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최신 기술 및 이론, 다양한 학자의 주장을 가능한 많이 포함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부족한 영역이 여전히 있다는 점을 이해해주기 바란다. 정보사회론이 다양한 학문의 융·복합으로 구성됐기 때문에 모든 관련 이론을 총 망라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특히 올해 군무원 시험에서 사회학 이론은 1문제도 출제되지 않았다. 매년 2~3문제 이상 출제되는 영역이어서 수험생들의 충격은 컸다. 이론 학습의 중요성이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향후 시험에서도 비중은 점점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둘째, 컴퓨터와 인터넷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Block Chain) 등 과학기술 영역에 관련된 문제가 대폭 늘어났다. 일부 수험생들은 과목의 명칭을 ‘정보사회론’이 아니라 ‘정보과학론’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을 정도이다.하지만 정책의 변화는 불가피하다. 2016년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후 글로벌 국가와 기업들은 모두 핵심 경쟁력(core competency)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관련 영역의 기출 빈도는 많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시험 범위의 모호성이 심화되고 있어서 수험생이 체계적으로 대비하기 점점 어려워지고 있어 전략적 판단이 요구된다. 4차 산업혁명에 관련된 기술뿐만 아니라 플랫폼 경제, 공유경제, 디지털 포렌식, 디지털 시민성 등도 덩달아 중요해지고 있다.구글의 검색엔진을 포함한 각종 인터넷 사업의 수익모델까지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고민이 커졌다. 만점에 가까운 고득점을 받지 않아도 무방하다면 공부 범위를 한정해야 한다. 욕심을 조금 내려놓고 편안한 마음가짐으로 학습할 필요가 있다.
넷째, 출제위원들도 우수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어떤 문제를 출제해야 할지 고민이 크겠지만 조직에 필요한 소양을 측정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난이도 조정보다는 수험생의 공부 부담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는 점도 잊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