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흔들림을 놓는다

흔들림을 놓는다

  • 장욱
  • |
  • 황금알
  • |
  • 2025-08-22 출간
  • |
  • 128페이지
  • |
  • 128 X 210mm
  • |
  • ISBN 9791168151215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4,85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8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나’ 속의 ‘맑음’을 찾아 “혼자 걷는 고요”의 시학

양병호(시인·전북대 국문과 교수)


장욱 시인은 존재론적 성찰을 열정적으로 감당한다. 그는 삶의 정공법을 택한다. 그는 삶의 필수불가결한 화두를 기피하지 않는다. 먹고 사느라 바쁘다는 핑계로 궁극에 대한 질문을 유기하지 않는다. 그는 인간의 본성, 정체성, 성격 등을 치밀하게 탐구한다. 인간 본질이나 삶의 조건 등을 진지하게 사색하면서 이리저리 공구린다. ‘나’ 속의 ‘맑음’을 찾아 “혼자 걷는 고요”의 사색을 즐긴다. 시인은 기독교 신자이다. 신과의 대화를 통해 삶의 품격을 드높이고자 하는 열망을 지니고 있다. 신을 통해 삶을 투명하게 기획하고 자아를 수련하려 노력한다.

그는 일상에서 신의 존재와 흔적 찾기를 위한 방식으로 명상과 사색을 선호한다. 그는 찰나의 포착을 위해 예민하고 섬세하게 세계를 응시한다. 그리하여 소소한 일상에서 번개처럼 등장했다 사라지는 신의 기미를 놓치지 않으려 고군분투한다. 신/존재는 주로 자연 현상/존재자를 통해 현현한다. 하여 그는 일상의 수수한 자연 현상을 주목한다. 그는 자연 현상을 통해 신의 본질에 직핍하려는 의도를 지닌다. 현상에서 본질을 읽어내는 방식에 필수적인 조건은 고요와 사색이다. 천상천하 유아독존의 그는 “혼자 걷는 고요”를 즐긴다.

신은 ‘하늘’에 거주하고 시인은 ‘지상’에 실존한다. 하늘은 순수한 천상의 의미를 지닌다. 예컨대 완전무결한 이데아의 의미를 함축한다. 지상은 오욕의 현실 의미를 지닌다. 지상은 인간 존재의 실존에 한계로 작용하는 시간이 지배하는 공간이다. 시인은 시간의 위력을 거부하거나 강압에 저항하지 않는다. 시간의 절대 앞에 순응하여 고순고순 낡아가는 자아를 기꺼이 받아들인다. 시인은 지상의 삶을 기피하거나 혐오하지 않는다. 다만 시인은 바람 불고 먼지 날리는 지상에서 순정한 하늘, 즉 존재의 본질을 그리워한다.
장욱 시인은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세계의 한 존재로 살아가면서 변화하지 않는 항구적 본질을 그리워한다. 존재의 본질에 대한 탐구는 변화하는 세계에 대응하는 인간의 정체성 찾기에 다름 아니다. 또 시인은 지상의 현실에서 신성 찾기를 추구한다. 이와 아울러 실존의 자아를 탐구하는 것이 전제적으로 수행된다. 하여 자아와 신이 연결 소통 교감하기를 희망한다. 시인의 고백에 따르면 “빛무리”를 발견하고 만나는 일이다. 시인은 일상에서 신성 찾기를 사명의식으로 실존한다. 그리하여 자아 속의 “맑음” 즉 순정한 자아를 이룩하기를 기대하고 소망한다. 자아의 존재론적 근거가 바로 신과의 영통인 것이다.
장욱 시인의 순정한 ‘나’ 찾기와 절대의 ‘신성’ 탐구는 이 시집 「흔들림을 놓는다」의 주요한 테마이다. 그 신성은 “맑음”으로 제시된다. 시인은 “신성”을 포착하기 위하여 예민한 감각의 촉수를 연마한다. 그리하여 일상에서 마주치는 자연 현상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몰입의 경지에 도달한다. 마치 보들레르(Charles Pierre Baudelaire)가 「교응(correspondances)」이라는 작품에서 “자연은 살아 있는 기둥들이/ 때때로 모호한 말들을 새어 보내는 사원/ 사람들은 친근한 눈길로 자기를 지켜보는/ 상징의 숲을 가로질러 그곳으로 들어간다”에서처럼.

흰 접시 바닥 위에 생달걀을 올려 놓다

소리도 잠시 섞여 둥글둥글 흔들린다

투명한 탄력이 굴절된 잡음을 털어낸다

청결한 내막內膜 안에서는 탯줄 끝에 이어진 맥박이 바닥까지 숨을 참고 찍어 멈출 때 더 비틀거리고 더 깊이 깨어난다

삶의 무게를 떨어뜨리는 낙하지점 검은 눈빛 한 점 추錘가 둥긂 속 모든 흔들림, 떠도는 혼돈을 붙잡고 들끓는 붉은 고요 탄생 신화 껍질을 탁, 깨트리는

순간의 절정

나 안에 나를 찾아서 나를 흔든다

-「흔들림을 놓는다」 전문

시집의 표제시인 이 작품은 일상에서 흔히 체험하는 달걀 요리 과정을 환기한다. 달걀후라이든 계란찜이든 조리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으로 달걀을 깨야만 한다. 시인은 달걀 깨는 과정을 섬세하게 관찰한다. 나아가 달걀에 자아를 투사하여 주객합일을 이룬다. 달걀은 단순한 사물이 아니라 존재를 상징한다. 달걀은 화자의 관찰 대상인 타자이면서 동시에 관찰자인 자아이기도 하다. 예컨대 달걀은 객체이면서 동시에 주체인 것이다. 화자는 달걀을 통해 존재론적 사색을 한다.
이 시는 모두 7행으로 된 형식구조를 지니고 있다. 어찌 보면 7연으로도 읽힌다. 그러나 행과 행 사이를 여백을 주기 위한 의도로 이해한다면 7행구조가 타당할 것이다. 이러한 시인의 작시 방식은 시집 전편에 걸쳐 나타난다. 아마도 행과 행 사이를 결행 처리한 의도는 여백의 공간에서 사유할 시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장욱의 시는 상상력이 활달하여 읽으면서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지 않다. 하여 독자가 시를 읽을 때 시상을 따라 너무 쉽게 흘러가지 않도록 배려한 것이다. 달리 말하면 독자가 시행의 의미와 의도를 향해 곰곰이 사색할 시간을 확보하도록 강제 조치한 것이다.
1행은 주체자가 “생달걀”을 특정한 장소에 위치시키는 장면이다. “생달걀”은 날것의 의미를 지닌다. 예컨대 달걀은 가공되거나 죽어 있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존재성을 띤다. 달걀이 놓여 있는 장소는 “흰 접시 바닥”인데, 이는 순백 이미지의 힘을 받아 신성한 공간을 함축한다. 2행에서 “달걀”은 “접시”/세계와 서로 접촉/관계하면서 상호 조응하는 “소리”를 발생시킨다. 이는 존재와 세계가 교섭하는 것이다. 다만 그 “소리”는 서로 마찰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둥글둥글” 화응을 이루어낸다. 그럼에도 “소리”는 안정되지 못하고 “흔들리는” 존재론적 성격을 보인다.
3행에서 “달걀”은 존재와 세계 사이의 불화로 인해 야기된 “소리”를 “잡음”으로 인지한다. 나아가 달걀은 “투명한 탄력”이라는 포용력으로 불화관계를 말끔히 해소한다. 하여 자아 존재와 세계는 화평한 관계를 유지한다. 즉 주체적인 자아 존재의 긍정적인 인지 각성을 통해 세계와의 불화가 거세된다. 화자/주체는 불가에서 말하는 일체유심조의 경지를 보이는 것이다.
이제 화자는 자아 존재로 직핍한다. 4행은 “달걀”/존재 내면의 문제를 말한다. 달걀의 내부 생리적 구조를 치밀하게 묘사한 이 시행은 “달걀”이라는 존재가 전심전력으로 자아 정체성을 찾는 과정을 드러낸다. 자아 존재를 규명하고 확립하는 치열한 내면 성찰의 과정은 “비틀거릴수록”, 즉 고뇌와 번민이 가열 찰수록 “더 깊이 깨어난다.” 예컨대 존재 해명을 위한 성찰 작업이 극한의 상황에 몰릴 정도로 이루어져야 역설적으로 각성이 더욱 의미심장하게 성취된다는 것이다.
5행은 역시 자아 존재에 대한 치열한 성찰의 고투를 보인다. “달걀”로 표상된 존재는 삶의 의의와 가치를 훼손하는 ‘거시기’들 때문에 사뭇 흔들리고 동요한다. 여기서 거시기/“검은 눈빛 한 점”들은 시간이나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다양한 고민이나 방황이나 좌절일 것이다. 현실에서 삶을 이루는 현존재는 실존적 제약인 “흔들림”을 필수적으로 감내해야만 한다. 다만 그 고민이나 좌절 등은 원만한 조화와 안정을 암시하는 “둥긂” 속에 존재한다. 현존재는 실존의 지상에서 “떠도는 혼돈”으로 살아간다. 이 혼돈을 제거하기 위하여 존재는 “들끓는 붉은 고요”의 시간에 더욱 진지한 성찰의 과정을 보내야 한다. 그 때 “탄생 신화”는 “탁” 비명을 지르며 순정한 자아 존재로 환생하게 된다.
6행 “순간의 절정”은 존재 각성의 순간이다. 달리 말하면 깨달음의 순간이다. 화자/존재는 달걀이 깨지는 순간 각성 혹은 깨달음의 경지에 입문한다. 자아를 에워싸고 있는 껍질/관념을 깨트리고 새롭게 태어나는 것이다. 그럼에도 존재/화자는 지속적으로 “나 안에 나를 찾아서 나를 흔든다.” 진정한 자아를 찾아서 번민하고 방황하고 좌절하는 것은 인간 존재의 숙명이다. 그리하여 이 시의 제목 “흔들림을 놓는다”는 존재의 현실적 욕망이지만 결코 벗어날 수 없는 “흔들림”의 갈등 속에서 살아갈 운명인 것이다.

찔레밭 초록 바위 속에도 흔들림이 있다

흔들리지 않으려고 가부좌를 틀었다

삶 깊이 끌어안은 가시 끝을 뚫고 나가

오직 당차고 고고하게 꽃 피어 보려고

가시덤불 딛고 서서

싸워 볼 때까지 싸워 보고 소리 질러 볼 때까지 소리질러 보고 부서질 때까지 부서지고 흘러가고 누워 보고 잠겨 보고

탈골 탈피 탈아된 사유의 절정

오뉴월 햇살 모서리를 뒤척이는 찔레꽃잎 흰 것들 씹고 씹어서

시간을 묻는다 그리움을 묻는다 흔들림을 묻는다

흔들리지 않으려고 더 깊이 흔들린다

-「초록 바위」 전문

이 작품 역시 자아 존재의 성찰을 화두로 삼은 시이다. 자아 존재는 “초록 바위”로 환유된다. 본래 바위는 무감정의 단호하고 냉혹한 무생명체로 인지된다. 그러나 이 시에서 바위는 감정과 인식을 지닌 유정체로 탈바꿈된다. 서정적 자아로 변모된 바위는 실존의 희망을 토로하는 주체로 기능한다. 바위는 화자의 관찰 대상이자 곧 자아 자신이 되기도 한다. 주객이 합일을 이룬 상태인 것이다.
유치환 시인은 「바위」에서 “아예 애련에 물들지 않고/ 희로에 움직이지 않고/ (중략) / 소리하지 않는 바위가 되리라”고 노래한다. 장욱 시인 역시 “흔들리지 않으려”는 의지적 면모를 보인다. 바위가 제시하는 단단하고 강직한 이미지를 내면의 품성으로 획득하고 싶은 욕망을 형상화 한다. 그는 “탈골 탈피 탈아된 사유의 절정”을 통하여 순정한 자아를 완성하고자 정진 수행한다. 기존 관념이나 기성으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자유와 해방의 열정을 폭발적으로 드러낸다.
자아/화자를 속박하고 구속하는 동인은 “흔들림”과 “가시덤불”로 은유된다. 화자/존재/인간은 방황, 갈등, 좌절의 번민으로 흔들리는 삶을 이룬다. 도종환 시인이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라고 존재론적 성격을 읊었듯이. 또 실존의 지상에는 존재의 평안을 위협하고 강박하는 “가시”가 더불어 살아간다. 화자/존재는 지상의 현실에 온존하는 “가시덤불”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력투구로 응전한다. “흔들림”과 “가시”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온몸으로 몸부림친다.
화자/바위는 존재의 현실을 억압하는 것들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궁극적으로 “묻는” 행동을 각오한다. 마침내 화자는 “시간을, 그리움을, 흔들림을” 통째로 묻어버리려 다짐한다. 여기서 묻는 행동은 탈피를 목적으로 한 주체의 망각 혹은 초월의 의지이다. 그러나 인간 존재는 본질적으로 시간의 구속을 받아 소멸하는 존재론적 성격을 운명으로 한다. 또 그리움 역시 타자에 대한 사랑의 한 표상으로 억제할 수 없는 자연발생적 특성을 지닌다.
화자는 본질적으로 불가능한 번뇌를 자의적으로 잊기 위하여 묻어버리려는 시도를 감행한다. 결국 화자는 “흔들리지 않으려고 더 깊이 흔들린다”는 역설을 제시한다. 이는 자아/존재/세계에 대한 번민을 회피하지 않고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 표명이다. 인간/존재는 성찰과 고뇌를 통해 진정한 본색의 자아를 성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땅콩잎 초록 줄기는 검은 침묵을 땅에 묻는다

고혈압 처방전 한 잎 무거움도 흙가슴에 묻힌다

따가운 햇볕 속에 떨어진 쪽복음 몇 말씀도 주워 밀알이 되라고 땅에 묻고

카톡 열리는 신호음 떠돌이 양 한 마리들의 울음소리도 땅에 묻고

은방울꽃잎에 맺힌 그리움 몇 방울도 떨어뜨려 침묵한다

지상의
그늘
어둠의
깊이

은둔자의 사유가 구워낸 인내와 지혜와 향기가 주렁주렁 끌려 나온다

-「침묵의 맛」 전문

이 시는 인생살이의 한 진경을 제시한다. 단독자로서 주어진 생을 묵묵히 살아내는 삶의 방식을 드러낸다. 적막한 세상에서 자아 내면으로 침잠하여 고요히 삶을 이루어가는 구도자의 초상을 그려낸다. 살아가며 부닥치는 곤경이나 오욕을 긍정적으로 수용한다. 심지어 인간 존재가 품을 수밖에 없는 최소한의 욕망조차 의도적으로 삭제한다. 삶을 치루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상황을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감내한다. 그리하여 “침묵의 맛”을 이해하고 즐기는 경지로까지 나아간다.
노년의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금언이 있다. 주머니는 활짝 열고 입은 꽉 다물어라. 이는 노년에 이르면 살아오면서 겪은 경험치가 쌓여 인생과 세상을 다 통달한 듯한 착각에 빠진 것을 경계하는 말이다. 노인들은 후세대에게 자신의 경험을 주저리주저리 설파하면서 권위주의 태도를 노출한다. 물론 조언이나 교훈이나 배려라는 미명하에 행해지는 습벽이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배려는 조용히 침묵하면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다. 내면으로 침잠하여 자아를 더욱 단단히 완성하고 외부 세계에 대해서는 조용히 지켜보는 삶의 태도가 필요하다.
이 시에는 자아내면의 욕망을 잠재우고 고요히 침묵하는 “맛”에 대한 다양한 해법이 제시된다. 침묵의 방식으로 여러 “묻는” 사례들이 제시된다. “묻는” 행위는 의도적으로 절제하는 자세를 의미한다. 1행 “땅콩잎 초록 줄기는 검은 침묵을 땅에 묻는다”는 화자 외부의 자연 사물인 “땅콩잎 초록 줄기”의 침묵의 자세를 제시한다. 이어서 화자는 자신의 육체적 한계인 “고혈압”에 관한 근심 걱정도 심리적으로 제거한다. 또 “쪽복음 몇 말씀”이 생의 자양이 되기를 희망하며 내면에 간직한다. 인간관계를 암시하는 “카톡 소리”에 대한 관심도 의도적으로 절제한다. 심지어 인간의 외로움을 달래주는 “그리움”도 삭제하고 “침묵”을 지향한다.
화자/“은둔자”의 삶의 태도는 “지상의/ 그늘/ 어둠의/ 깊이”를 추구한다. 현실/“지상”에서 삶을 영위하는 인간/화자는 “그늘”과 “어둠”의 심연으로 침잠한다. 이는 삶의 낮고 어려운 곳을 지향하는 겸허한 인생 자세를 함축한다. 그는 “은둔자”의 태도로 세속과 의도적으로 격리하여 내면의 고요를 추구하는 것이다. 이로 말미암아 “은둔자”/화자는 “인내와 지혜와 향기”를 성취한다. 자연에 의탁하여 정갈하고 고요한 삶을 유지하는 “은둔자”의 인생살이가 지상에 맑은 향기를 산포한다. 찬란한 빛무리가 지상을 아름답고 향기롭게 물들이는 순간이다.
장욱 시인은 시집 「흔들림을 놓는다」에서 존재론적 탐구와 인생론적 사색을 치밀하고 활달하게 수행한다. ‘나’/자아의 본질이나 궁극에 대해 진지한 자세로 집요하게 사색한다. 마치 진중한 수행자의 태도로 본질적 자아의 궁극을 향해 번뇌하고 사유한다. 그는 ‘나’의 내면에 잠복한 욕망을 정면으로 응시한다. 그리하여 욕망과 번뇌와 갈등이 거세된 맑고 푸르른 자아를 이룩하기 위하여 정진 수행하는 자세를 표방한다. 이른바 “흔들림”으로 난삽한 지상 현실 공간에서의 삶이 평화롭고 고요하기를 희망한다.
지상에서 실존하는 고독한 존재는 평안한 내면의 “맑음”과 “둥긂”을 지향한다. 그리하여 자유롭고 순수한 자아 완성을 위하여 “혼자 걷는 고요한 사색”을 탐닉한다. 시인의 사색은 활달하고 호방한 상상력의 전범을 보인다. 그 사색이 지향하는 곳에는 신/절대자/초월자의 환영이 어른거린다. 어리숙하고 불완전한 그는 자유롭고 완전무결한 신과의 영통을 겸허하게 바란다. 초월자가 보내는 “빛무리”, 즉 신성과 만나기를 희망한다. 지상의 욕망으로부터 탈피하여 자유롭고 평화로운 삶을 이루기를 소망한다.
장욱 시인의 시 작업은 지상의 욕망을 탈색하는 정신적 고행과 닮아 있다. 그는 욕망과 번뇌의 “흔들림”을 놓고 싶어 한다. 아니 지상의 어둠과 갈등과 오욕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한다. 순수하고 자유로운 세계에서 유유자적하기를 바란다. 궁극적으로 그는 자아가 더욱 맑아져 순정한 존재가 되기를 꿈꾼다. 그러나 시인이여. 그대는 이미 충분히 맑다. 그럼에도 더욱 맑은 존재가 되기 위하여 내일도 고요한 사색이 지속되기를 바랄 뿐이다.

목차

1부

흔들림을 놓는다·12
끓는 점·13
흰 손·14
라일락, 붉은 샘·15
초록 바위·16
부딪-힘·18
시간을 뭉갠다·20
현실現實·21
딸꾹질·22
콩 껍데기와 콩알 사이·23
깊이의 추억·24
흰 컵들의 대화·25
푸른 병치는 푸른 바다로 간다·26
얕은 숨소리·28
의자를 앉힌다·30

2부

눈동자·32
쪼글트려진·33
깨진 소리가 쏟아진다·34
먼지, 투명한 고요·36
분꽃씨 한 톨·38
포란抱卵의 침묵·40
당랑거철螳螂拒轍·41
시선을 펴다·42
접시저울·44
관계·46
깡·47
돔부, 가을 다비茶毘·48
맑음은 실뿌리가 깊다·50
택배·52
밤송이는 등으로 걷는다·54

3부

솔섬 노을 파도 옆에 있었다·56
사상누각沙上樓閣·57
굽은 다리 둥근 걸음·58
실망失網·60
황금 거미·62
노을은 뒷배가 있다·63
초록의 힘, 황금알을 품다·64
홍시 맑음 한 점이 한 생을 뚫고 나간다·65
DANGER·66
우리·68
계단, 돌·69
새끼·70
사래 긴……·72
목마木馬·74

4부

詩의 늪·78
칼치·79
심장·80
초록빛 자모字母·81
쌀알·82
기운 햇살 늙은 허리가 그를 업고 왔다·84
겨울 시래기, 맑은 독백·86
침묵의 맛·87
반가사유의 미소·88
파안破顔·89
배춧속 【〚〔〈괄호〉〕〛】·90
무의미가 의미를 흔든다·92
풍경을 걷다·94
씨앗·96
낙엽의 힘, 우주의 속도·98

해설 | 양병호_‘나’ 속의 ‘맑음’을 찾아 “혼자 걷는 고요”의 시학·100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