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 ‘진한 책’을 여러 밤 곁에 두고 아껴 읽었다.”
-안희연(시인) 강력 추천
유려한 필치, 매혹적인 에세이스트의 탄생!
최리외는 『밤이 아닌데도 밤이 되는』에서 오랜 기간 세련해온 자신의 글쓰기를 차분하고도 유려한 필치로 풀어낸다. “고독한 목소리의 중얼거림./발화함으로써 증언이 되는 기억, 고통, 그리고 사랑./발화되지 않은 채 내내 누군가의 입술 언저리에 묻어 있는 기억 밑의 기억들.” “그러나 동시에 다정하며, 사랑을-그것이 죽음과 닿아 있더라도-말하는 글쓰기.”(27면) 때로는 아프고 때로는 용감하며 때로는 환해지는 최리외의 이야기들은 결국 읽는 사람을 행복하게 한다. 그가 접어둔 책의 페이지를 같이 펼쳐보고 싶고, 그에게 말을 건네고 싶은 욕망이 절로 이는 까닭은 “우리가 어느 글의 구석에서, 모서리에서, 귀퉁이에서, 작게 추가되는 각주들 틈에서 만날 수 있다면 좋겠”(28면)다는 작가의 바람이 통했기 때문일까.
최리외는 첫 책에서 새로운 형식 실험을 하며 작가로서의 기량을 한껏 뽐낸다. “이 글은 끝나지 않는 밤을 통과하는 ‘당신’의 이야기다.”(9면)라는 첫 문장부터 빠져들게 하는 짧은 소설 「언젠가, 공항의 밤에」, 여러 각주를 통해 ‘최리외’라는 인물을 고찰하는 「여기, 우리가 만나는 곳」, 떠나간 친구에게 편지를 쓰며 ‘헬렌 크라우스’의 문장을 옮기는 「편지에 대한 편지,에 대한」, ‘스무 살’이라는 제목의 자작시가 수록된 「스무 살, 봄, 몽우리」, 한 편의 낭독극이 생생하게 그려지는 「편지는 없고, 꿈에서 만나」 등 수록작을 살피다보면 번역가, 창작자, 낭독자로서 다재다능한 작가의 모습을 흐뭇하게 그려볼 수 있다. 그러면서도 작가가 조심스럽게 펼쳐 보이는 이불을 둘러쓰고 악몽에 시달리던 유년 시절의 아린 기억, 세월호참사를 겪은 뒤 ‘우리가 지금 할 수 있는 일’에 대해서 고민하며 독서모임을 꾸린 마음, “어디선가 누군가 단 한 명이라도 듣는다면 내 목소리가 어딘가로 전해진 것이기를”(188면) 바라는 마음으로 낭독을 시작하던 외로운 밤을 들여다보게 되면 ‘지금-여기’에 건강하게 서 있는 작가의 손을 맞잡아주고 싶어진다.
어쩌면 『밤이 아닌데도 밤이 되는』은 최리외가 당신에게 보내는 긴 편지인 것도 같다. “최리외는 좁은 방 안에 갇혀 있다는 생각이 들 때마다 편지를 썼다. 창을 열어도 바깥의 생동이 느껴지지 않을 때, 지금-여기에서 간절히 벗어나고 싶을 때, 그러나 물리적 대면이 가능한 관계들 안에서는 안온할 수 없을 것 같다고 느껴질 때마다”(21면) 최리외는 “단 한 명의 독자만을 예감하며”(29면) 편지를 쓴다. 그리고 그 독자는 그가 ‘사랑하는 사람’이 된다. 그는 “사랑하지 않는 이에게는 편지를 쓰지 않”(36면)기에. 그는 편지에 “당신이 이 편지를 열어볼 때쯤이면 나는 이 편지를 쓰고 있는 나와는 다른 사람이 되어 있을지도 몰라요. 어쩌면 계절이 변할 수도 있을까요? 어떤 마음은 닿는 데 너무 오래 걸립니다”(31면)라고 쓴다. 하지만 최리외가 보내는 ‘한 권의 편지’를 읽으면 그의 마음은 바로 가까이에서 느껴질 것이다. 최리외가 보내는 편지를 자주 열어볼 것이고, 그 안에 담긴 반짝거리는 무언가를 발견하면서 편지를 쓰는 사람처럼 편지를 받는 우리도 달라져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곁’의 힘을 느낄 것이다. “뜻밖의 우연처럼 휘둥그레지게, 사랑의 상대를 만나게 되는 순간처럼 예기치 못하게 조우하게 되는 ‘곁’이”(148면) ‘지금-여기’에 있다.
내가 편지를 사랑하는 수많은 이유 중 하나는 지금, 여기에서 말을 건넬 수 있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 그들에게 말하는 대신 나는 지금, 여기에 없는 이들에게 편지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만날 수 없고, 만질 수 없고, 당장 닿을 수 없어도 내게도 목소리가 있다는 것을 아는 이들에게. 그들은 죽은 사람이기도 했고, 내가 읽은 책 속에 등장하는 인물이기도 했습니다. 그들은 모두 나의 연인들입니다. 나는 사랑하지 않는 이에게는 편지를 쓰지 않으니까요.
사랑하는 이의 모순. 사랑하는 이의 아이러니. 사랑을 말하지만, 사랑을 향해 쓰지만, 거리가 있어야 비로소 완성되는 사랑도 있다는 것. 편지는 내게 그 숙명과도 같은 진실을 알려줍니다. 나는 당신의 부재를 느끼며, 그 부재를 천천히 통과하며 편지를 씁니다.(35~3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