게 만난 나훈아
‘청춘 카니발’과 ‘처음 본 그대’ 그리고 ‘여고 동창생’
다시 만난 하춘화
세월에 묻힌 노래와 무명 제자들
백영호의 경음악 시리즈
행운의 뒤안길 259
일본 가요계로 진출
법정에 오른 ‘동백 아가씨’
민요 가수 김영임
해금의 분위기가 무르익다
돌아온 ‘동백 아가씨’
가요 인생 41주년 기념 가요무대
행복은 다른 곳에도 있다 274
정상에서 내려와 가족 품으로
무뚝뚝해도 다정한 동백 아저씨
아들 삼형제 중 장남
작곡가로 데뷔한 차남 백경국과 영원한 막내둥이 백경무
장남의 혼례
다시 인연을 맺은 진주 290
진주에 서울내과 개원
탈북 가수 김용
처가 삼천포를 위한 노래 ‘사랑은 삼천포에서’
남인수 가요제
진주에 개관한 백영호 기념관
마지막 불꽃 300
문화훈장과 서울 정도 600주년 기념 ‘서울시민상’
뮤지컬 ‘동백 아가씨’
KBS 가요무대 〈백영호의 가요 반세기〉
마지막 아쉬움을 남긴 2002년
제5부 ‘동백아가씨’를 남기고 떠나다
새롭게 업적을 기리다 310
2003년, 영원한 작별
KBS 가요무대 추모 특집과 작곡집 출간
다양한 10주년 추모 행사
부산 KBS의 〈부산 재발견〉에서도 백영호 탐구
‘동백 아가씨’ 50주년 기념 방송
백영호 기념관에서 매년 개최하는 추모 음악회
탄생 100주년 기념 KBS 가요무대
부산으로, 아버지의 귀향 321
부산근현대역사관의 시작
부산근현대역사관 등록 기념 음악회
2022년, 부산 귀향을 축하하는 기념 음악회
추모 20주년 기념 음악회
2023년, 진주 정착 32년
남겨진 유산들 328
아버지의 녹취록
약력
영화 드라마 주제가 목록
영광의 순간들
축사
평전을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