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디자인과미술(DESIGN AND ART)

디자인과미술(DESIGN AND ART)

  • 알렉스 콜스
  • |
  • 워크룸프레스
  • |
  • 2013-08-09 출간
  • |
  • 332페이지
  • |
  • ISBN 9788994207261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알렉스 콜스 서문: 디자인미술을 넘어

1장 패러다임
조지 넬슨 좋은 디자인: 무엇을 위한 것인가?(1957)
리처드 해밀턴 디터 로트(1961)
클레멘트 그린버그 조각의 근황(1967)
노먼 포터 디자이너는 예술가인가?(1969)
폴 랜드 디자인의 정치학(1981)
댄 그레이엄 디자인으로서 미술, 미술로서 디자인(1986)
도널드 저드 좋은 램프를 찾는 건 어려워(1993)
빌렘 플루서 디자인이라는 단어에 대하여(1993)
호르헤 파르도 프리츠 하에그와의 인터뷰(1999)
조 스캔런 자, 명품을 드세요(2001)
할 포스터 디자인과 범죄(2002)
권미원 호르헤 파르도의 디자인에 대한 디자인(2002)
키스 도르스트 아니, 그게 미술인가요?(2003)
루이세 스하우벤베르흐 헬라 용에리위스와 나눴을 법한 대화(2003)
릭 포이너 미술의 동생(2005)
익스페리멘틀 젯셋 루시엔 로버츠와의 인터뷰(2005)

2장 유토피아와 협업
피터 쿡, 아키그램 플러그인 시티(1972)
만프레도 타푸리 아방가르드의 변증법(1974)
디터 람스 미래의 전망과 유토피아 개념: 프랑수아 부르크하르트와의 인터뷰(1980)
베냐민 베일과 안드레아 지텔 집이란 미술이 있는 곳 / 안드레아 지텔의 답변(1994)
유프 판 리스하우트 으뜸과 딸림 유닛(1994)
루시 오르타 폴 비릴리오와의 인터뷰(1995)
N55 미술과 현실(1996)
슈퍼플렉스 아사 내킹과의 인터뷰(1998)
더글러스 커플랜드 멋쟁이 과학자(2000)
리르크리트 티라바니자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와의 인터뷰(2002)
토비아스 레베르거 반 고흐 위에서 잠자기: 앤서니 스피라와의 인터뷰(2004)

3장 조정자들
메리 앤 스타니제프스키 프레데릭 키슬러의 설치 디자인(1998)
앤디 워홀 잃을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레첸 버그와의 인터뷰(1967)
데이비드 보든 출판인(혹은 책쟁이) 루쉐: 에드 루쉐 인터뷰(1972)
찰스 임스 디자인이란 무엇인가?(1972)
마크 위글리 토털 디자인에 도대체 무슨 일이 생겼나?(1998)
마리아 린드 어떻게 될까?(2000)
리암 길릭 캐추 로버츠와 루시 스티즈와의 인터뷰(2000)
폴 엘리먼 너무 많은 정보(2005)
M/M 영국 왕립예술학교 데이비드 블래미와의 토론(2006)

저자 및 작가 약력
참고 문헌
찾아보기
옮긴이의 글

도서소개

디자인과 미술의 경계를 다룬 36편의 글과 인터뷰 『디자인과 미술』. 이 책은 미술과 디자인을 똑같이 비평적으로 다룬 문헌을 조사하여 나온 결과물로 혼성적 움직임을 보이는 동시대 미술과 디자인 실천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1945년 이후를 출발점으로 삼아 팝아트와 미니멀리즘 이래로 부상한 ‘디자인미술’ 현상과 2000년 이후 전통적인 경계를 흐릿하게 만드는 실천까지 동시대적 논의를 모았다. 총 3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1장에서 디자인과 미술의 본질에 대한 고찰을 다루며 디자인과 미술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포착한다. 2장에서는 미술 혹은 디자인이라는 ‘꼬리표나 경계를 향한 예민한 칼날은 접어두고’ 역사적으로 미술과 디자인의 융합이 활발하게 번성해온 주제를 다룬다. 3장은 하나의 작동방식으로 미술과 디자인 사이의 접점을 다룬다. 위의 논의들을 통해 디자인과 미술이 서로에게 얼마나 밀접한 관계이며 영향을 주었는지 역사적, 장르적으로 밝히며 ‘협업과 조정’의 중요성을 밝힌다.
디자인과 미술의 관계를 다룬 36편의
엄선된 글과 인터뷰를 한 권의 책으로 읽는다

1990년대 말, 미술 평론가 알렉스 콜스는 지금까지 자신을 매혹시킨 미술들이 디자인으로부터 여러 요소와 전략들을 끌어와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1960년대 이래 꾸준히 부상해온 ‘디자인미술’ 현상을 다룬 『디자인아트』(2005)를 출간한다. 이 책에서 콜스는 앙리 마티스부터 도널드 저드, 호르헤 파르도에 이르는 미술가들이 문양과 가구, 인테리어, 건축을 다루는 방식을 폭넓게 검토했다.
그러나 책이 나온 직후, 그는 디자인 비평가 릭 포이너로부터 다음과 같은 비판을 들어야 했다. “콜스가 취한 방식은, 미술가에게는 어떤 혜택이 주어질지 모르겠지만 둘의 관계에 있어 미술의 우위를 확고하게 해주는 식으로 끝날 수밖에 없다. (…) 미술가들은 미술을 확장하고 새롭게 하기 위해 디자인을 향한 여행이 허락된다. 그러나 아무도 반대 방향으로 여행하는 이가 없는 이 여정은 일방통행처럼 보인다.” 이 책 『디자인과 미술』은 알렉스 콜스가 이러한 비판의 정당성을 깨닫고 미술과 디자인을 똑같이, 비평적으로 다룬 문헌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나온 결과물이다.
이 책의 목적은 갈수록 혼성적 움직임을 보이는 동시대 미술과 디자인 실천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이다. “매체 특수성 및 학제 범주들의 불안정한 상태”가 “이미 지배적인 현상이거나 문화 실천에 주어진 조건”이 된 우리 시대에 미술과 디자인을 어떻게 바라볼지는 담론의 영역을 떠나 일상의 삶과 결부된 문제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알렉스 콜스는 상대적으로 접할 기회가 많았던 초기의 현대 아방가르드 운동에 관한 글들을 제외하고, 1945년 이후를 출발점으로 삼아 팝아트와 미니멀리즘 이래로 부상한 ‘디자인미술’ 현상은 물론 2000년 이후 전통적인 경계를 흐릿하게 만드는 실천들까지, 더 동시대적 논의들을 한곳에 모았다.
1장 「패러다임」은 디자인과 미술의 본질에 대한 고찰로서, 둘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포착한다. 그 관계의 역동성은 전통적으로 ‘심미성 대 기능성’ 사이에 그려진 선의 이분법적 대비가 맥락과 입장에 따라 점차 흐릿해지거나 사라지는 데 있다. 조지 넬슨이나 노먼 포터, 폴 랜드처럼 각 영역에 대한 성찰을 담은 글부터, 둘 사이의 관계에 대한 비평적 관점을 제시하는 할 포스터, 권미원, 릭 포이너 등의 글이 여기 포함된다. 문화 이론가 빌렘 플루서는 단순히 ‘디자인’이라는 말의 어원을 탐구함으로써 미술과 디자인, 기계, 기술 영역이 역사적으로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는지, 왜 현재에 이르러 디자인이 문화 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게 됐는지 근거를 제시한다.
2장에서는 미술, 혹은 디자인이라는 “꼬리표나 경계를 향한 예민한 칼날은 접어두고”, 역사적으로 미술과 디자인의 융합이 활발하게 번성해온 주제, 즉 「유토피아와 협업」을 다룬다. 현대의 도시 조건에 대한 급진적인 대안을 다룬 아키그램의 ‘플러그인 시티’, 유토피아를 꿈꾼 20세기 초 아방가르드들의 이상이 어떻게 산업과 생산의 조직화라는 자본주의의 목적에 봉사하게 됐는지 밝히는 만프레도 타푸리, 경계를 가로지르는 집단적 협업을 통해 생태적, 사회적 유토피아를 꿈꾸는 N55, 슈퍼플렉스, 리르크리트 티라바니자 등의 글과 프로젝트가 여기에 속한다.
3장 「조정자들」에서는 하나의 작동 방식으로 미술과 디자인 사이의 접점을 다룬다. 20세기 전반, 전시를 새로운 대중 매체로서 인식하고 혁신적인 설치 디자인을 제시했던 프레데릭 키슬러의 사례부터, 마리아 린드나 리암 길릭처럼 하나의 조직화 전략으로서 미술과 디자인을 전시 및 작업과 연결 짓는 실천가들, 전통적 분과에 얽매이지 않고 프로세스와 맥락을 너무도 쉽게 전환하는 M/M 같은 디자이너가 여기에 속한다.

미술과 디자인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
그들 접점이 향하는 끝은 어디인가

이 책의 제목 ‘디자인과 미술’은 그동안 ‘아트 앤드 디자인(Art and Design)’이라고 표현해온 영미 문화권의 관습에서 벗어나 두 단어를 도치시킴으로써 처음부터 그 속내를 드러낸다. 이는 미디어들이 요란하게 (실은 대부분 얄팍한 상술을 가리기 위해) 떠들어대는 ‘디자인의 부상’과 별개로 여전히 확고하게 작동하는 두 분과 사이의 역학 관계에 재고를 요청한다.
그러나 한 가지 염두에 둘 점은, 이러한 재고를 요청하는 융합 혹은 혼성적 움직임이 문제의 본질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현재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에는 몇몇 함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혼성’이라든가 ‘초학제’라든가 하는 수사들도 자칫 그것을 또 하나의 ‘범주’로 묶어버림으로써 우리 시대의 ‘진기한 것’으로, 흐름에 부응하는 ‘패션’으로 팔아먹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서문에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