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rologue / ⅲ
제1편 로스쿨 法窓 오디세이
01. 로스쿨 13년의 회고 3
02. 로스쿨 법학교육의 현주소 10
03. 로스쿨 출신 변호사들의 미래 13
04. 로스쿨과 변호사시험 -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 15
05. 시민이 바라본 법원과 미래 사법을 위한 제언 39
06. 한국의 재판제도 - 일본, 중국의 재판제도와의 비교를 겸하여 - 56
07. Court Museum 89
08. 어떤 양형 이유 104
09. 지금부터 재판을 시작하겠습니다 - 법과 현실의 아이러니 - 118
10. 법의 언어로 세상을 바꾼 긴즈버그 대법관 132
11. 나잇값과 법 135
12. 미술과 법 152
13. 대한민국의 법률가들 - 선출되지 않은 권력의 탄생 171
14. 법과 유머 189
15. 온라인 주요 법률정보 Source 198
제2편 법리와 인간
01. 법과 인간상(人間像) 205
02. 민법학의 뿌리와 줄기 211
03. 사적 자치란 무엇인가? - 사적 자치와 후견적 관여를 중심으로 - 224
04. 물권과 채권의 준별과 융합 - 물권과 채권 ‘따로국밥’인가? - 253
05. ‘피(被)’자(字) 붙은 사람들 : ‘피’보는 사람들 265
06. ‘가(假)’ 자(字)의 세계 269
07. 매매 : 賣買인가, 買賣인가? 275
08. 초일산입과 불산입의 기간계산 278
09. falsa demonstratio non nocet(誤表示 無害의 원칙) 290
10. 로마법 맛보기 298
11. 계자(繼子)와 계모(繼母) 305
12. 고유정 사건과 법의 거미줄 - 상속, 친권상실, 미성년후견인 지정, 유아인도 등을 중심으로 - 311
13. 양창수 교수의 「민법연구 제10권」 片想 320
14. 산과 법 - 국립공원 관련 법령의 이해 - 365
15. 법언(法諺)의 세계 396
제3편 眼光紙背徹
01. 劉基天의 ‘自由社會’ 論 403
02. 자유주의와 개인주의의 가치 407
03. 왜 그들은 우리를 파괴하는가 417
04. 이어도는 없다! 423
05. 노모스의 뜨락 430
06. 역사의 격랑에 오늘을 묻다 - 인간ㆍ상식ㆍ법으로 정의를 찾아 헤맨 문인구 회고록 - 433
07. 김훈 산문의 정제미 - 김훈 산문집 『라면을 끓이며』(문학동네, 2015)를 읽고 - 436
08 경계인을 넘어서 - 절대 자유와 절대 독립을 위한 열정 - 454
09. 보우(普雨)를 찾아서 - 강 준 장편소설 『붓다, 유혹하다』 458
10. 인조의 나라 - 주자학은 조선후기를 어떻게 망쳤나 - 463
제4편 살며 생각하며
01. Homo Viator - 나는 떠돈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 479
02. 남상(濫觴)과 나비효과와 초(超)연결사회 485
03. 법조 출신 정치인들의 말로(末路) 490
04. 동아합동법률사무소의 인연들 500
05. 左(왼쪽), 右(오른쪽)의 우열 - 좌배석과 우배석 - 505
06. 추상(追想) 독일어 명문 509
07. 우리말 맞춤법과 띄어쓰기의 어려움 517
08. 人不知而不? 不亦君子乎 - 남들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 525
09. Carpe diem 536
10. Sein zum Tode : Memento mori - 죽음도 삶의 일부분이다 - 548
11. 묘비명 연습 552
12. 망상(妄想) 생전장례식 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