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개요 = 1
1.1 우리가 바다에서 관찰하는 것 = 1
1.2 해양 순환 = 10
1.3 파랑 = 17
1.4 해양의 관찰 방법 = 18
1.5 단위에 대한 제언 = 24
제2장 성층 해양 = 25
2.1 상태 방정식 = 25
2.2 온위 = 30
2.3 안정도 = 32
2.4 성층해양의 몇 가지 결과들 = 36
2.5 T - S다이어그램 = 38
제3장 해수면을 통한 열수지 = 41
3.1 태양의 복사 에너지(Qs) = 42
3.2 장파 복사(Qb) = 46
3.3 잠열(Qe) = 47
3.4 현열(Qh) = 49
3.5 복사 에너지 유입량의 변화 = 50
3.6 국지적 열균형 : 계절수온약층 = 51
3.7 수면 온도 = 58
3.8 해빙과 염분약층 형성 = 59
제4장 전지구적 평형 : 보존 방정식 = 63
4.1 전지구적 열평형 = 63
4.2 무로라 염류의 전지구적 균형 = 68
4.3 보존 방정식 = 70
4.4 혼합, 뒤섞임, 난류, 그리고 확산 = 76
4.5 박스 모델과 혼합 시간 = 80
제5장 운동 방정식 = 85
5.1 가속도 = 87
5.2 압력경도 = 90
5.3 전향력 = 92
5.4 중력 : 등포텐셜면 = 101
5.5 마찰력 = 103
5.6 운동 방정식 = 112
5.7 와도 = 113
제6장 지구 자전의 효과 = 117
6.1 로스비 수 = 117
6.2 지형류 = 119
6.3 마귤러 방정식 = 125
6.4 경압성 유체와 순압성 유체 = 126
6.5 마찰이 있는 경사면 = 129
6.6 가용 위치 에너지 = 130
6.7 바람의 응력 : 에크만 수송 = 132
6.8 용승 : 에크만 폄핑 = 134
6.9 대순환 : 개관 = 139
6.10 대순환 : 서안경계류 = 141
6.11 최종속도 = 144
제7장 주요 해류 = 147
7.1 서안경계류 : 멕시코 쿠로시오 해류 = 148
7.2 동안경계류 : 캘리포니아 해류 시스템 = 155
7.3 적도해류 = 158
7.4 엘니뇨과 남방진동 = 165
7.5 남극순환류 = 167
7.6 인도양의 해류 = 171
제8장 열염분포 = 177
8.1 열명순화과 핵심분석 = 177
8.2 지중해 유출수 = 181
8.3 대양분지와 암상(sill) : 수온과 염분 분포를 결정하는 해저 지형의 역할 = 182
8.4 수형과 수괴의 형성 = 185
8.5 수괴의 특성 = 186
8.6 연직혼합 = 191
8.7 심층 서안경계류 = 195
8.8 중규모 와동 = 198
8.9 미세구조 : 에너지 소실 = 202
8.10 랑뮈에 순환 = 206
제9장 풍파 = 209
9.1 파의 특성 = 209
9.2 입자운동 = 216
9.3 파의 에너지 분산 = 218
9.4 파랑 스펙트럼과 완전히 발달한 파랑 = 222
9.5 스톡스파와 표면장력파 = 227
9.6 파의형성, 전파 그리고 소멸 = 230
9.7 연안류와 이안류 = 233
제10장 조석 및 여러 가지 파 = 237
10.1 지진해일 = 237
10.2 부진동 = 239
10.3 첨단파 = 242
10.4 초장파 : 코리올리 효과 = 242
10.5 내부파 = 249
10.6 조력 = 254
10.7 평형조석론과 동역학적 조석론 = 257
10.8 해양조 = 260
10.9 조류 = 264
제11장 연안 해역과 반폐쇄성 해역 = 267
11.1 하구역의 대류성 흐름 = 268
11.2 하구의 유형 = 273
11.3 하구역에서의 순환 = 275
11.4 하구 체류시간 = 276
11.5 해안 작용 = 279
11.6 반폐쇄성 해역 = 284
제12장 소리와 광학 = 295
12.1 수중음향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 정의 = 296
12.2 음속 : 심해음향채널 = 297
12.3 전파손실 = 300
12.4 흡수와 산란 = 302
12.5 주변소음 = 304
12.6 굴절과 반사 = 306
12.7 수중광학 =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