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법조공화국

법조공화국

  • 강준만
  • |
  • 인물과사상사
  • |
  • 2025-03-31 출간
  • |
  • 216페이지
  • |
  • 140 X 210mm
  • |
  • ISBN 9788959067947
판매가

16,000원

즉시할인가

14,4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법은 정의보다는 출세의 수단이었다

왜 법조인 출신이 한국 정치판을 휩쓰는 걸까? 법조 출신 정치인은 공천에서 탈락하거나 선거에서 낙선해도 언제든지 변호사로 돌아갈 수 있는 자유와 혜택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변호사 모델’이 한국 정치판에서 잘나가는 정치인의 모델이 되었다. 법과 법치에 대한 불신이 높을수록 사법고시의 인기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다. 믿을 수 없는 법에 대한 공포 때문에 법에 대한 사랑을 강요받는 사회에서 법을 다룰 수 있는 면허는 권력과 부를 동시에 쟁취할 수 있는 수단이었다. 이렇듯 한국 사회에서 법은 정의보다는 출세와 특권의 수단으로서 그 가치가 더 높았다. 특히 사법고시는 ‘코리안 드림’을 이룰 수 있는 최고의 속성코스라는 걸 말해주는 ‘사회적 증거’로 여겨졌을 가능성이 높다. 사법연수원은 ‘부족주의 양성소’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법조인에게 특권의식과 더불어 부족주의를 키워주는 곳이 되었다.
한국은 사회의 모든 활동적인 요소를 태풍의 눈인 중앙권력을 향해 치닫게 하는 ‘소용돌이 사회’다. 서울 초집중화 체제는 한국의 최대 특수성이라고 할 만하다. “모든 가치는 중앙권력에 속한다.” 그런데 법조 특권주의의 동력은 ‘소용돌이 사회’인데, ‘소용돌이 사회’를 만들기 위해 애를 쓴 사람들이 ‘법조 특권주의’를 비난하는 데에 앞장서고 있으니 이런 내로남불이 어디 있는가? 또한 법조공화국은 법조인이나 관(官)에 의해서만 만들어진 게 아니라, 사법고시 합격자를 대하는 일반 국민의 자세와 태도도 큰 영향을 미친 ‘민관합동’의 결과다. ‘중앙과 정상을 향한 맹렬한 돌진’이 학벌주의와 결탁하면서 보통 사람들까지 ‘법조 특권주의’의 잠재적 고객으로 변질되어가고 있잖은가? 그러니 내 가족 중에서 법조인 나오게 만들면 된다는 게 해법으로 통용되고 있다.

‘윤석열의 몰락’과 ‘서울대 법대 정치인’

윤석열은 공적 마인드가 전혀 없는 부인을 자신의 우상으로 섬기면서 그 우상을 기쁘게 해주는 걸 국정 운영보다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해온 사람이다. 그는 2024년 총선에서 국민의힘의 참패를 불러왔고, 그로 인해 이전보다 더욱 심해진 민주당의 공격을 견디다 못해 12·3 비상계엄 선포와 같은 ‘미친 짓’을 저질렀다. 윤석열에게는 자기객관화 능력이 없을뿐더러 ‘현실 감각’이 없을 정도다. 그는 대선후보 시절부터 지성적인 측면에서 대선 후보라고 보기에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부족한 면이 많았다. 12·3 비상계엄은 윤석열 스스로 자기 무덤을 판 충동적이고 자멸적인 사건이었다. 그가 “나는 하늘이 내린 사람”이라는 나르시시즘에 중독되었다고 해도 놀랄 일은 아니다. 자신의 ‘김건희 숭배’가 자신은 물론 김건희마저 망쳤으며, 더 나아가 정권과 나라까지 망쳤다는 것을 눈곱만큼도 깨닫지 못했던 것 같다. 무엇보다도 반지성주의 면모가 두드러져 서울 법대의 이미지와는 영 어울리지 않았다.
‘법조 특권주의’의 대미를 장식할 실속형 특권주의가 바로 ‘전관예우’다. 이것은 끈끈한 동업자 의식이 전제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현직 시절에 갈고 닦은 ‘원만함’이 이때에 비로소 빛을 발하게 된다. 그런데 전관예우가 ‘사회 신뢰를 좀먹는 암 덩어리’이자 법조계의 후진적 악습인데도 전관예우는 사라지거나 약화되지 않는다. 오히려 전관예우는 “윤리도 법도 모두 비웃는 요술 단어”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혹 무너질 수 없는 구조적이고 역사적인 문제가 도사리고 있는 것은 아닐까? 국회의원들마저 평소엔 전관예우를 맹비난하다가도 막상 자신의 발등 위에 불이 떨어지면 전관 변호사를 구명줄처럼 여긴다. 우리 자신들도 막상 변호사를 찾을 때엔 ‘담당 검사를 잘 아느냐’, ‘담당 판사와는 어떤 사이냐’는 질문을 던질 정도로 인간관계 또는 처세의 문제로 가볍게 여기고 넘어가려는 마음가짐을 가진 이가 너무 많다. 법조 우대와 동경이 사적 욕망을 충족시키는 것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제 지난 수십 년간 줄기차게 반복되어온 전관예우와 관련된 대(對)국민사기극을 중단하고 현실적인 개선책을 모색해볼 때가 되었다.

목차

머리말 : ‘10대 0’의 선악 이분법을 넘어서 ㆍ 5

제1장 법은 정의보다는 출세의 수단이었다
법조인 출신이 장악한 한국 정치판 ㆍ 21 | 왜 법조인 출신이 정치판을 휩쓰는 걸까? ㆍ 23 | ‘유전무죄 무전유죄’라 사법고시 더 인기 ㆍ 26 | 박원순과 문재인이 누린 법조 특권주의 ㆍ 28 | 사회가 버려 놓는 사법고시 합격자 ㆍ 32 | 사법연수원은 부족주의 양성소 ㆍ 34

제2장 ‘소용돌이 사회’가 만든 법조 특권주의
왜 한국은 ‘소용돌이 사회’인가? ㆍ 39 | 경성제국대와 고등시험이 조성한 법조 특권주의 ㆍ 42 | 사법고시 합격자들의 노상 방뇨 의례 ㆍ 44 | 권력을 대하는 사람의 뇌는 건강한가? ㆍ 45 | 법조인들의 타고난 ‘서열 중독’ ㆍ 48 | ‘천재, 신동’이었던 이들의 특권의식 ㆍ 51 | 판검사의 ‘억압당한 자아’와 갑질 ㆍ 53 | 법조 개혁은 증오와 혐오로 이루어질 수 없다 ㆍ 55

제3장 ‘서울대 법대 정치인’은 왜 실패하는가?
서울법대동창회의 정신적 좌절 ㆍ 61 | 민청학련 사건의 3대 세계 기록 ㆍ 63 | “법대는 똑똑한 아이들 바보 만드는 곳” ㆍ 66 | 법조인들의 ‘확고한 기준’에 대한 무서움 ㆍ 69 | ‘현실, 특히 낮은 곳을 모르는 무지와 무식’ ㆍ 73 | 유권자들이 법조인을 선호하는 이유 ㆍ 75 | ‘서울 법대 공화국’의 파탄? ㆍ 77 | “법사위는 하루하루 지옥이었다” ㆍ 79 | “정치를 가슴이 아니라 머리로 한다” ㆍ 83 | 윤석열이 서울 법대 이미지에 어울리는가? ㆍ 86 | 윤석열의 실패에 한동훈이 져야 할 책임 ㆍ 89

제4장 왜 ‘전관예우’는 사라질 수 없는가?
왜 의뢰인들은 ‘전관’만 찾는가? ㆍ 95 | 속전속결이라는 알고리즘의 결과 ㆍ 99 | 고급 인력 유치를 위한 후불제 유인책 ㆍ 102 | 공적 영역의 모든 전관예우를 동시에 다루자 ㆍ 104 | 2000년대 전반의 전관예우 ㆍ 107 | 대법관 출신 변호사 연봉 27억 원 ㆍ 110 | 공정거래위원회 안팎에서 벌어진 코미디 ㆍ 112 | 전관예우는 “윤리도 법도 모두 비웃는 요술 단어” ㆍ 115

제5장 유사종교적 현상이 된 전관예우
대형 로펌의 ‘숨은 힘’인가? ㆍ 121 | ‘전관예우’는 법조계 후진성의 상징 ㆍ 123 | 김영란, “나도 연(年) 100억 받을 수 있다던데…” ㆍ 126 | 변호사 10명 중 9명 “전관예우 여전” ㆍ 129 | 갈수록 심화되는 ‘전관예우 불패’ 현상 ㆍ 132 | 공직 대기소가 된 로펌 ㆍ 134 | 판검사 출신 전관 변호사를 찾는 의원들 ㆍ 138 | 전관예우 맹비난했던 이재명의 언행 불일치 ㆍ 140 | 전관예우의 극치를 보인 ‘초호화 변호인단’ ㆍ 143 | 이재명의 대장동 변호사들의 공천·당선 ㆍ 145 | ‘침대재판’ 후엔 ‘판사 겁박’인가? ㆍ 148 | ‘이재명 로펌’이 된 민주당 ㆍ 151

제6장 국민적 신뢰도 추락에 둔감한 사법부
바닥을 기는 사법부 신뢰도 ㆍ 157 | 늑장 재판에 감봉 처분을 내린다면? ㆍ 160 | 국제인권법연구회는 왜 그럴까? ㆍ 163 | ‘재판관 개인 성향’을 어떻게 볼 것인가? ㆍ 166 | 공정하며 믿을 만하다는 이미지가 중요하다 ㆍ 168 | 사법부는 왜 사조직에 둔감한가? ㆍ 171

맺는말 : ‘개천에서 용 나는’ 모델을 넘어서
사외이사는 거수기 또는 정·관계 로비스트 ㆍ 175 | 한국에서 ‘엘리트’란 무엇인가? ㆍ 177 | 강남은 ‘한국 자본주의의 엔진’이 아니란 말인가? ㆍ 179 | ‘코리안 드림’ 모델이 완성시킨 법조공화국 ㆍ 183 | 『문재인의 운명』의 주요 내용이 바뀐 이유 ㆍ 185 | “정치 검찰 잡으려다 시민 발목 잡은 개혁” ㆍ 189 | 윤석열을 누가 책임져야 하는가? ㆍ 192 | 문재인 정권의 정략적 ‘윤석열 이용’엔 책임이 없는가? ㆍ 195 | 법조 개혁을 가로막는 진영 간 패권 전쟁 ㆍ 198

주 ㆍ 20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