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고유한 문화와 역사를 한눈에 ‘우리 문화유산’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왜 읽어야 할까요?
1. 인류가 함께 지키고 보존해야 할 문화유산의 가치를 발견해요
세대를 이어 계승할 만한 가치를 지닌 다양한 문화적 소산을 통틀어 문화유산이라고 해요. 세계 곳곳에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문화유산이 가득해요. 아주 오래전 인류가 남긴 문화유산들은 각 나라의 고유한 문화와 역사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랍니다. 문화유산을 보면 시대별로 어떻게 살았으며 어떤 가치를 추구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어요. 우리가 사용하는 물건이나 생활 공간, 문화 트렌드 역시 후대에는 귀중한 유산이 될 수 있기에 훼손하지 않고 잘 물려주는 자세가 필요하지요. 무엇보다 우리 문화유산을 폭넓게 알면 한국사를 이해하는 눈과 문화의 가치를 볼 줄 아는 안목이 생겨요. 나라의 큰 행사였던 종묘 제례, 우리 민족의 정서가 담긴 판소리, 제주 해녀, 함께 담그고 나누는 김장 문화, 남사당놀이 등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문화를 만나 보아요.
2. 문화유산을 둘러보며 자랑스러운 한국 문화를 느껴 보아요
2025년, 국립 중앙 박물관 관람객 수가 1945년 개관 이래 처음으로 5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여요. 우리 고유의 문화를 잘 지키고 보존해 온 덕분에 오늘날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K-문화가 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어요. 인도네시아의 찌아찌아족이 고유 문자가 없어 한글을 전통 언어를 보존하는 도구로 쓴다거나 유네스코에서 문맹을 퇴치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이나 단체를 선정해서 주는 상 이름이 ‘세종 대왕 문해상’인 점 등 세계 속으로 뻗어 가는 한국 문화가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최근 울산에 있는 선사 시대 유적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어요. 앞으로 더 많은 한국의 문화유산이 세계에 알려지도록 우리 스스로가 우리 문화를 더 잘 알고 지키며 가꿔 나가요.
3. 문화유산에 숨겨진 신기하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엿보아요
세계 문화유산에는 설화나 전설에 나오는 흥미로운 이야기들로 가득해요. 백제의 무왕이 용화산 아래를 지나던 중 연못가에 나타난 미륵 삼존을 보고 그 자리에 지었다는 설화가 전하는 미륵사, 전생의 기억을 가진 채 다시 태어난 재상 김대성이 부모를 위해 불국사와 석굴암을 지은 이야기, 남자들로 구성된 남사당패에서 최초의 여자 꼭두쇠가 된 바우덕이, 창덕궁 낙선재에서 마지막을 맞이한 조선의 왕족 이야기 등을 읽어 내려가다 보면 우리 역사가 한눈에 펼쳐져요.
역사 이야기뿐만 아니라 해인사 장경판전의 온도와 습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과학 원리나 먼 거리를 이동하는 철새들이 쉬어 가는 생명의 땅, 갯벌에 얽힌 환경 이야기 등 〈그림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에 담긴 생동감 넘치는 사진과 다채로운 이야기를 통해 문화유산이 한층 더 가깝게 느껴질 거예요.
⊙ 〈그림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은 어떤 점이 특별할까요?
1.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썼어요
〈그림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은 어린이가 쉽고 재미있게 문화유산에 얽힌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면서도 방대한 이야기의 맥락까지 잡을 수 있게 도와줘요. 짧은 글과 재미있는 그림으로 구성되어 더욱 쉽지요. 어렵고 딱딱한 단어와 문장을 말랑하게 풀고 그림은 재미있고 생생하게 그려 어린이의 흥미를 끌지요.
2. 재미있는 이야기와 생생한 그림을 일대일로 맞췄어요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는 다양한 사건과 인물이 등장하기 때문에 어린이에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어요. 그래서 〈그림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은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술술 읽히면서도 깊게 생각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구성했어요. 또 그림 비중을 확 늘려 매 페이지마다 주요 장면을 재치 있게 풀어내 생생한 느낌으로 책장을 넘길 수 있을 거예요.
3. 깊이 있고 재미있게 세계사를 공부하는 코너가 가득해요
‘우리 유산 배움터’에는 어린이가 흥미 있어 할 만한 문화유산 및 역사와 관련된 지식 정보들을 소개해 한국사에 관한 폭넓은 배경지식을 쌓을 수 있어요. 각 장의 마지막에 있는 ‘우리 유산 놀이터’에서는 다시 한 번 앞의 내용을 더듬으며 기억하게 해 줄 다른 그림 찾기, 상상하여 그리기, 숨은그림찾기, 알맞은 것끼리 연결하기 등 재미있는 퀴즈로 역사의 흐름과 내용을 잡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