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경계에서의 글쓰기 (큰글씨책)

경계에서의 글쓰기 (큰글씨책)

  • 오민석
  • |
  • 행성B
  • |
  • 2020-11-11 출간
  • |
  • 248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64711277
판매가

24,000원

즉시할인가

21,6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1,6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쪽과 저쪽 사이, 경계에서 바라본
잔혹하지만 아름다운 우리 삶의 풍경들

단국대학교 영미인문학과 오민석 교수가 지난 5년간 《중앙일보》 ‘삶의 향기’에 연재한 칼럼을 책으로 엮었다. 짧은 역사 동안 급격한 변화를 겪은 한국 사회가 여전히 품고 있는 전근대의 ‘신화’와 ‘다중(多衆)의 시대’라는 경계, 그리고 한국 정치의 갈수록 심각해지는 ‘진영’과 ‘진영’의 경계에서 적어 내려간, ‘이쪽’과 ‘저쪽’의 소통을 위한 거침없는 제안이다. 저자는 우리 사회가 추구해야 할 가치로 ‘사건으로서의 사랑’, 즉 공동선을 꼽고 문학과 일상에서 그 징표를 길어낸다.

경계에 서야
너와 내가 만난다

오민석은 영문학자다. 정확히는 문학 이론 교수이다. 그러면서 시인이다. 이런 이력의 소유자를 일간지 칼럼니스트로 만난다면 대개 일상의 풍경이나 문학에서 길어낸 따뜻한 감성 정도를 기대할지 모른다. 하지만 그의 칼럼은 독자를 배신한다. 지적 통찰이라는 매력으로, 문학적 사회 비평이란 반전으로.
그의 문학 이론과 현대 사상은 오히려 시평으로 생생한 호흡을 얻는다. 때로 매섭기까지 한 그의 지적은 반박 불가해 보인다. 그가 우리 시대의 발목을 잡는 ‘신화’와 ‘진영’의 말투를 쓰지 않고 이를 비판하기 때문이고, 하나의 현상에서 사회의 일면이 아닌 다면을 읽어내고 성찰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그의 글은 공동선에 바탕을 두고 있다. 공동선의 다른 이름은 곧 사랑이다. 개인적 관계가 사회적 관계로 경계를 확장하는 것이다. ‘공통적인 것(the common)’을 향하지 못하는 사랑은 병든다. 그러한 사회도 병든다. 그것이 바로 이 책 《경계에서의 글쓰기》가 말하는 ‘경계’이다.

문제는 21세기 현재는 영웅의 시대가 아니라는 것이다. 현대는 정치적 메시아의 시대가 아니라, ‘다중’의 시대이다. … 다중은 개체들이면서 집단이고, 집단이면서 동시에 자유로운 개체들이다. 시대착오적인 정치적, 사회적 메시아주의는 다중의 “공통적인 것(the common)”(안토니오 네그리)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권력의 생성에만 집중한다. 그들이 내놓는 대부분의 정책은 공공선(公共善)의 외피를 입고 있지만, 실제로는 권력의 재생산과 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19쪽

정치라는 이름의
가장 중요한 경계

칼럼은 시평이다. 시사, 사회, 풍속을 다루는 시평의 핵심은 정치다. 우리 사회에서 정치는 늘 정치에 갇혀 있다. 사람들이 정치에 피로를 느끼는 이유다. 하지만 《경계에서의 글쓰기》는 그 경계를 넘는다. 정치가 일상이고 생활인 이유를 정치 이야기로 뛰어넘는다. 정치는 우리 모두가 타고 있는 배, 경제와 문화와 사회를 전부 태운 배의 방향타이자 돛이다. 배(정치)가 산으로 간다면 다 무슨 소용이겠는가.
특히 분단 이후 지금까지 한국 사회는 이른바 ‘진영 논리’가 갈수록 심각하다. ‘이쪽’에서 ‘저쪽’에 말을 거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 ‘비난’과 ‘공격’으로 ‘공감’과 ‘동의’가 실종되었다. 자신들의 ‘바깥’을 사유하지 않는다. 이런 상황 속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경계’ 너머의 소통이다. 언어와 생각이 섞이고 사상과 실천이 맞부딪치는 곳이 경계이다. 이 책 《경계에서의 글쓰기》가 말하는 또 하나의 ‘경계’이다.

우리 사회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기에 집단주의와 탈정치적 개별주의를 이미 통과해왔다. 이제 개별성을 존중하면서 ‘공통의 문제’에서 시선을 떼지 않는 “복수(複數)적 주체”(안토니오 네그리)의 탄생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우리 사회는 지금 정의와 공정의 이름으로 오래 묵은 사회악들과 싸우고 있다. 바야흐로 진리 담론이 부상하고 있는 시기이다. 그러나 이럴 때일수록 우리는 진리 담론이 독점 담론으로 변질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진리 담론은 그 안에 동질성뿐만 아니라 이질성을 동시에 열어놓는다. 무오류주의에 빠지지 않으려면, 외부에 대한 비판과 동시에 내부를 성찰하는 ‘겹 지혜(double wisdom)’가 필요하다. -61쪽

‘사랑의 사건’이 태어나는
일상의 경계

사랑은 타자를 향한다. 타자와의 관계 맺기이다. 동시에 자신을 향한다. 타자 안에 내가 있기 때문이다. 성찰의 시작이다. 너와 내가 만날 때 우리는 늘 경계에 선다. 그리고 그 경계에서 다시 사랑으로 돌아간다. 경계에 설 때만 사랑은 사랑으로 재발명된다. 사랑-타자-관계-경계의 순환. 《경계에서의 글쓰기》는 5년 동안 일간지에 연재된 칼럼이지만 이 같은 주제의 순환을 끊임없이 변주하며 단단히 엮어 한 권의 산문집으로 완성되었다.
‘소확행’의 기쁨을 추구하는 에세이가 넘치는 시대, 힐링의 끝에서 또 힐링을 찾는 시대에 《경계에서의 글쓰기》는 우리가 선 자리를 묻는다. ‘사랑의 의지’로 마주해야 할 일상의 자리가 어디인지, 뜨거운 가슴으로 만들어가야 할 ‘사랑의 사건’이 무엇인지.

사랑 자체로 돌아가려 할 때, 그것을 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나’라는 동일자이다. 사랑은 본질적으로 ‘타자’를 지향하는 것이므로 ‘나’를 버리지 않을 때 사랑은 실현 불가능한 목표가 된다. 타자를 지향하지 않을 때 관계 자체가 망가지거나 사라지므로,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도 모르게 사랑이라는 실현하기 힘든 목표를 향해 분투한다. 우리는 모두 사랑하면서 깨지고 좌절하고 다시 사랑으로 끝없이 돌아가는 존재들이다. 개인적 관계이든 사회적 관계이든, 관계가 파괴된 사람들은 이 복잡한 사랑의 회로에서 무언가 뒤엉킨 사람들이다. 그러니 우리는 사랑의 방식에 대하여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184쪽


목차


책을 내며 ㆍ 06

1부 바깥을 사유하라

누가 공화국을 어린애로 만드는가
영웅은 없다 ㆍ 17 짧은 역사의 반격 ㆍ 21 예외적 개인들의 책임 ㆍ 25 부분의 위기, 전체의 위기 ㆍ 29 쇼는 이제 그만 ㆍ 33 누가 공화국을 어린애로 만드는가 ㆍ 37 ‘국민 대통합’이라는 이데올로기 ㆍ 41 수사의 힘 ㆍ 45 태초에 관계가 있었다 ㆍ 49

낡은 신화의 베개에서 코를 고는 사람들
한 시대가 가고 있다 ㆍ 55 집단성과 개별성, 그리고 그 너머 ㆍ 59 불행의 징후들, 그리고 저주받은 나라 ㆍ 63 빅 브라더들의 귀환 ㆍ 67 불일치의 정치학을 위하여 ㆍ 71 낡은 신화의 베개에서 코를 고는 사람들 ㆍ 75 막말의 사회 ㆍ 79 ‘독재 타도’라는 말 ㆍ 83 머나먼 선진국 ㆍ 87

해서 되는 일과 안 되는 일의 경계
성공학이라는 괴물 ㆍ 93 문학은 싸구려 연애질의 방패가 아니다 ㆍ 97 해서 되는 일과 안 되는 일의 경계 ㆍ 101 다른 집 애들처럼 살지 않기 ㆍ 105 사실과 해석 ㆍ 109 불편한 인문학을 위하여 ㆍ 113 블랙리스트와 문화 융성 ㆍ 117 사유화된 가정과 공공 영역 ㆍ 121 수치에 대하여 ㆍ 125

유쾌한 상대성을 위하여
파블로 카잘스, 새들의 노래 ㆍ 131 유쾌한 상대성을 위하여 ㆍ 135 악에 대하여 ㆍ 139 세계의 변화와 운동성 ㆍ 143 이 쓰라린 계급의 사회 ㆍ 147 카니발을 방해하는 것들 ㆍ 151 일요일 저녁 일곱 시의 그늘 ㆍ 155

2부 사랑은 의지다

사랑의 재발명
‘사건’으로서의 사랑 ㆍ 163 폐허 씨, 존재의 영도에 서다 ㆍ 167 사랑하기의 어려움 ㆍ 171 작은 자의 힘 ㆍ 175 샤갈의 눈썰매 ㆍ 179 사랑의 재발명 ㆍ 183

잘 살 권리와 사회적 사랑
어느 나무의 이야기 ㆍ 189 죽음에 대하여 ㆍ 193 사적 소유의 유령들 ㆍ 197 적을 ‘발명’하는 사회 ㆍ 201 프랜시스 베이컨과 고통의 보편성 ㆍ 205 잘 살 권리와 사회적 사랑 ㆍ 209 ‘즈음’의 시간 ㆍ 213

내가 밥 딜런을 좋아하는 이유
배리를 견디기 혹은 극복하기 ㆍ 219 ‘보여주기’와 ‘보기’ ㆍ 223 상처와 힐링 ㆍ 227 유토피아의 힘 ㆍ 231 내가 밥 딜런을 좋아하는 이유 ㆍ 235 너, 어디 있느냐 ㆍ 239 선물의 사회를 향하여 ㆍ 24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