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 암각문의 이해와 실제

한국 암각문의 이해와 실제

  • 홍순석
  • |
  • 한국문화사
  • |
  • 2024-12-20 출간
  • |
  • 472페이지
  • |
  • 170 X 220 X 25mm / 586g
  • |
  • ISBN 9791169192576
판매가

48,000원

즉시할인가

46,56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6,56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책머리에

1
"암각문巖刻文"은 "바위에 새겨진 문자"를 뜻하는 말이다. 그동안 금석문 분야에서도 별다른 관심을 갖지 못한 채 방치되었다가, 근래에 들어와서 "석각石刻" "마애명문磨崖銘文" "바위글씨" 등으로 금석문 자료에 포함되었다. 울진 반구대의 "암각화巖刻畫"가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된 공식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암각문"이란 용어가 가장 적합하다고 본다. 암각화가 “바위에 새긴 그림”이라면, 암각문은 “바위에 새긴 문자”이다.
필자는 1993년 7월에 경기도 포천시 옥병서원을 조사하면서 "송균절조 수월정신松筠節操水月精神"이라고 새긴 선조윤음先祖綸音을 확인하고 포천시 향토유적으로 등재하였다. 이어서 1997년도엔 『포천암각문』이란 책자를 출간하였다. 필자는 1993년도에 제7회 향토사연구 전국학술대회에서 「포천 창옥병의 암각문에 대하여」를 발표한 바 있다. 이후부터 매년 강남대학술조사단을 이끌고 포천지역 암각문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1997년에 『포천의 암각문』을 간행하였다. 암각문 관련 성과물로는 전국 최초인 셈이다. 필자가 30년 이상 암각문을 현장조사하고 연구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
"암각문"이란 용어가 생소한 시기라서 금석문 성과물의 가치에 대해선 공감하면서도 "암각문"이란 용어의 적합 여부가 논의된 적도 있다. 최근에 이르러 각 지역에서 암각문에 관심을 갖고, 지방문화재로 등재하면서 "암각문"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필자가 기다린 30년만의 성과인 셈이다. 더욱이 전국에 암각문 애호가들이 적지 않다. 등산객 가운데 암각문만 찾아다니는 동지들이 있다. 그들을 만나본 적도 없지만 뜻이 같으니 동지同志로 느껴진다.
금강산 관광이 한창일 때, 남북 암각문 연구자가 함께 금강산 암각문을 조사하려고 2017년에 "해동암각문연구회"를 결성하였다. 그러나 외교 정세의 급변으로 공동조사를 추진할 수 없었다. 기왕 발족한 해동암각문연구회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작한 사업이 경기도 암각문 조사이다. 2019년에 출간한 『경기도암각문』이 그 성과물이다. 『경기도암각문』이 해동암각문연구회의 가시적 성과의 시작이라면, 2020년에 출간한 『강원도암각문(Ⅰ)』은 암각문 연구의 초석이라 할 것이다. 암각문 연구에서 가장 중시되는 지역인 관동팔경을 포함하고 있는 강원도이기 때문이다. 강원도에는 한반도의 대표적 명산인 금강산이 있고, 옛날부터 동해안을 따라 분포하는 관동팔경이 있다.
강원도 지역의 암각문을 조사하면서 예상 밖의 많은 자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강릉시 권역의 암각문은 2021년도에 별책으로 『강릉시암각문』을 간행할 정도로 많았다. 전남 장흥군의 암각문을 동시에 조사하면서 『장흥군암각문학술조사보고서』 『장흥군암각문』을 함께 간행하였다. 2022년도엔 『평창군암각문』을 출간하고, 2023년도엔 『강원도암각문(Ⅱ)』를 출간하였다. 2024년도엔 강원도 영서지역을 답사하고 있다.
그동안 암각문의 문화재 지정을 위한 『천마산보광사 문화유적 학술조사보고서』 『장흥군 암각문 학술조사보고서』 『장천팔경·수의봉 암각문 학술조사보고서』를 출간하였다. 장흥군의 수의봉 암각문은 2024년도에 전남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러한 성과물을 통해 필자와 해동암각문연구회 동지들은 암각문 연구자로 인정된 셈이다.


2
필자는 30여년간 무관심 속에 훼손되어 가는 암각문 자료를 조사하여 정리하고 있다. 암각문은 금석문의 한 분야로 바위에 새긴 문자를 말한다. 비문이 일정한 형태로 다듬어진 금석에 새긴 것이라면 암각문은 자연암에 새긴 것이다. 암각문은 이동이 불가하다. 그만큼 현장성이 뚜렷하다. 그만큼 사료로서의 가치도 높다. 그럼에도 암각문은 자연환경에 노출된 상태로 방치된 것이 대부분이어서 훼손이 심하다. 현장조사와 문헌 고증을 통해 현재의 자료를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 최선일 뿐이다.
최근 첨단 IT 과학기술의 발달로 암각문의 현장조사도 드론·3D스캐너 등 첨단 장비를 동원하여 실시하고 있다. 암벽에 사다리를 걸쳐 놓고 탁본을 하던 지난날의 현장 조사와는 세대차를 느낄 정도이다. 망원렌즈를 동원해 촬영하는 대신 드론을 띄운다. 암각문을 직각으로 근접 촬영하며, 암각문의 위치 좌표·고도·방향·규모를 실측한다. 암각문이 산재한 암반의 전체 모습을 항공에서 함께 촬영한다. 중요한 자료는 초정밀 3D스캐너로 스캔하여 판독한다. 음각된 깊이까지 실측할 수 있으며, 모각본模刻本을 제작할 수도 있다. 최근 암각문의 보존과 복원을 위하여 광대역스캐너(Leica;HDS-3000Scanstation)와 광삼각법의 정밀스캐너(Konica Minolta;Vivid 910과 9i)를 사용하며, 데이터처리 소프트웨어는 크게 Cyclone, Geomagic Studio, RapidForm 및 AutoCAD를 이용한다. 이중 Cyclone은 광대역 스캐너를 제어하고 점군 데이터(point cloud)를 정합 및 병합하는 프로그램이고, GeomagicStudio는 Cyclone에서 처리된 병합 모델을 폴리곤 모델로변환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RapidForm은 정밀스캐너의 점 데이터 획득부터 폴리곤 생성까지 통합적인 기능을 제공하며, 특히 표면심도 모델링과 같은 다양한 후처리 작업에도 활용한다. AutoCAD는 3차원 이미지를 통한 도면작성과 단면분석에 이용된다.
금석문의 탁본을 첩帖으로 제작하여 보존하던 방식과는 차원이 다름을 느낀다.
암각문이 가장 많이 조성된 시기는 18세기 무렵이라 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암각문이 현장에 방치된 지 3~4백년에 근접한다. 석재에 음각된 글자가 자연 손상되는 기간이 3~4백년이라 한다. 실제 필자가 조사한 영월군 요선정의 양사언 필적 암각문은 1563년(명종18)에 조성한 것인데, 2013년 조사 당시에도 탁본을 통해 6자 정도만 판독할 수 있었다. 평창군 팔석정의 암각문은 1992년의 탁본과 2022년의 탁본을 대조한 결과 확연한 차이를 느낄 정도로 손상되고 있다. 대부분 현장에서 자연환경 속에 멸실되고 있는 암각문이기에 첨단 IT 장비를 이용한 현장조사가 시급한 시점이다.


3
이 책자는 암각문을 금석문의 한 갈래로써 자리매김하기 위하여 처음으로 시도하는 저술이다. 따라서, 특정 암각문을 대상으로 학술적으로 천착하기보다는 암각문에 관한 여러 상식을 정리하여, 이 방면에 처음 입문하는 이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쪽에 중점을 두었다.
이번에 간행하는 『한국 암각문의 이해와 실제』는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필자가 본격적으로 암각문에 관심을 기울인 지 30년이 되는 시점이다. 이제 암각문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금석문의 한 갈래로 자리잡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문헌 기록과 현장의 암각문을 통해 역사적 사실을 증빙하는 결정적 단서로 인식되고 있다. 각 지방 단체에서도 금석문의 항목에서 암각문이 별도로 소개되고, 중요한 자료는 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더욱 고무적인 것은 암각문 자료를 문화관광 자원의 컨텐츠로 개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번에 『한국 암각문의 이해와 실제』를 간행하는데 많은 문화단체와 동지들의 지원과 격려가 있었다. 해동암각문연구회의 강양희·임병목 부회장, 그리고 김윤환(경기), 김진호(강릉), 정의종(동해), 곽정수(삼척), 이경식(평창), 양한모(원주), 이상주(청주), 위성록(전남 장흥) 등 각 지역의 동지들이 대표적인 조력자들이다. 반세기 동안 친지처럼 안부를 묻고, 대소사를 함께 나눈 단국대 화경고전어문학부 선후배, 30년간 답사를 함께 하였던 강남대 "타솔과 담보"팀의 제자들, 여러 지역의 향토사 연구자들과 출간의 기쁨을 함께 하고자 한다. 이들이 그동안 함께 하지 않았다면, 암각문의 조사와 성과는 지금처럼 드러나지 못했을 것이다. 이들 모두에게 감사한다. 해동암각문연구회에서 궂은 일을 맡아 처리해 주는 권처은, 김광명, 송윤아의 도움 역시 적지 않다. 어찌 고마움을 표하지 않겠는가.
그리고, 필자가 강원도·경기도·충청도·전남 장흥군의 암각문을 조사하는 기간에 적극 협찬해 준 행정자치단체와 의회, 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에 특별히 감사드린다.
아울러, 40년 세월 동안 답사한답시고 집에서보다는 외지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던 필자를 탓하지 않고, 오히려 장거리에는 항상 동행해준 아내 이수경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뜻을 적는다. 아내는 30년간 국어교사로 재임하면서 답사의 동반자로 현장조사에 참여하여 사진 촬영과 기록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암각문 조사에 나름 일가견을 지닌 조력자임을 기록해 둔다.
끝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40여 년간 필자의 책자를 간행해주고, 매년 암각문 책자를 간행해주는 한국문화사의 김진수 사장에게 감사를 표한다. 김형원 과장, 편집팀 여러분에게도 감사드린다.


2024년 10월 20일
처인재에서 홍순석 적다

목차

책머리에
일러두기

제1부 한국 암각문의 이해1. 암각문의 개관
2. 암각문의 조사와 정리
3. 암각문의 보존과 활용

제2부 한국 암각문의 실제 11. 삼국~고려시대 암각문
2. 고려·조선시대의 매향埋香 암각문
3. 한국 암각문의 변증

제3부 한국 암각문의 실제 21. 괴산 화양구곡華陽九曲 암각문 · 298
2. 화서학파華西學派 문인들의 암각문 · 322
3. 거창 수승대搜勝臺의 제시題詩 암각문 · 372

부록1. 한국 암각문 문헌자료 일람
2. 한국 암각문 논저목록
3. 해동암각문연구회 보도기사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