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임상심리학의 연구 성과와 현장의 경험을 총망라한 최초의 교과서
국내에 소개된 훌륭한 임상심리학 서적이 많았지만, 한국 임상심리학의 역사, 한국 임상심리학자 수련제도 및 임상심리학자의 역할 등 모든 자료를 총망라하여 저술된 교재는 찾기 쉽지 않았다. 이 책의 저자진은 국내 임상심리학 분야 후학 양성과 심리치료 영역에서 뚜렷한 업적을 남기고 현재도 활발히 연구 및 임상 활동을 하고 있는 전문가들로 구성되었다.
초판이 출간된 후 6년 만에 나온 이번 개정판에서는 DSM-5의 첫 번째 개정판인 DSM-5-TR에 추가된 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이에 맞춰 정신장애 진단 기준을 업데이트하였다. 또한 2019년 이후의 임상심리학의 역사 및 발전 과정을 추가하고, 비대면 상담, 자살 및 약물중독 위기면접, MMPI-3 등에 관한 내용을 새로 서술하는 한편, 디지털 치료제 및 헬스케어 앱 등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이 임상심리학 분야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소개하였다.
지금까지 임상심리학 교재에서 주로 다뤄왔던 주제뿐 아니라 앞으로 국내외에서 중요하게 대두될 주제까지, 임상심리학의 과거와 현재, 미래가 이 책에 담겨 있다.
임상진단과 평가, 심리치료를 비롯하여
임상심리학자가 활동하는 전문영역까지
임상심리학자로서 필요한 모든 것
이 책은 다음과 같이 총 4부 16장으로 구성되었다.
1부 임상심리학의 개관
1장 「임상심리학이란 어떤 학문인가」에서는 임상심리학의 정의, 임상심리학자의 전문 활동 영역, 미국의 임상심리학자 수련 모델, 한국의 수련 모델과 자격제도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2장 「임상심리학의 역사」에서는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임상심리학이 발전해 온 역사를 개관한 후, 한국 임상심리학 발전 과정을 학회의 역사, 학자들의 활동, 자격 제도, 향후 과제 등을 다뤘다.
3장 「임상심리학의 연구방법」에서는 과학적 연구가 갖춰야 할 기본 개념을 제시한 후 임상심리학 연구에서 사용하는 실험법과 비실험법, 평가도구를 설명하고 연구윤리를 톺아 보았다.
2부 임상진단과 평가
4장 「진단」에서는 정신장애 진단 분류체계의 정의 및 진단분류체계의 역사를 살펴보고, 대표적인 진단분류체계인 DSM과 ICD의 구성과 진단을 내리는 과정을 사례를 통해 설명하였다. 또한 정신장애의 원인에 대한 여러 이론적 접근법을 간략히 제시하였다.
5장 「임상면접」에서는 임상면접을 준비할 때 고려 해야 할 사항들, 내담자와 라포 형성을 위한 기술, 임상면접의 진행 및 면접 유형에 대해 설명하였다.
6장 「지능평가」에서는 지능의 정의와 지능검사 개발의 역사, 지능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소개하고 웩슬러 지능검사를 비롯한 다양한 지능검사의 구성 요소와 실시 방법, 활용 등을 다루었다.
7장 「성격평가」에서는 성격평가를 크게 객관형 성격검사와 투사형 성격검사로 구분하여 살펴본 후, MMPI와 로르샤하 검사를 비롯한 다양한 성격검사를 소개하였다.
8장 「행동평가」에서는 다양한 행동평가 방법과 자기보고척도 및 체크리스트를 소개하고 행동평가와 자기보고가 임상 현장에서 활용되는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9장 「신경심리평가」는 임상신경심리학과 신경심리평가의 정의를 살펴본 후, 대뇌 피질의 구조와 기능, 인지기능장애 관련 신경학적 질환들을 설명하고,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는 신경심리검사를 인지기능 영역별로 구분하여 소개하였다.
3부 심리치료
10장 「정신역동 심리치료」에서는 프로이트를 시초로 하여 자아심리학, 대상관계 이론, 자기심리학 등으로 변화, 발전해 온 정신역동 이론을 개관하고, 다양한 정신역동 치료 기법을 살펴보았다.
11장 「인지행동치료」에서는 인지행동치료의 발전 과정을 소개한 후, 인지치료와 수용전념치료를 중심으로 치료의 기본 가설과 개념들, 치료과정 등을 소개하였다.
12장 「현상학적 치료」에서는 현상학적 치료의 철 학적 배경과 기본 전제 및 실존치료, 게슈탈트치료, 내담자중심치료 등 현상학적 심리치료의 기본 전제와 공통점을 살펴본 후, 각 치료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13장 「집단치료」에서는 개인 심리치료 대비 집단 치료의 특징 및 장단점을 소개하고, 집단치료의 윤리적 쟁점, 집단치료자의 자질, 집단치료의 구성 및 과정 그리고 집단치료의 치료적 요인을 살펴보았다.
4부 전문영역
14장 「건강심리학 및 긍정심리학」에서는 건강심리학의 정의와 관점, 건강심리학자의 훈련 과정 및 활동, 일반인들과 다양한 질환을 가진 사람들을 돕기 위한 건강심리학적 개입방법을 기술했다. 또한 긍정심리학을 소개하고, 행복의 정의와 행복에서 유전과 환경의 역할, 행복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15장 「아동임상심리학」에서는 아동임상심리학의 역사와 주요 주제들, 최근 연구동향 및 아동임상심리학자의 역할과 자격제도, 아동기 장애의 조기 진단 및 개입방법을 소개하였다.
16장 「기타 전문 영역」에서는 임상심리학의 지식과 실무경험 등이 적용되는 법정심리학, 지역사회심리학, 기업상담, 코칭심리학을 중심으로 해당 분야의 역사와 전문가들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소개한 다음, 최근 들어 임상심리학 영역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현황을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