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자이 오사무와 꽃
다자이의 젊은 시절 작품에는 ‘하강 지향’, ‘불안’, ‘회한’, ‘고뇌’의 그림자가 만년을 연상하게 만드는 매력적인 작품이 많다. 그는 특히 ‘꽃’의 상징을 통해 자신의 무의식 세계를 자연스럽게 표출했다. 이에, 다자이 오사무의 첫 번째 작품집 《만년》(1936)에서도 특히 ‘꽃’과 긴밀한 관계를 가진 네 작품을 선역했다.
첫 수록작〈잎〉은 《만년》에 실린 첫 번째 단편이다. 이 작품에서 다자이는 ‘생’과 ‘사’의 의미를 꽃과 잎을 통해 드러낸다. 작품은 “죽으려고 생각했다”로 시작하여 생을 생각하는 이야기로 나아간다. ‘꽃’은 ‘톡 하고 터져 지저분한 즙이 튀어나와 순식간에 손가락을 썩게 한다’는 청춘의 이미지로 그려진다. 한편 ‘잎’은 ‘앞’과 ‘뒤’ 그리고 ‘푸르다’와 ‘바싹바싹 말라 벌레 먹은 것’이라는 상반된 어휘로써 인간의 고뇌의 삶을 의미한다. 조각조각 흩날리는 언어 표현이 자살, 죽음, 불안, 허무를 연상하게 만드는 이 작품은 청춘의 문학에서 만년을 생각하는 다자이 문학의 특징을 고스란히 담았다.
두 번째,〈추억〉은 다자이의 어린 시절을 자전적으로 담은 단편이다. 주인공은 부모에 대한 기억보다 이모와 하인들과 성장하면서 겪은 다양한 경험을 술회한다. 가족에게 소외된 외로움, 자신감 결여 등으로 학업보다는 복장이나 용모에 신경을 쓰면서 타인을 의식하던 중 ‘미요’를 통해 첫사랑의 감정을 느낀다. 그러나 표현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가슴앓이를 한다. 고향과 첫사랑에 대한 추억의 매개물로 황매화, 장미, 국화, 달맞이꽃 등 아홉여 종의 꽃이 묘사된다.
세 번째, 〈그는 옛날의 그가 아니다〉는 다자이의 작품 중에서도 한 가지 종류의 꽃, 백일홍을 일곱 차례나 수개월에 걸쳐 그 변화를 묘사했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다. 백수 청년 집주인과 백수 청년 세입자, 그리고 그의 아내의 변화 과정이 백일홍과 함께 묘사된다. 미묘한 관계 속에 집세를 받지 못하면서도 세입자에게 끌리는 집주인과 백수임에도 여기서 벗어날 생각이 없는 세입자는 점점 닮은꼴이 된다. 이들의 생활상은 근대인의 무성격을 그대로 반영해 준다. 또한 근대 일본 젊은이들의 모습으로 거부할 수 없는 다자이를 연상하게 한다.
네 번째, 〈장님 이야기〉의 제목은 《마쿠라노소시》에서 따온 것으로 이것을 "메쿠라소시(장님 이야기)"로 표현할 정도로 삶에 대한 무게를 강하게 담은 작품이다. 주인공은 협죽도에 끌려 이웃집 여인에게 한 그루를 얻게 된다. 협죽도는 대개 기후가 따뜻한 지역에서 자생하는 꽃으로 주인공이 살고 있는 아오모리에서는 보기 힘든 꽃이다. 붉은빛이 감돌아 무척 아름답지만, 잎과 줄기에 독성을 가지고 있어, 꽃말 역시 ‘주의’다. 유독 이 꽃에 관심을 보이는 주인공은 소설 첫 부분의 “아무것도 쓰지 마. 아무것도 읽지 마. 아무것도 생각하지 마. 오직 살아만 있어”라는 글귀처럼 꽃을 매개로 극에 달하는 슬픈 심정 변화를 드러낸다. 소설 말미 주인공은 일본 자생종과 대비되며 인공의 극치를 보이는 서양화단을 응시하며 ‘눈물’을 보인다. 이들 꽃을 열거한 뒤에 붙인 ‘교언영색(巧言令色)’이라는 한마디야말로 작가의 심경 묘사 그대로다.
소설을 읽은 후, 소설과 꽃의 의미에 대해 깊이 있는 고찰을 할 수 있도록 다자이 오사무 전문가인 역자 하정민의 논문 〈다자이 오사무 전기 문학과 ‘꽃’의 상징에 대한 연구〉(2016, 대한일어일문학회)를 발췌해 곁텍스트로 실었다.
다자이 오사무가 남긴 사진과 글씨, 그림들
이 책에는 작가의 작품 세계에 입체적으로 닿게 할 이미지 자료도 다수 실렸다. 가족은 언제나 그의 작품의 주요 소재였다. 이들의 실제 모습을 볼 수 있도록 본가 쓰시마가의 가족사진부터 어머니, 이모와 함께 찍은 어린 시절의 사진, 그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유모 다네의 사진을 실었다. 이 외에 〈추억〉 속 모습을 떠올리게 하는 작가의 고교 시절 교복 차림 사진과 자필 영어 작문, 교과서에 남긴 낙서를 수록했다. 여기에 더해, 작가가 직접 남긴 서예 작품과 그림도 여러 점 실었다. 〈잎〉의 한 구절을 쓴 서예 작품도 있어 눈길을 끈다. 다른 책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귀한 자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