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통일을 보는 새로운 시선

통일을 보는 새로운 시선

  • 권은민
  • |
  • 박영사
  • |
  • 2025-07-31 출간
  • |
  • 324페이지
  • |
  • 151 X 224 X 20mm / 508g
  • |
  • ISBN 9791130323794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장 남북관계의 방향 모색 - 두 국가론 1
Ⅰ. 두 국가론과 남북한 특수관계론 3
1. 들어가며 4
2. 남북한 특수관계론 형성 과정 7
(1) 남북한 특수관계론 개념 7
(2) 남북한 특수관계론이 등장한 시대상황 9
(3) 남북한 특수관계론과 독일의 영향 11
(4) 법률 규정에 나타난 남북한 특수관계 13
3. 시기별 판례의 변화 14
(1) 북한의 존재를 부인하고 타도의대상으로 인식한 시기 14
(2) 북한의 실체를 인정하면서 평화통일의상대방으로 인식한 시기 16
(3) 북한을 교류협력의 상대방으로인식하고 교류협력을 시작한 시기 19
(4) 장래 판례는 어떤 방향으로 변화해야 할까? 25
4. 특수관계론의 변화가능성 27
(1) 현실의 변화 27
(2) 남북한법제의 변화과정 30
(3) 특수관계론에서 정상관계론으로 31
5. 결론 33

Ⅱ. 남북한의 법제변화 과정 35
1. 들어가며 36
2. 시대별 남북한 법제 변화 38
(1) 남북관계의 과거(헌법제정 시기부터현행 헌법 개정 전까지: 1948~1987) 38
(2) 남북관계의 현재(현행헌법 시행부터북한의 두 국가 주장 전까지: 1988~2023) 43
(3) 남북관계의 미래(북한의 두 국가 주장이후: 2024~) 52
3. 결론 54

Ⅲ. 두 국가론과 법제변화 방향 57
1. 들어가며 58
2. 북한의 ‘두 국가’ 주장과 현실의 변화 59
(1) 두 국가 주장의 배경 ‘우리국가제일주의’ 59
(2) 최근 동향 61

3. 남북한 특수관계론의 현실 63
(1) 남북한 특수관계론의 내용 63
(2) ‘두 국가’ 주장과 특수관계론 65
(3) 독일의 특수관계론 67
(4) 남한의 입장 변화 가능성 68
4. 남북 관련 법제의 변화 방향 70
(1) 기존의 남북한 법제 70
(2) 장래의 변화방향 71
(3) 헌법의 변화 방향 75
(4) 남북관계 법률의 변화방향 76
(5) 남북합의서의 변화방향 79
5. 결론 80

제2장 통일헌법의 방향 모색 - 사회연대 83
Ⅰ. 통일 한국 헌법과 사회연대 85
1. 들어가며 86
2. 통일 한국 헌법 구상의 기본원리 88
(1) 헌법의 역할 88
(2) 통일 한국 헌법의 기본원리 90
(3) 남한 헌법상의 통일 관련 규정 검토 92
(4) 사회연대에 주목하는 이유 94
3. 사회연대 일반론 96
(1) 사회연대(Social Solidarity)는 무엇인가 96
(2) 현행 헌법과 사회연대 99
(3) 추구해야 할 가치로서 사회연대 101

Ⅱ. 통일 한국 헌법의 특수성 103
1. 서로 다른 두 체제의 만남 103
2. 북한주민에 대한 배려 필요성 104
3. 사회통합 105

Ⅲ. 통일 한국 헌법에서 사회연대 구현방법 107
1. 사회보험 문제 108
2. 노동 문제 111
3. 균형발전과 토지 문제 113
4. 교육 문제 118
5. 과거청산 문제 121
6. 평등 문제 124
7. 기타 125

Ⅳ. 결론 129

부 록 참고자료: 헌법애국주의와 재정조정제도 132

제3장 토지제도의 방향 모색 - 주거권 보장 143
Ⅰ. 통일시대의 토지법제: 통합방향성과 원칙 145
1. 들어가며 146
2. 통일시대를 대비해서 할 일 147
(1) 통일은 언제쯤, 어떤 방식으로 다가올까 147
(2) 통일과정에서 논의할 사항과 기왕의 논의 방향 147
3. 남북한 토지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149
(1) 남한 토지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150
(2) 북한 토지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152
(3) 미래를 향한 새로운 길 찾기 154
4. 통합방향성과 원칙 157
(1) 역사와 현실 존중 157
(2) 사유재산권 보호의 한계와 책임 설정 158
(3) 북한주민 생활보호 및 민주주의 원칙 160
(4) 사회연대의 원리, 보조성의 원리 구현 161
5. 결론 163

부 록 참고 논문 165

Ⅱ. 통일과 북한토지제도 변화방향 167
1. 들어가며 168
2. 소유제도 변동의 역사와 북한토지제도 형성 과정 169
(1) 우리 역사상 토지 소유제도 169
(2) 북한토지제도의 형성 과정 171
(3) 현행 북한토지제도 173
3. 토지문제와 사회연대 원리 174
(1) 통일헌법의 역할 174
(2) 사회연대와 주거권 176
4. 통일과정에서 거론될 북한 토지제도 179
(1) 토지개혁 이전 소유권 정리 문제 179
(2) 공공임대방식은 대안이 될 수 있는가 182
(3) 지역균형개발 문제 183
5. 결론 184

부 록 참고자료: 남북한 토지제도 통합 시 고려사항 186

제4장 남북합의의 방향 모색 - 중첩적 합의 199
Ⅰ. 중첩적 합의 201
1. 들어가며 202
2. 중첩적 합의 개념과 남북한 법제 적용 가능성 205
(1) 중첩적 합의 개념 205
(2) 남북한 법제에 적용하는 문제 207
(3) 남북한 법제에서 적용 단계 213
3. 남북 합의서 체결현황과 중첩적 합의사례 분석 215
(1) 남북합의서 체결 현황 215
(2) 중첩적 합의사례 분석 216
4. 남북한 법제에서 중첩적 합의 계승방안 224
(1) 중첩적 합의와 규범력 확보 224
(2) 중첩적 합의 시 강조할 사항들 228
5. 결론 235

부 록 참고자료: 헌법 개정과 통일조항 237

에필로그 247
English Summary 249
참고문헌 258
미주 25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