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주권 시대, 공공이 설계해야 할 미래
AI가 사회 구조를 재편하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공공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탐구한다. AI를 단순한 규제 대상이나 소비재로 보지 않고, 사회적 안전망·조율자·선도자로서 공공의 삼중적 책무를 강조한다. OECD, 유네스코, EU AI 법 등 국제 규범의 흐름을 짚으며, AI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각국의 전략(유럽의 가이아-X, 프랑스의 BLOOM, 한국의 하이퍼클로바X와 엑사원3 사례)을 풍부히 제시한다.
특히 공공 부문이 주도하는 오픈소스 LLM 개발과 데이터 주권 확보가 국가 경쟁력의 핵심임을 강조하며, AI가 누구도 소외하지 않는 포용적 서비스와 윤리적 기준 위에 작동해야 함을 역설한다. 장애인 상담, 노인 돌봄, 지역 언어 챗봇 같은 공공 활용 사례는 기술의 진정한 가치가 ‘공익’에 있음을 보여 준다. AI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AI는 누구를 위해 작동하는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던지며, 국가와 사회가 나아가야 할 책임 있는 길을 설계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