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행정법 - 제7판 홍정선
☆☆☆☆☆ 평점(0/5)
박영사 | 2019-01-10 출간
판매가
39,000
즉시할인가
38,61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상품정보
책 소개

 

목차

1부 행정법총론

1장 일 반 론 3

1절 행정법의 관념 3

1항 행정법의 의의 3

. 행정의 의의 __ 3

. 통치행위 __ 6

. 행정법의 개념 __ 9

2항 행정법과 법치행정 10

. 법치국가법치행정 __ 10

. 행정의 법률적합성의 원칙 __ 11

2절 행정법의 법원 13

1항 법원의 의의 13

. 법원의 개념 __ 13

. 법원의 특징 __ 13

2항 법원의 종류 14

. 성문법 __ 14

. 불문법 __ 15

. 국제법 __ 17

. 행정법의 일반원칙 __ 18

3항 법원의 효력 24

. 시간적 효력범위 __ 24

. 지역적 효력범위 __ 25

. 인적 효력범위 __ 25

4항 법원의 흠결과 보충(행정법관계와 사법의 적용) 26

. 사법규정의 적용 __ 26

. 공법규정의 적용 __ 27

3절 행정법관계 28

1항 행정법관계의 당사자 28

. 행정의 주체 __ 28

. 행정의 상대방(객체) __ 30

2항 행정법관계의 의의 31

. 행정법관계의 개념 __ 31

. 행정법관계의 특징 __ 31

3항 행정법관계의 종류 32

. 권력관계비권력관계 __ 32

. 특별권력관계 __ 32

. 사법관계(국고관계) __ 33

4항 행정법관계의 발생과 소멸 34

. 발생원인 __ 34

. 소멸원인 __ 38

5항 행정법관계의 내용 38

A. 국가적 공권 38

. 의의 __ 38

. 권력과 권리 __ 39

B. 개인적 공권 39

. 개인적 공권의 개념 __ 39

. 개인적 공권의 종류 __ 41

. 개인적 공권의 성립 __ 42

. 3자의 법률상 이익 __ 45

.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 __ 47

. 행정개입청구권 __ 50

C. 공 의 무 52

. 의의 __ 52

. 종류 __ 53

. 특징 __ 53

D. 공권공의무의 승계 53

. 행정주체 사이의 승계 __ 53

. 사인 사이의 승계 __ 54

 

2장 행정의 행위형식 57

1절 행정입법 57

1항 법규명령 58

. 법규명령의 개념 __ 58

. 법규명령의 헌법적 근거 __ 59

. 법규명령의 성질 __ 60

. 법규명령의 종류 __ 60

. 법규명령의 근거와 한계 __ 62

. 법규명령의 적법요건 __ 64

. 법규명령의 하자 __ 64

. 법규명령의 소멸 __ 65

. 법규명령의 통제 __ 66

 

2항 행정규칙 68

. 행정규칙의 의의 __ 68

. 행정규칙의 헌법적 근거 __ 69

. 행정규칙의 성질 __ 69

. 행정규칙의 종류 __ 70

. 행정규칙의 근거와 한계 __ 73

. 행정규칙의 적법요건 __ 73

. 행정규칙의 하자 __ 74

. 행정규칙의 소멸 __ 74

. 행정규칙의 효과 __ 75

. 행정규칙의 통제 __ 77

2절 행정계획 78

1항 행정계획의 의의 78

. 국가와 계획 __ 78

. 계획의 개념 __ 78

. PlanPlanning의 구분 __ 79

2항 행정계획의 성질 79

. 논의의 의미 __ 79

. 학설 __ 79

. 판례 __ 80

. 사견 __ 80

3항 행정계획의 종류 80

. 자료제공적 계획 __ 81

. 영향적 계획 __ 81

. 규범적 계획 __ 81

4항 행정계획의 절차 82

. 일반법 __ 82

. 관계행정기관간의 조정 __ 82

. 주민이해관계인의 참여 __ 82

5항 행정계획의 효과 83

. 일반론 __ 83

. 구속효 __ 83

. 집중효 __ 84

6항 행정계획의 통제 85

. 의의 __ 85

. 행정내부적 통제 __ 85

. 행정외부적 통제 __ 85

3절 행정행위 89

1항 행정행위의 관념 89

. 행정행위의 개념 __ 89

. 행정행위의 종류 __ 93

2항 불확정개념, 기속행위재량행위 96

. 법의 집행과정과 법의 해석적용 __ 96

. 불확정개념과 판단여지 __ 98

. 기속행위와 재량행위 __ 101

3항 행정행위의 내용 107

1목 명령적 행위 107

. 하명 __ 107

. 허가 __ 108

. 면제 __ 115

2목 형성적 행위 115

A. 상대방을 위한 행위 115

. 권리설정행위-협의의 특허(설권행위 1) __ 115

. 기타 설정행위(설권행위 2) __ 117

B. 타자를 위한 행위 117

. 인가(보충행위) __ 117

. 대리 __ 119

3목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 120

. 확인 __ 120

. 공증 __ 122

. 통지 __ 124

. 수리 __ 125

4항 행정행위의 적법요건 126

. 주체요건 __ 127

. 내용요건 __ 128

. 형식요건 __ 128

. 절차요건 __ 129

. 표시요건 __ 131

5항 행정행위의 효력 133

. 내용상 구속력 __ 134

. 공정력 __ 134

. 구성요건적 효력 __ 137

. 존속력 __ 141

. 강제력 __ 143

6항 행정행위의 하자 144

. 일반론 __ 144

. 행정행위의 부존재 __ 145

. 행정행위의 무효와 취소의 구별 __ 146

. 행정행위의 무효 __ 147

. 행정행위의 하자의 승계 __ 148

. 하자있는 행정행위의 치유 __ 153

. 하자있는 행정행위의 전환 __ 155

 

7항 행정행위의 폐지 156

. 일반론 __ 156

. 행정행위의 직권취소 __ 157

. 행정행위의 철회 __ 161

. 행정행위의 실효 __ 164

8항 행정행위의 부관 165

. 행정행위의 부관의 관념 __ 165

. 행정행위의 부관의 종류 __ 166

. 행정행위의 부관의 가능성과 한계 __ 168

. 행정행위의 부관의 하자 __ 170

9항 확언확약 173

. 확언확약의 개념 __ 173

. 확언확약의 법적 성질 __ 174

. 확언확약의 법적 근거 __ 174

. 확언확약의 요건 __ 175

. 확언확약의 효과 __ 176

4절 기타의 행위형식 177

1항 공법상 계약 177

. 공법상 계약의 개념 __ 177

. 공법상 계약과 행정의 법률적합성의 원칙 __ 177

. 공법상 계약의 종류 __ 178

. 공법상 계약의 적법요건 __ 179

. 공법상 계약의 해제변경과 실현 __ 180

. 공법상 계약의 하자 __ 181

2항 공법상 사실행위(사실행위론 1) 182

. 공법상 사실행위의 의의 __ 182

. 공법상 사실행위의 종류 __ 183

. 공법상 사실행위의 법적 근거와 한계 __ 183

. 공법상 사실행위와 권리보호 __ 184

. 공법상 사실행위로서 공적 경고 __ 186

3항 행정지도(사실행위론 2) 188

. 행정지도의 관념 __ 188

. 행정지도의 종류 __ 189

. 행정지도의 법적 근거와 한계 __ 191

. 행정지도상 원칙 __ 191

. 행정지도와 권리보호 __ 192

4항 사법형식의 행정작용 194

. 일반론 __ 194

. 행정사법작용 __ 195

. 조달행정 __ 196

. 영리활동 __ 197

 

 

3장 행정절차행정정보 199

1절 행정절차 199

1항 일반론 199

. 행정절차의 관념 __ 199

. 행정절차법 __ 200

. 국민참여의 확대와 비용 __ 201

2항 행정절차의 종류 201

1목 처분절차 201

. 처분의 신청 __ 201

. 처분의 처리기간 __ 202

. 처분의 처리기준 __ 203

. 처분의 사전통지와 의견청취 __ 203

. 처분의 발령 __ 204

2목 기타 절차 207

. 신고절차 __ 207

. 행정상 입법예고절차 __ 208

. 행정예고절차 __ 209

. 행정지도절차 __ 209

3항 당사자 등의 권리 210

. 사전통지를 받을 권리(처분의 사전통지제도) __ 210

. 의견제출권(의견제출제도) __ 212

. 청문권(청문제도) __ 213

. 공청회참여권(공청회제도) __ 216

4항 행정절차의 하자 218

. 절차상 하자의 관념 __ 218

. 절차상 하자의 효과 __ 218

. 절차상 하자의 치유 __ 219

2절 행정정보 221

1항 정보상 자기결정권(자기정보결정권) 221

. 정보상 자기결정권의 관념 __ 221

. 보호대상 개인정보 __ 222

. 정보상 자기결정권의 내용(정보주체의 권리) __ 223

. 정보주체의 권리보호 __ 224

2항 정보공개청구권 226

. 정보공개청구권의 관념 __ 226

. 정보공개청구권의 주체대상 __ 227

. 정보공개청구의 절차 __ 228

. 정보공개청구권자의 권리보호 __ 229

. 3자의 권리보호 __ 230

 

4장 행정의 실효성확보 233

1절 행정벌 234

. 행정벌의 관념 __ 234

. 행정형벌 __ 235

. 행정질서벌 __ 237

2절 행정상 강제집행 241

. 일반론 __ 241

. 대 집 행 __ 242

. 강제징수 __ 247

. 이행강제금 __ 249

. 직접강제 __ 251

3절 행정상 즉시강제 252

. 행정상 즉시강제의 관념 __ 252

. 행정상 즉시강제의 수단 __ 253

. 행정상 즉시강제의 한계 __ 254

. 행정상 즉시강제의 권리보호 __ 255

4절 행정조사 256

. 행정조사의 관념 __ 256

. 행정조사의 한계 __ 258

. 실력행사와 위법조사 __ 259

. 행정조사의 권리보호 __ 260

5절 그 밖의 수단 261

. 금전상 제재 __ 261

. 제재적 행정처분(관허사업의 제한) __ 262

. 공표 __ 264

. 공급거부 __ 265

. 시정명령 __ 266

 ❚제2부  행정구제법

❚제1장  국가책임법   271

제1절  손해배상제도(국가배상제도) 271

제1항  국가배상제도 일반론 271

Ⅰ. 국가배상제도의 의의 __ 271

Ⅱ. 헌법과 국가배상제도 __ 271

Ⅲ. 국가배상법 __ 272

제2항  손해배상책임의 성립요건 273

Ⅰ. 위법한 직무집행행위로 인한 배상책임의 성립요건 __ 273

Ⅱ. 영조물의 하자로 인한 배상책임의 성립요건 __ 282

제3항  손해배상책임의 내용, 손해배상의 청구권자와 책임자 287

Ⅰ. 손해배상책임의 내용 __ 287

Ⅱ. 손해배상의 청구권자와 시효 __ 288

Ⅲ. 손해배상의 책임자 __ 289

Ⅳ. 국가의 배상책임의 성질과 선택적 청구, 가해공무원의 책임 __ 292

제4항  손해배상금의 청구절차 295

Ⅰ. 행정절차(임의적 결정전치) __ 295

Ⅱ. 사법절차 __ 296

제2절  손실보상제도 297

제1항  일반론 297

Ⅰ. 손실보상제도의 의의 __ 297

Ⅱ. 손실보상제도의 법적 근거 __ 298

제2항  손실보상청구권의 성립요건 300

Ⅰ. 공공필요 __ 300

Ⅱ. 재산권 __ 301

Ⅲ. 침해 __ 301

Ⅳ. 특별한 희생 __ 302

Ⅴ. 보상규정 __ 303

제3항  손실보상의 범위․내용과 지급상 원칙 304

Ⅰ. 보상의 범위 __ 304

Ⅱ. 보상의 내용 __ 306

Ⅲ. 보상의 지급 __ 309

제4항  손실보상절차 311

Ⅰ.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의 경우 __ 311

Ⅱ. 기타 법률의 경우 __ 314

제3절  국가책임제도의 보완 314

제1항  재산권침해에 대한 손실보상청구권의 확장 315

Ⅰ. 수용․사용․제한규정은 있으나 보상규정 없는 법률과 손실보상청구권 __ 315

 

Ⅱ. 수용․사용․제한규정 및 보상규정 있는 법률의 위법한 집행과 손실보상 청구권 __ 317

Ⅲ. 수용․사용․제한 및 보상의 규정이 없는 법률의 집행과 손실보상청구권 __ 319

제2항  비재산권침해에 대한 보상청구권 321

Ⅰ. 의의 __ 321

Ⅱ. 입법상황(법적 근거) __ 322

Ⅲ. 비재산권침해보상청구권의 인정 여부 __ 322

Ⅳ. 성립요건과 보상 __ 323

Ⅴ. 비재산권침해보상청구권의 확장 __ 324

제3항  기타 324

Ⅰ. 허가의 취소․철회와 보상 __ 324

Ⅱ. 결과제거청구권 __ 324

Ⅲ. 공법상 위험책임 __ 326

 

❚제2장  행정쟁송법(행정심판법․행정소송법) 329

제1절  행정심판법 329

제1항  일 반 론 329

Ⅰ. 행정심판의 관념 __ 329

Ⅱ. 행정심판법 __ 331

Ⅲ. 고지제도 __ 331

제2항  행정심판의 종류․기관․당사자 335

Ⅰ. 행정심판의 종류 __ 335

Ⅱ. 행정심판기관(행정심판위원회) __ 337

Ⅲ. 행정심판의 당사자 __ 340

제3항  행정심판절차 343

Ⅰ. 행정심판의 청구 __ 343

Ⅱ. 행정심판의 심리․의결과 조정 __ 348

Ⅲ. 행정심판의 재결 __ 350

제2절  행정소송법 355

제1항  일반론 355

제1목  행정소송의 관념 355

Ⅰ. 행정소송의 의의 __ 355

Ⅱ. 행정소송의 종류 __ 356

Ⅲ. 행정소송법 __ 357

제2목  행정소송의 한계 357

Ⅰ. 문제점 __ 357

Ⅱ. 사법본질적 한계(법률상 쟁송으로서 한계) __ 358

Ⅲ. 권력분립적 한계 __ 361

 

제2항  항고소송 362

제1목  취소소송 362

A. 취소소송 일반론 362

Ⅰ. 취소소송의 관념 __ 362

Ⅱ. 취소소송과 무효등확인소송의 관계 __ 363

Ⅲ. 취소소송과 당사자소송의 관계 __ 364

B. 본안판단의 전제요건 364

Ⅰ. 일반론 __ 364

Ⅱ. 처분등의 존재(대상적격) __ 365

Ⅲ. 관할법원 __ 371

Ⅳ. 당사자와 참가인 __ 374

Ⅴ. 제소기간 __ 380

Ⅵ. 소장 __ 382

Ⅶ. 행정심판의 전치(행정심판과 행정소송의 관계) __ 382

Ⅷ. 권리보호의 필요(협의의 소의 이익) __ 385

Ⅸ. 중복제소의 배제 등 __ 389

C. 소제기의 효과 390

D. 본안요건(위법성) 390

E. 소의 변경 391

F. 가구제(잠정적 권리보호) 392

Ⅰ. 일반론 __ 392

Ⅱ. 집행정지 __ 393

Ⅲ. 가처분 __ 396

G. 취소소송의 심리 397

Ⅰ. 심리상 원칙 __ 397

Ⅱ. 심리의 범위 __ 400

Ⅲ. 심리의 방법 __ 400

H. 취소소송의 판결 404

Ⅰ. 판결의 종류 __ 404

Ⅱ. 판결의 효력 __ 406

Ⅲ. 판결에 대한 불복 __ 413

Ⅳ. 소송비용 __ 415

제2목  무효등확인소송 415

Ⅰ. 무효등확인소송의 관념 __ 415

Ⅱ. 본안판단의 전제요건 __ 416

Ⅲ. 소제기의 효과 __ 419

Ⅳ. 본안요건(이유의 유무) __ 419

Ⅴ. 소의 변경 __ 419

Ⅵ. 심리 __ 419

Ⅶ. 판결 __ 420

Ⅷ. 선결문제 __ 420

 

제3목  부작위위법확인소송 421

Ⅰ.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관념 __ 421

Ⅱ. 본안판단의 전제요건 __ 421

Ⅲ. 소제기의 효과 __ 425

Ⅳ. 본안요건(이유의 유무) __ 425

Ⅴ. 소의 변경 __ 425

Ⅵ. 심리 __ 426

Ⅶ. 판결 __ 427

제4목  무명항고소송 427

Ⅰ. 일반론 __ 427

Ⅱ. 입법례 __ 428

제3항  기타 소송 429

제1목  당사자소송 429

Ⅰ. 당사자소송의 관념 __ 429

Ⅱ. 관할법원 __ 431

Ⅲ. 당사자 및 참가인 __ 432

Ⅳ. 소송의 제기 __ 433

Ⅴ. 소제기의 효과 __ 433

Ⅵ. 심리 __ 433

Ⅶ. 판결 __ 434

제2목  객관적 소송 434

Ⅰ. 민중소송 __ 434

Ⅱ. 기관소송 __ 435

제3절  기타 권리구제제도 437

제1항  헌법소원 437

Ⅰ. 헌법소원의 관념 __ 437

Ⅱ. 헌법소원의 청구요건 __ 437

Ⅲ. 가처분 __ 440

Ⅳ. 인용결정 __ 440

제2항  청원 441

Ⅰ. 청원의 관념 __ 441

Ⅱ. 청원법상 규정내용 __ 441

제3항  고충민원 444

Ⅰ. 의의 __ 444

Ⅱ. 관장기관(국민권익위원회) __ 444

Ⅲ. 고충민원의 신청 __ 444

Ⅳ. 고충민원의 조사 __ 445

Ⅴ. 고충민원의 각하 등 __ 445

Ⅵ. 조정결정 등 __ 446

Ⅶ. 결정의 통지와 사후조치 __ 447

제4항  기타 448

 

 

 

❚제3부  행정법각론

❚제1장  행정조직법 451

제1절  일반론 451

제1항  행정조직법의 개념 451

Ⅰ. 광의의 행정조직법 __ 451

Ⅱ. 협의의 행정조직법 __ 451

제2항  행정조직법의 종류 452

Ⅰ. 국가행정조직법 __ 452

Ⅱ. 지방자치행정조직법 __ 453

제3항  행정조직법의 헌법상 원칙 453

Ⅰ. 행정조직법과 법치주의(행정조직법정주의) __ 453

Ⅱ. 행정조직법과 민주주의 __ 453

Ⅲ. 행정조직법과 사회복지주의 __ 453

제2절  행정기관 454

제1항  행정기관의 의의 454

Ⅰ. 행정기관의 개념 __ 454

Ⅱ. 행정기관의 법인격성 __ 454

제2항  행정기관의 구성방식과 종류 455

Ⅰ. 행정기관의 구성방식 __ 455

Ⅱ. 행정기관의 종류 __ 455

제3절  행정관청 456

제1항  행정관청 일반론 456

Ⅰ. 행정관청의 개념 __ 456

Ⅱ. 행정관청의 법적 지위 __ 457

Ⅲ. 행정관청의 종류 __ 457

Ⅳ. 행정관청의 권한 __ 458

제2항  권한의 대리와 위임(권한행사의 예외적 방식) 458

Ⅰ. 권한의 대리 __ 458

Ⅱ. 권한의 위임 __ 460

제3항  행정관청간의 관계 464

Ⅰ. 상․하관청간의 관계 __ 464

Ⅱ. 대등관청간의 관계  __ 466

Ⅲ. 상이한 사무영역에 있는 행정관청간의 관계 __ 467

Ⅳ. 상이한 행정주체소속의 행정관청간의 관계 __ 467

제4항  행정각부와 합의제행정기관 468

Ⅰ. 행정각부 __ 468

Ⅱ. 합의제행정기관 __ 469

제4절  간접국가행정조직법 469

Ⅰ. 의의 __ 469

Ⅱ. 공법상 사단(공공조합) __ 470

Ⅲ. 공법상 재단 __ 470

Ⅳ. 공법상 영조물법인 __ 471

 

❚제2장  지방자치법   473

제1절  일반론 473

제1항  지방자치의 관념 473

제1목  자치행정의 의의 473

Ⅰ. 정치적 의미의 자치행정 __ 473

Ⅱ. 법적 의미의 자치행정 __ 473

Ⅲ. 사견 __ 473

제2목  지방자치(자치권)의 성질 474

Ⅰ. 자치권의 본질 __ 474

Ⅱ. 간접국가행정으로서의 지방자치행정 __ 474

제2항  지방자치의 보장과 제한 475

제1목  지방자치제도의 헌법적 보장 475

Ⅰ. 제도보장 __ 475

Ⅱ. 권리주체성의 보장 __ 476

Ⅲ. 주관적인 법적 지위의 보장 __ 476

제2목  지방자치권의 제한 476

Ⅰ. 자치권의 제한의 기준 __ 476

Ⅱ. 제한의 한계로서 핵심영역 __ 476

제3항  지방자치단체의 관념 477

Ⅰ. 지방자치단체의 개념 __ 477

Ⅱ. 지방자치단체의 능력 __ 477

Ⅲ. 지방자치단체와 기본권 __ 477

Ⅳ. 지방자치단체의 명칭 __ 478

Ⅴ.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__ 478

제4항  지방자치단체의 구성요소 479

제1목  주    민 479

Ⅰ. 주민의 의의 __ 479

Ⅱ. 주민의 권리 __ 480

Ⅲ. 주민의 의무 __ 487

Ⅳ. 주민의 참여 __ 488

제2목  구역 488

Ⅰ. 의의 __ 488

Ⅱ. 구역변경 __ 488

Ⅲ. 폐치․분합 __ 489

제3목  자치권 490

Ⅰ. 의의 __ 490

Ⅱ. 법적 성질 __ 490

Ⅲ. 종류(내용) __ 490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조직 491

제1항  지방의회 491

Ⅰ. 일반론 __ 491

Ⅱ. 지방의회의 구성과 운영 __ 492

Ⅲ. 지방의회의 권한 __ 495

Ⅳ. 조례제정권 __ 497

Ⅴ. 지방의회의원 __ 503

제2항  집행기관 505

Ⅰ.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지위 __ 505

Ⅱ.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신분 __ 506

Ⅲ.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권한 __ 507

Ⅳ. 보조기관 등 __ 510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511

제1항  자치사무 511

Ⅰ. 자치사무의 의의 __ 511

Ⅱ. 자치사무의 특징 __ 513

Ⅲ. 자치사무의 내용 __ 514

Ⅳ. 자치사무의 배분 __ 516

제2항  단체위임사무 518

Ⅰ. 단체위임사무의 의의 __ 518

Ⅱ. 단체위임사무의 특징 __ 519

제3항  기관위임사무 521

Ⅰ. 기관위임사무의 의의 __ 521

Ⅱ. 기관위임사무의 특징 __ 522

제4절  지방자치단체의 협력과 통제 524

제1항  지방자치단체의 협력과 분쟁조정 524

Ⅰ.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협력 __ 524

Ⅱ.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등의 분쟁조정 __ 526

Ⅲ. 지방자치단체와 국가간의 협력 __ 527

제2항  지방자치단체의 통제 528

Ⅰ. 통제의 의의 __ 528

Ⅱ. 통제의 유형 __ 529

제3항  자치사무에 대한 감독(행정적 통제 Ⅰ) 532

Ⅰ. 일반론 __ 532

Ⅱ. 사전적 수단 __ 533

Ⅲ. 사후적 수단 __ 534

제4항  단체위임사무에 대한 감독(행정적 통제 Ⅱ) 538

Ⅰ. 일반론 __ 538

Ⅱ. 사전적 수단 __ 539

Ⅲ. 사후적 수단 __ 540

제5항  기관위임사무에 대한 감독(행정적 통제 Ⅲ) 540

Ⅰ. 일반론 __ 540

Ⅱ. 사전적 수단 __ 541

Ⅲ. 사후적 수단 __ 541

 

❚제3장  공무원법   543

제1절  일반론 543

제1항  공무원법의 헌법적 기초 543

Ⅰ. 민주적 공무원제도 __ 543

Ⅱ. 직업공무원제도 __ 544

Ⅲ. 공무원과 기본권 __ 546

제2항  공무원법관계의 발생 546

Ⅰ. 임명 __ 546

Ⅱ. 임용요건과 채용시험 __ 548

제3항  공무원법관계의 변경 550

Ⅰ. 다른 직위에로의 변경 __ 550

Ⅱ. 무직위에로의 변경 __ 552

제4항  공무원법관계의 소멸 553

Ⅰ. 당연퇴직 __ 553

Ⅱ. 면직 __ 555

제2절  공무원법관계의 내용 557

제1항  공무원의 권리 557

Ⅰ. 신분상 권리 __ 557

Ⅱ. 재산상 권리 __ 559

제2항  공무원의 의무 561

Ⅰ. 일반론 __ 561

Ⅱ. 공무원법상 의무 __ 562

Ⅲ. 기타 법률상 의무 __ 567

제3항  공무원의 책임 568

Ⅰ. 징계책임(징계벌) __ 568

Ⅱ. 변상책임 __ 573

 

❚제4장  경찰법   575

제1절  일반론 575

제1항  경찰법의 관념 575

Ⅰ. 기본개념으로서 경찰 __ 575

Ⅱ. 경찰법의 의의 __ 579

 

제2항  경찰법과 헌법 580

Ⅰ. 경찰법의 기초로서 헌법 __ 580

Ⅱ. 경찰상 법률적합성의 원칙 __ 581

제2절  경찰조직법 582

제1항  경찰기관법 582

Ⅰ. 경찰기관법의 의의 __ 582

Ⅱ. 경찰행정기관의 종류 __ 582

Ⅲ. 사인과 경찰 __ 585

제2항  경찰공무원법 587

Ⅰ. 임용권자와 임용의 상대방 __ 587

Ⅱ. 경찰공무원의 의무 __ 588

제3절  경찰작용법 588

제1항  경찰작용의 법적 근거와 한계 588

Ⅰ. 경찰작용의 법적 근거 __ 588

Ⅱ. 경찰권의 한계 __ 592

제2항  경찰책임 594

Ⅰ. 경찰책임의 관념 __ 595

Ⅱ. 행위책임 __ 597

Ⅲ. 상태책임 __ 598

Ⅳ. 경찰책임자의 경합 __ 599

Ⅴ. 경찰책임의 법적 승계 __ 600

Ⅵ. 경찰상 긴급상태(경찰책임자로서 제3자) __ 601

제3항  기타 경찰작용법상 특수문제 604

제1목  실효성 확보 수단으로서 경찰상 즉시강제 604

Ⅰ. 일반론 __ 604

Ⅱ. 경찰상 즉시강제의 수단 __ 605

Ⅲ. 차량의 견인 __ 609

제2목  경찰상 위험방지와 피해보상, 사인의 비용상환 610

Ⅰ. 경찰관 직무집행법상 위험방지조치에 따른 손실의 보상 __ 610

Ⅱ. 사인의 비용상환(경찰의 비용상환청구) __ 613

 

❚제5장  공적 시설법   615

제1절  공물법 615

제1항  일반론 615

Ⅰ. 공물의 의의 __ 615

Ⅱ. 공물의 종류 __ 616

제2항  공법적 지위의 변동 617

Ⅰ. 공물의 성립 __ 617

Ⅱ. 공물의 소멸 __ 619

 

제3항  공물의 법적 특질 621

Ⅰ. 공물권의 성질(공물법제) __ 621

Ⅱ. 사법적용의 한계 __ 622

제4항  공물의 관리 624

Ⅰ. 공물의 관리권 __ 624

Ⅱ. 공물관리의 비용 __ 626

Ⅲ. 공물의 관리와 경찰 __ 628

제5항  공물의 사용관계 629

Ⅰ. 자유사용 __ 629

Ⅱ. 허가사용 __ 631

Ⅲ. 특허사용 __ 633

Ⅳ. 관습법상 사용 __ 636

Ⅴ. 행정재산의 목적외 사용 __ 637

제2절  영조물법 638

Ⅰ. 영조물의 의의 __ 638

Ⅱ. 영조물주체의 고권(영조물권력) __ 639

제3절  공기업법 640

Ⅰ. 공기업의 의의 __ 640

Ⅱ. 공기업의 보호․감독 __ 641

Ⅲ. 특허기업의 관념 __ 642

 

❚제6장  공용부담법   647

제1절  공용부담 일반론 647

Ⅰ. 공용부담의 관념 __ 647

Ⅱ. 공용부담의 종류 __ 647

제2절  인적 공용부담 648

Ⅰ. 부담금 __ 648

Ⅱ. 노역․물품 __ 651

Ⅲ. 부역․현품 __ 652

Ⅳ. 시설부담 __ 652

Ⅴ. 부작위부담 __ 653

제3절  공용제한(물적 공용부담 1) 654

Ⅰ. 공용제한의 관념 __ 654

Ⅱ. 공용제한의 종류 __ 657

제4절  공용수용 661

제1항  일반론 661

Ⅰ. 공용수용의 의의 __ 661

Ⅱ. 공용수용의 당사자 __ 662

Ⅲ. 공용수용의 목적물 __ 663

 

제2항  사업의 준비(‘토상법’의 경우) 664

Ⅰ. 출입의 허가와 공고 __ 664

Ⅱ. 장해물의 제거 __ 665

Ⅲ. 손실의 보상 __ 665

제3항  공용수용의 절차 666

Ⅰ. 사업의 인정 __ 667

Ⅱ. 토지조서․물건조서, 보상계획 및 보상액의 산정 __ 668

Ⅲ. 협의 __ 669

Ⅳ. 재결 __ 670

Ⅴ. 재결에 대한 불복 __ 672

제4항  공용수용의 효과 673

Ⅰ. 손실의 보상 __ 673

Ⅱ. 대물적 효과 __ 674

제5항  환매권 676

Ⅰ. 환매권의 관념 __ 676

Ⅱ. 환매의 요건 __ 677

Ⅲ. 환매의 절차 __ 679

Ⅳ. 환매권에 관한 소송 __ 679

 

❚제7장  기타 특별행정법상 주요사항   681

제1절  토지행정법상 주요사항 681

제1항  토지행정작용의 주요내용 681

Ⅰ. 토지의 소유에 관한 사항 __ 681

Ⅱ. 토지의 이용에 관한 사항 __ 681

Ⅲ. 토지의 수익에 관한 사항 __ 682

Ⅳ. 토지의 처분에 관한 사항 __ 682

제2항  지가의 공시 683

Ⅰ. 표준지공시지가 __ 683

Ⅱ. 개별공시지가 __ 685

제2절  경제행정법의 주요사항 686

Ⅰ. 경제행정법의 의의 __ 686

Ⅱ. 경제행정의 임무 __ 686

Ⅲ. 보조금 __ 688

제3절  재무행정법상 주요사항  690

제1항  국유재산의 관리․처분 690

Ⅰ. 행정재산 __ 690

Ⅱ. 일반재산 __ 691

Ⅲ. 국유재산의 보호 __ 691

제2항  조세행정상 권리보호 692

Ⅰ. 행정상 쟁송(행정심판과 행정소송) __ 692

Ⅱ. 과오납의 반환청구 __ 694

제4절  환경행정법상 주요사항 694

Ⅰ. 환경정책상 기본원칙 __ 694

Ⅱ. 환경영향평가 __ 696

Ⅲ. 권리보호 __ 697

 

❚부    록 701

서식 1. 행정심판 청구서 703

서식 2. 집행정지신청서 704

서식 3. 소    장 705

서식 4. 행정처분 집행정지신청 706

❚판례색인 707

❚사항색인 715


 

책제원정보
ISBN 9791130333021
판형정보 762쪽 / 188x257mm(B5)/1448g
출판사 박영사
출판일 2019-01-10 출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 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
        (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에는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