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추는 춤이 위대해지는 순간들
자신이 사랑했던 여인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궁금해 걸핏하면 남의 신혼집을 훔쳐보던 남자가 있다. 2만 8,000여 점의 작품을 남겼고 전후 노르웨이에서 가장 중요한 화가로 평가받지만 망가진 사랑과 전쟁이 중독시킨 불안에서 평생 벗어나지 못한 채 살아갔던 사람. 바로 에드바르 뭉크의 이야기다. 그는 매일 지옥을 경험했겠지만, 그림으로 재현된 그의 아픔은 지금까지 살아남아 우리에게 고독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에드바르 뭉크, 「별이 겨우 빛나는 밤」)
이런 삶도 있다. “벽의 벽지보다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악평을 들으며 화단에 들어섰지만 살아생전 화가로서 큰 영광을 누리며 긴 생을 살았던 노대가. 스스로 품은 질문에 집중해 20년 넘게 수없이 많은 수련을 화폭으로 남기다 삶의 막바지에 이르러서는 수련과 물의 경계조차 허물어트린 그림을 발표하며 자신만의 답을 찾아간 사람. 하나의 고정된 진리란 없음을 자신의 그림으로 제시한 화가 클로드 모네의 이야기다.(폴 세잔, 「사과 한 알을 제대로 알고 간다는 것」)
뭉크와 모네. 두 사람은 삶의 방식도 작품에 임하는 방식도 모두 달랐지만 ‘고독’이라고 부를 만한 숱한 장면 속에서 살았다. 단순한 외로움이 아니다. 군중, 집단과 거리를 둔 채 자기 자신에게 집중해보려는 ‘자발적 자기격리’에 가깝다. 삶이 고독해 그림을 택한 것이 아니라, 캔버스 앞에 홀로 있을 때 온전하다는 것을 알기에 고독 속으로 들어간 것이다.
『새로고침 서양미술사 2』는 ‘위대한 고독의 순간들’이라는 부제가 암시하듯, 저마다의 ‘고독’을 품은 화가와 작품의 이야기다. 이러한 접근이 가능한 데는 이 책이 시민혁명과 산업혁명 이후인 소위 ‘근대’를 배경으로 삼기 때문이다. 특히 이진숙 작가는 이 시기에 ‘개인’이 전면에 얼굴을 내밀면서 예술계에도 어느 유파에 속하지 않은 채 오롯이 ‘나’로 서보려는 노력이 다분했다는 점에 집중한다. 개성 있는 화가들이 홀로 추는 춤은 유례없이 다양한 문화사조를 공존케 했고, 우리는 그들 덕분에 풍부한 예술지도를 갖게 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술의 기획자를 넘어 삶의 기획자로
표지에 쓰인 말레비치의 〈나쁜 예감〉에서 다시 책 이야기를 시작해보자. 러시아의 전형적인 농민복 루바쉬카를 입고 한 사람이 뒷모습을 한 채 우뚝 서 있다. 그림을 보는 우리는 그의 얼굴을 알지 못하지만 그가 확신이나 안정보다는 불신이나 공허에 사로잡혀 있음을 분위기상 짐작한다. 이진숙은 본문에서 이 작품이 스탈린이 집권하던 때에 발표됐다는 시대적 정황을 짚으며, 획일적인 기준을 앞세우는 전체주의 사회에서 개인은 익명의 억눌린 존재로 가치폄하되기 마련이라고 말한다.(카지미르 말레비치, 「나쁜 예감은 틀린 적이 없으니」) 그러나 중요한 점은 그러한 순간에도 개인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 오히려 그때서야 비로소 개인은 자신이 놓인 좌표를 직시한 후 진정한 자유를 추구하고 사회적 관행을 따르지 않겠다고 선언할 수 있다.
실제로 말레비치와 함께 훗날 ‘추상미술’이라는 사조에 묶인 바실리 칸딘스키, 피트 몬드리안은 공통적으로 견딜 수 없는 현실과 스스로 단절하겠다는 선언을 내걸고 등장했다. 다시 말해 그들에게 예술 행위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과 맞닿아 있었던 것이다. 심지어 몬드리안은 현실에서 아름다움이 충분히 살아 숨 쉴 때는 더 이상 예술하는 이도, 예술을 필요로 하는 이도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현실은 예고 없이 각박해지고 답은 쉽게 찾아지지 않으니, 어쩌면 우리는 예술 없이 살아갈 수 없음을 거듭 확인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책으로 만나보는 예술의전당 아카데미 인기 강좌
이 시리즈는 예술의전당 인문·감상 아카데미 정규 강좌로서 오랜 시간 독보적인 사랑을 받아온 〈미술사를 바꾼 101인의 예술가〉의 강연 경험과 통찰을 바탕으로 집필되었다. 이 강좌는 미술사의 혁신을 이끌며 새로운 예술의 역사를 써 내려간 101인의 창조적인 예술가를 중심으로 그들의 작품, 시대적 과제, 창의적인 대응, 개인적인 삶의 궤적,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깊이 탐구해 왔다. 또한 예술의 본질과 그 변화를 체계적으로 조명하며 지난 10년 동안 200명이 넘는 대규모 강의실을 매회 전석 조기매진으로 가득 채우며 예술의전당 최고의 인기 강좌로 자리 잡았다. 이 책은 강의에서 다룬 풍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결과물로, 6년에 걸친 집필 과정을 통해 완성되었다.
실용적인 미술관 감상 가이드, 별책부록 『미술관 탐방 가이드 101』
《새로고침 서양미술사》 세트에는 본편 세 권과 함께 별책부록 『미술관 탐방 가이드 101』이 포함되어 있다. 이 책자는 《새로고침 서양미술사》 시리즈의 ‘어디에서 볼 수 있을까?’ 코너를 재구성하여, 본문에 소개된 예술가들의 주요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101개의 미술관을 안내한다. 루브르 박물관이나 뉴욕 현대미술관처럼 널리 알려진 미술관은 물론, 로스코 채플과 라 리보트처럼 비교적 덜 알려진 독특한 미술관도 포함되어 있어 더욱 흥미롭다. 『미술관 탐방 가이드 101』은 직접 미술관을 방문해 작품을 감상하며 풍부한 예술적 경험을 하고자 하는 독자들을 위해, 휴대하기 간편하고 활용도가 높은 실용적인 가이드북으로 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