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클라우드(Cloud) 네이티브의 개요
클라우드 네이티브, 등장 배경, 구성, 특징, 구성요소, Cloud Native Application, 성숙도 단계,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장·단점, 전환 효과,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안전성·확장성·신속성,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도입 목표 등 학습에 기본이 되는 토픽들입니다. [관련 토픽 - 19개]
Part 2.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성요소 및 원칙
컨테이너(Container)와 Virtual Machine의 차이, 오케스트레이션의 주요 기능,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 MSA 구조 및 장·단점, 특징, CI/CD, DevOps, DevSecOps 등에 대해 알차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관련 토픽 - 16개]
Part 3. 클라우드 네이티브 적합성 검토
클라우드 네이티브 정책과 업무 관점의 검토 항목과 기술 및 서비스 관점의 검토 항목, 프로세스 관점, 조직 관점의 검토 항목, Cloud Native 개발 비용 산정, 우선순위 결정요소 등을 이해하고 답안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관련 토픽 - 6개]
Part 4.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기술
REST, SSL, SOA, EAI, AnyLink, JSON, Open API, 서버리스 아키텍처, Platform Engineering, 카프카(Kafka), Apache Storm, 넷퍼넬, AMQP, 로드 밸런싱, IPC, BaaS와FaaS, 멀티 클라우드(Multi Cloud), 클라우드 상호운용성 등에 대해 답안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관련 토픽 - 35개]
Part 5. 클라우드 네이티브 내·외부 아키텍처
내부 아키텍처, 외부 아키텍처, 개발 절차, MSA 전환 예시, API Gateway, 서비스 메시(Service Mesh), Service Discovery, 쿠버네티스(Kubernetes), 개발 및 실행 지원 서비스, 실행 영역과 Backend 서비스, 운영지원 서비스와 Cloud 인프라 등의 출제 경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관련 토픽 - 18개]
Part 6. 클라우드 네이티브 분석단계
마이크로 서비스 도출, DDD설계, 바운디드 컨텍스트와 애그리거트, 컨텍스트 맵핑(Context Mapping), Micro-Service 식별 및 경계 도출 방안, Micro-Service 도출 예시, 이벤트 스토밍을 통한 마이크로서비스 도출 과정 등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관련 토픽 - 12개]
Part 7. 클라우드 네이티브 설계단계
MSA의 기술 요소 및 도입 시 고려사항과 운영 시 예상문제와 해결 방안, Cloud Native Application 아키텍처의 구성, Micro Service 아키텍처의 설계 방안, SAGA 패턴, CQRS 패턴, 통신 패턴, 폴리글랏 아키텍처, Cloud Migration, 12 Factors 기반 개발원칙 등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하였습니다. [관련 토픽 - 23개]
Part 8. 클라우드 네이티브 보안 분야
개방형 API(Open API)의 취약점과 대응 방안, 클라우드 서비스 위험관리 원칙 및 기준과 보안대책 수립 및 보안성 검토, 전통적인 Cloud 보안과 Cloud Native 보안 비교, 다층 보안 체계(Multi Level Security) 등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하였습니다. [관련 토픽 - 4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