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꺾이지 않는 마음

꺾이지 않는 마음

  • 황규관
  • |
  • 마음디자인
  • |
  • 2024-11-08 출간
  • |
  • 292페이지
  • |
  • 135 X 205 X 22mm / 545g
  • |
  • ISBN 9791198793416
판매가

17,000원

즉시할인가

15,3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5,3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제 ‘예술’이 최전선이 된 것일까.


황규관 시인의 세 번째 산문집 『꺾이지 않는 마음』에는 현실에 대한 저자의 다양한 관심과 참여가 기록돼 있다. 여기서 “다양한 관심”은 단순히 다방면에 대한 호기심이나 관여가 아니라 우리 현실에서 벌어지는 현상과 사건을 개별적인 문제로 보지 않고 그것을 가능하게 한 근본 원인에 대한 집요한 물음을 의미한다. 저자가 ‘책을 펴내며’에서 이 산문집에 모인 글들을 “나름 심각한 실존적 위기감 속에서 쓴 것들”이라고 한 것은 이런 물음 때문이다. 이 책의 부제에서 드러났듯이 이 산문집은 주로, 우리가 지금 겪고 있는 기후위기 문제 그리고 인공지능으로 상징되는 첨단 테크놀로지가 예술에 끼치는 심대한 문제, 심각한 위기 상황에 몰린 생명의 문제에 시적 감수성을 드리우고 있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처한 제반 문제의 근원에는 맹목적인 경제성장의 추구가 있다는 점을 저자는 반복적으로 비판하면서, 인공지능마저 경제성장의 맥락에서 봐야 한다고 역설한다. 경제성장주의와 인공지능의 현실 압도가 생태계와 민주주의의, 그리고 살아 있는 생명체와 예술의 위기를 초래한다고 시인은 말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구절이 그렇다.

더 큰 문제는 “덧없는 사물”의 누적이 가져온 결과인데, 우리가 맞닥뜨린 기후위기와 팬데믹은 그것의 현재 버전이다. 지금껏 자본주의는 경제적 가난을 벗어나려면 경제성장이 계속 필요하다고 속여 왔지만, 경제성장은 우리 삶의 터전을 무단히 파괴해왔고, 맑은 공기와 강을 더럽혀왔으며, 결국 이것들이 집적돼 오늘의 사태에 이르고 말았다. 이것은 “근대사의 인위적인 산물”의 극단이라고 부를 수 있다. 당연히 경제적 빈곤으로서의 가난은 사라지지 않았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자본주의는 경제적 빈곤 없이는 한시도 지탱할 수 없기 때문이다.
-(「김종철과 ‘고르게 가난한 사회’」 중)

근대 자본주의 경제성장이 야기한 기후와 민주주의의 이중 위기는 우리의 삶을 위태롭게 몰아세우고 마는데, 저자인 황규관 시인은 예술의 역할이 이 지점에 있다고 본다. 하지만 예술은 동시에 근대 자본주의가 만든 신화와 근대 과학기술이 탄생시킨 인공지능이라는 괴물과 맞닥뜨릴 수밖에 없다. 특이한 것은, 저자는 인공지능을 근대 과학기술의 결과가 아니라 도리어 근대 자본주의 문화 자체가 인공지능을 탄생시킨 토대라고 한다는 점이다. 아래와 같은 진술이 그렇다.

따지고 보면 인공지능의 문화적, 사회적 기반은 자본주의 시대가 들어서면서 본격화된 게 아닌가도 싶다. 그러니까 인공지능은 과학기술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말이다. 대중매체의 양적 증가와 대중문화가 말 그대로 대중의 삶에서 나오지 않고 매체 산업이 주도하기 시작하면서 빅데이터는 누적되고 있었다. 그리고 그것의 재배치와 조작이 산업적 대중문화를 조성했던 것이다.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 중)


다시 말하면, 그동안 근대 자본주의가 경제성장을 동력으로 발전해 오면서 자립적이고 공동체적인 민중문화 대신 산업화된 대중문화를 통해 대중매체의 증가를 가져왔고 그것이 결국 인공지능의 초석인 빅데이터가 되지 않았느냐는 지적에는 인공지능 문제를 과학기술의 차원에서 바라보지 않는 저자의 독특한 관점이 자리 잡고 있다. 그렇다면 이것에 대한 대응에는 무엇이 있을까? 황규관 시인은 ‘고르게 가난한 사회’로의 전환만이 기후위기 시대의 대전환에 값한다고 본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서는 결국 “‘예술’이 최전선이 된 것일까”라고 묻는다. 이는 확실히 직접적인 결과를 꾀하는 차원에서 보면 무력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정말 그런 것인지는 이 책을 꼼꼼이 읽어봐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꺾이지 않는 마음’이란 무엇인가

어떤 독자들 입장에서는 주제가 다소 부담스러울지 모르지만, 이 산문집은 분석이나 논리를 앞세우는 책이 아니다. 기후위기와 인공지능 시대에 예술이 최전선인 것일까,라고 묻는 것처럼 저자가 시종 의지하고 있는 것은 바로 예술이다. 김수영이나 백무산, 신동엽 등의 시인은 물론 화가인 차규선의 작품에 대한 에세이도 그 실례가 된다. 제4부의 제목이 ‘김종철 공부’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황규관 시인이 크게 의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고 김종철 〈녹색평론〉 발행인에 대해서도 ‘시인의 큰 마음’을 말한다. 당연히 이 산문집을 본격적인 예술 비평집이라고 부르기는 힘들 것이다. 하지만 예술작품을 탄생시키는 근원적인 바탕을 세심하게 살피고 있다는 점에서 예술작품 이전의 예술에 대한 비평이라고 부를 수 있다.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 소식을 접하면서 근대 문학과 예술의 이면에 존재하는 역사적인 ‘무엇’을 짚어내고 ‘노벨 문학상의 너머’를 꿈꾸기도 한다.

하지만 미슐레의 판단과는 다르게 콜럼버스를 통한 세계의 발견은 전혀 정당하지 않았다. 그게 근대 식민지의 서막이었기 때문이다. 어찌 보면 근대의 문화예술에는 어두운 얼굴이 숨겨져 있다. 반면에 우리의 문학은 그 어두운 얼굴을 직시하면서 풍성해질 수 있었다. 그런 우리 문학도 언제부터 경제성장에 빚지기 시작했으니 역사란 참으로 복잡 미묘하기만 하다.
-(「노벨 문학상의 너머」 중)

또 이 산문집에는 글쓰기와 책 읽기에 대한 저자의 평소 생각이 펼쳐져 있기도 한데, 이것들도 결국 예술에 대한 황규관 시인의 생각을 읽는 데 부족함이 없다. 특히 재밌는 것은 저자가 드는 비유 중 농사의 이미지가 심심찮게 등장한다는 점일 것이다. 이는 한편으로 비유의 실감을 위한 것으로도 보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점점 잃어가는 사물에 대한 감각을 되살리기 위한 것처럼도 보인다.

우리는 과거를 다시 살면서 미래를 미리 사는 몇 가지 방법을 안다. 책 읽기가 그중 하나일 텐데, 다만 그것이 김매기와 닮았을 때만 그렇다. 김매기는 과거를 다시 살지 않고는 할 수 없는 일이고, ‘뙤약볕 아래’라는 현재에서 미래를 바라보지 않으면 하기 힘든 노역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미래를 현재의 욕망 앞에 무릎 꿇리는 행위도 아니다. 오늘 김매고 곧바로 내일 거둬들이는 법은 없으니 말이다.
-(「책 읽기는 김매기다」 중)


그렇다면 기후위기와 테크놀로지가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존재를 납작하게 만드는 시대에 어떤 대응책이 있을 수 있을까? 물론 시인에게 구체적인 답을 내놓으라고 하는 것은 지나친 요구일 것이다. 아무래도 시적 상상력이란 것은 구체적인 대안이나 정책과는 좀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그래도 혹 있을지 모를 그런 요구에 대해 저자는, 죽을 것 같은 고비에서는 이웃이나 친구와 함께 사는 수밖에 없으며 사회적으로는 지나친 물질적 풍요 대신 검소한 고르게 가난함을, 개별적 존재자로서는 자신과 대화하는 삶을 꼽는다. 그런데 각 층위의 삶은 결국 본질적으로 같은 의미이며 서로 통한다. 이것들을 위한 사상의 토대를 황규관 시인은 아무래도 동학 사상에서 찾고 있는 것 같다. 수운 최제우부터 서로 돕는 ‘유무상자’를 권했다는 주장도 그러하고, 경제민주화의 요체를 ‘유무상자’로 보는 것도 그러하다. ‘유무상자(有無相資)’는 재산의 있고 없음을 떠나 서로 돕는 삶을 의미한다.
이번 산문집의 제목이 된 글의 「꺾이지 않는 마음」에서도 황규관 시인은 동학농민혁명의 꺾이지 않는 마음이 3·1운동으로 이어졌다며, 역사를 살아가는 데에도 이 마음이 중요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ㆍ 4


1부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

예술의 일·15
인공지능이 예술을 창작한다고?·20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27
스스로 새로워지지 않는다면·31
책 읽기는 김매기다·35
예술가는 그리고 또 그린다·42
우리에게 꽃을 바치는 어두운 ‘틈’·48
정지의 힘·59
노벨 문학상의 너머·63
자신과의 대화로서의 소통·67


2부 서로 돕는 고르게 가난한 사회

기후위기와 회복의 언어·81
자연, 자유를 위한 조건·90
경제 민주화와 자연의 권리·102
코로나가 묻고 있다·112
놀람과 설렘·121
빼앗긴 밤에도 별이 빛날까·125
김종철과 ‘고르게 가난한 사회’·129
디지털이 우리의 미래일까?·133
‘불의 시대’를 넘어서·137
우리의 봄은 여전히 아프다·141
자동차의 속도에서 생명의 속도로·145
다나카 쇼조의 삶과 생명사상·149


3부 꺾이지 않는 마음


다시 민주주의를 생각한다·163
서울을 위하여·167
농업 없이 ‘선진국’ 없다·171
평화는 지키는 것이 아니라 ‘사는’ 것!·175
‘죽을’ 고비를 ‘함께’ 살기·179
더 적게 갖는 민주주의·183
복사씨와 살구씨와 곶감씨의 세계·187
그린벨트 해제는 민주주의의 해제다·191
‘이따금씩’이 만드는 민주주의·195
꺾이지 않는 마음·199
사이버레커들의 서식지·203
치통·207
시골 병실에서·212
청년 노동자여, 연대하라!·216


4부 김종철 공부

생명의 문화와 민주주의·223
‘고르게 가난한 사회’와 시인의 큰 마음·237
리비스의 비평과 김종철의 비평·249
녹색국가를 향한 더 많은 민주주의·256


에필로그 : 대-화

인공지능과 예술, 그리고 ‘시인의 큰 마음’·271
글쓰기의 욕망에 대하여·280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