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우리 사회는 모든 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선진사회로 도약하였습니다. 이에 반해 많은 근로자들이 있는 산업현장에서는 아직도 협착ㆍ추락ㆍ전도 등 반복ㆍ재래형 재해와 중대산업사고(화재ㆍ폭발, 누출사고 등),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직업병 문제 등이 끊임없이 발생하며, 하루에 약 7명, 1년에 2,400여 명의 근로자가 귀중한 목숨을 잃고,연간 약 9만 명의 재해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산업재해로 인한 물적ㆍ인적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정부는 안전에 대한 기업의 책임과 의무를 강화하며, 각 기업들은 안전에 대한 의식의 변화와 자발적인 안전관리의 역량을 키우기 위한 안전보건경영의 활성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전기화재, 감전 등의 전기재해로 인한 피해도 상당히 심각한 수준으로 점차 다양화ㆍ대형화되는 전기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전문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황을 볼 때 전기안전기술사에 대한 인력수요는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술사 필기시험의 경우 1교시에서 4교시까지 각 교시당 100분, 총 400분 동안 실시되고 있습니다. 1교시의 경우에는 주로 단답형 주관식 문제(13문항 중 10문제 선택, 각 10점)가, 2~4교시의 경우 논술형 문제(6문항 중 4문제 선택, 각 25점)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전기안전기술사의 경우, 다른 기술사와 달리 안전관리론, 산업안전보건법이라는 생소한 분야에서도 많은 문제가 출제되므로, 전기안전공학 분야만 공부해서는 합격할 수 없습니다.
최근에는 송배전, 발변전, 전력계통 분야에서도 많은 문제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전기안전기술사를 준비하는 데 있어 수험생 여러분이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안전관리론’과 ‘산업안전보건법’ 분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또한 송배전, 발변전 분야는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풀이하며, 변형된 문제에도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가장 효과적인 학습방법은 기본서와 서브 노트를 병행하는 것입니다. 몇 번 응시하여 실패하였다고 하더라도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도전할 것을 권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