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없이 다정하고, 비명이 나올 만큼 끔찍한
위대한 문학들이 끌어올리는 진실
진은영이 사랑하는 시인 헤르베르트는 항상 책을 읽던 사람이었다. 그는 책 읽기의 무용함에 대해서도 이야기했으며, “그저 삶을 연명하고 있을 뿐”이라고 고백했다. 진은영은 헤르베르트에게 공감한다. 자신 역시 읽을 수 있어서 살아갈 수 있었던 시절이 있음을 떠올리고, 시인의 일부가 된 수많은 문장에 대해 이야기한다. 피할 수 없는 고통을 직시하는 문장들, 실패하는 것이 결코 어리석은 게 아니라고 증언하는 문장들, 그저 인간으로 살기 위해 패배할지도 모를 싸움을 시작하는 이를 사랑하게 만드는 문장들이다. 카뮈, 바흐만, 베유 등 이러한 문장을 쓰는 작가들은 독자들을 쉽게 위로하지 않는다. 다만 서늘한 진실을 말함으로써 비정한 세계 속에서 자신의 고유성을 확보하기 위해 싸우는 이들이 얼마나 고귀한지 깨닫게 한다.
우리가 무엇을 꿈꾸며 싸우든 그 꿈을 이루는 일은 어렵다. 조금 전진한 기분이었는데 도로 제자리라는 걸 깨닫게 된다. 인간은 실패하려고 태어난 ‘훼손된 피조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카뮈 덕분에, 우리는 어려운 싸움을 계속 이어가는 이들을 어리석다고 말하는 대신 위대한 용기를 가졌다고 말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우리가 진정 사랑하는 이들은 승리하는 이들이 아니라 진실과 인간적 품위를 지키기 위해 어쩌면 패배할지도 모를 싸움을 시작하는 이들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_본문에서
진은영은 삶이 곧 소송 과정임을 깨닫게 하는 카프카의 『소송』을 읽으며, 여성이 글 쓰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던 시대에 작가이자 ‘피고’로 살아야 했던 브론테 자매를 생각한다. 소수자성이 드러나는 순간 일상을 억압받는 한국 사회의 소수자들을 이야기하며 차별금지법 제정이 미뤄지고 있는 현실에 대해서도 쓴다. 울프의 『올랜도』를 읽으며 400년 동안 남성으로도 여성으로도, 외교 대사로도 집시로도 살다가 나중엔 열망했던 ‘시인’이 되는 올랜도를 통해 그저 모두가 자신이 살고자 하는 모습으로 사는 사회를 기원하기도 한다. 아리엘 도르프만의 시 「희망」을 읽으면서는 한국에서 벌어진 참사와 희생, 그 후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유가족들의 고통도 떠올린다. 탁월한 작가들과 작품들은 시대와 장소를 뛰어넘는다. 강력하고 유효한 질문을 던지고, 다수가 애써 외면하려던 불의를 드러낸다. 또한 시인의 말대로 용감한 독자들은 이 용감한 작품들을 알아본다. 작품을 통해 자신의 고유한 위치를 가늠하고, 정확한 위안을 받으며 삶을 쉽게 포기하지 않으리라 마음먹는다.
“우리의 사랑이 사소한 일에서 시작되듯
구원도 혁명도 그럴 것이다”
김소연 시인은 진은영을 두고 “인간이 회복될 수 있는 힘이 어디에서 발현되는지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 시인”이라고 썼다. 진은영은 슬픔 속에서도 힘껏 삶을 견디는 존재들의 작은 몸짓과 낮은 목소리에 주목하고, 신중한 문장으로 그 아름다움에 대해 적는다. 톨스토이의 「주인과 하인」에 나오는 욕심 많은 주인 브레후노프가 미세하게 달라지는 순간을 포착하고, 롤랑 바르트와 앤 카슨이 기록한 애도의 문장들을 섬세한 눈으로 읽는다. 자신을 드러내지 않음으로써 타인을 배려하고 체제에 저항했던 라이너 쿤체가 얼마나 용감한 시인이었는지 구체적으로 써 내려간다.
위대한 책을 읽는다고 혁명을 일으키거나 인류를 구원하지는 못했지만, 다만 살아갈 수 있었다는 진은영 시인. 시인이 되기 전부터 늘 좋은 독자였을 그가 아껴온 작가와 작품의 목록을 보다 보면, 시인이 깊이 몰입했을 주제, 영혼에 흔적을 남겼을 문장에 대해 상상하게 된다. 다만 한 사람을 살게 하는 일은 결코 사소하지 않다. 누군가의 삶에 끊임없이 빛을 비추는 일은 실로 대단하고, 우리는 책을 읽으며 그 빛을 쬘 수 있다. ‘도끼’ 같은 문장들을 발견하는 행운을 누리고, 자신이 세상과 맞지 않는다고 느끼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나아가기도 한다. 진은영 시인의 아름다운 산문을 읽으며, 읽기가 진정한 구원으로 이어지는 삶이 있음을 깨닫는다.
이것은 개인적 고백인 동시에 문학적 고백이다. 인간으로서 감당하기 힘든 고통과 위로할 길 없는 슬픔을 한 사람에게서 감지하고 그를 마지막 순간까지 지키려고 안간힘을 쓰는 것이 바로 문학의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 안간힘이 사라질 때 문학은 끝난다.
_본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