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박정희·김대중, 그들이 만든 세상

박정희·김대중, 그들이 만든 세상

  • 강성주
  • |
  • 아웃룩(OUTLOOK)
  • |
  • 2024-06-25 출간
  • |
  • 708페이지
  • |
  • 152 X 225mm
  • |
  • ISBN 9791197821004
판매가

35,000원

즉시할인가

31,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1,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적과 동지가 선명하게 구분되던 때가 있었다. 흑과 백, 어느 한 편에 서서 목소리를 높이고 내 편과 네 편으로 나뉘어 저마다 주먹을 불끈 쥐고 허공을 향해 외쳤다. 자유와 번영 그리고 인권을!
이념 대립이 사리진 지금, 우리가 서성이고 있는 이곳은 대체 어디인가?
인간 존엄의 가치를 위해, 국민이 잘 사는 사회를 위해 모두 ‘일 잘할 것 같은 정치인’을 찾아 헤매 다니는 이 광야는 여전히 내일을 알 수 없는 짙은 안갯속이다. ‘정치(政治)’라는 단어에 함축된 본질은 ‘우리’에 있다. ‘우리’라는 응축된 힘없이 정치는 움직이지
않는다. 사회적 가치의 권위적 분배, 공익, 권리 국가의 본질과 미래, 이런 피부에 닿지 않고 멀게만 느껴지는 꾸밈말에 ‘우리’는 매우 피곤하다. ‘일 잘할 것 같은 정치인’에 열광하고 열광한 만큼 실망한다.

이 책은 1961년 5월 16일 박정희가 쿠데타를 일으킨 때부터 시작된다. 박정희는 9대 대통령 재임중인 1979년 10월 26일 홀연히 세상을 뜬다. 고뇌의 시작점이다. 때에는 박정희의 걸음은 멈추었지만, 김대중의 길은 아직 많이 남아있었다. 이 책은 박정희가 세상을 떠난 1979년까지를 다룬다.

그 시절 박정희와 김대중은 체제와 반(反)체제의 구심점이었다. 1969년 3선 개헌을 계기로 대통령 박정희와 김대중의 길은 달라지기 시작한다. 권력이란 한번 거머쥐면 놓을 수가 없다. 경제부흥의 거대한 축을 이룬 박정희의 업적은 컸으나, 장기 집권이라는 트라우마가 드리운 그늘은 칠흑같았고 추웠다. 그리고 그 어두운 장막 너머에는, 선거를 통한 ‘평화적 정권교체의 희망’이란 싹을 틔우는 야당의 기수들이 있었다.

이 책은 1961년에서 1979년까지 18년간의 박정희와 김대중, 김대중과 박정희의 엇갈린 길을 외신(外信) 기사를 길잡이로 삼아 살펴본다. 1960~70년대 외신은 지금과는 달리 막강한 위상을 갖고 있었다. 국내 언론이 다루기 어려운 뉴스를 전했고, 국내 언론과 다른 시각으로 분석하고 전망을 제시했다. 당시 우리나라는 언론에 대한 정부 간섭과 통제가 극심하던 시절이기에 외신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외신의 입으로 우리 현실을 세상에 알리고자 했던 시절이었다. 국내에는 미국과 일본의 신문들이 배포됐고, 타임(TIME)지와 뉴스위크(Newsweek)지가 판매됐다. 그러나 한국 문제를 다룬 기사의 군데군데가 먹칠이나 가위질이 돼 있거나 페이지가 빠져있기도 했다.

제한된 자유 안에서 우리는 박정희와 김대중이 제시한 꿈을 따라 걸었고 또 그들이 울타리 친 세상 안에서 노력했다. 그렇게 쫓겨도 보고, 외치기도 하면서 먼 길을 온 뒤 돌아보니, 우리는 그들이 닦은 길 위에, 그들이 만들어 남긴 세상 안에 살고 있었다. 지금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나라는 박정희와 김대중이 그렇게 꿈꾸던 나라였고 그들이 애써 가꾼 세상이었다. 우리는 그렇게 노력하고 제약받고 투쟁했다. 우리의 노력이 정당하게 평가받고 우리나라가 정의로운 존재가 되기를 바라면서 열심히 꿈을 좇으며 살아왔다. 우리 국민 가운데는 이 두 지도자에게서 아직 받아낼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많은 것을 빚졌다고 고마워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지금도 세상은 어수선하다. 역사가 계속되는 동안 세상은 계속 그렇지 않겠는가?

목차

서문 / 7
제1장 박정희·김대중 : 세상을 만나다 15
세상을 만나다 16/만주(満洲), 특이한 공간 18 / 1943년 11월, 도쿄(東京) 23 /
1943년 11월, 카이로(Cairo) 26
제2장 해방된 조국 / 39
군인 박정희 40 / 정치지망생 김대중 47 / 박정희 사단장을 찾아간 김대중 50
제3장 4·19혁명과 제2공화국 : 1960~1961 / 57
부정선거와 419혁명 58 |하야 그리고 망명 61 / 제2공화국 67 / 당선 그러나
쿠데타 72
제4장 박정희의 시간(1) : 쿠데타 77
5월 16일의 쿠데타 78 / 5·16 그리고 미국 79 / 쿠데타 뒷날, 미국 86 / 7월, 최초의 반혁명 사건 93 / 이주당(貳主黨) 사건 97
제5장 현실의 벽 : “도둑 맞은 폐가” 101
답답한 현실 102 / “도둑맞은 폐가” 106 / 동갑내기 대통령, 박정희와 케네디
111 / 경제개발 “돈이 없다” 116 / 민정이양 제5대 대선(1963), 남여북야(南与北野)
118 / 독일로 가는 광부와 간호사 122 / 한일(韓日)회담 그리고 미국 125 /
베트남(월남) 파병 132
제6장 박정희의 시간(2) : 북한의 도발 137
제6대 대선(1967), 동여서야(東与西野) 138 / “박정희 멱 따러 왔수다” 144 / 미국 “보복은 안 돼” 147 / 대통령의 충격 152 / 북한식 베트남전 지원 155 /
대통령의 하루 156 / 드디어 3선 개헌 159
제7장 짧은 만남 : 1968.1.1 167
“그렇게 다정할 수가 없더라고” 168 / 79년 여름, 마지막 기회 170 / “내공이
있어요” 172
제8장 김대중의 시간(1) : 국회의원 179
1963년 목포(木浦) 당선 180 / 1967년, 치열했던 ‘목포 전투’ 186 / 40대 기수
192 / 젊은 야당 대통령 후보 200 / 첫 정책대결 203
제9장 “권불십년”(權不十年) 207
“사명의 70년대” 208 / 10년 집권의 그늘 210 / 빛을 찾아서 223 / “한 20년
집권합니다” 227
제10장 김대중의 시간(2) : 야당 대통령 후보 235
대선 앞둔 한국 언론 236 / 후보, 미국 방문 239 / WP “다시 전쟁은 안 돼”
246 / NYT “선거 부정만 없다면, 이긴다” 252 / 새로운 신화, 장충단공원 유세
257 / “성장” 대 “변화” 263 / 박정희, 3선 대통령 267 / 찜찜한 승리, 나쁘지
않은 패배 269
제11장 서로 다른 길로 들어서다 273
“좀 특수한 결심” 274 / 유기천 교수 “총통제 연구” 280 / 파동, 난동, 반란
283 / 수염 뽑힌 국회의원 290 / 두번째 위수령 292 / 국가비상사태 선언 294
/ 추기경의 성탄(聖誕) 강론 299
제12장 10월 유신(維新) 305
멀어지는 두 사람 306 / 괌(Guam) 독트린 310 / 위기의 시작, 주한 미군 철수
313 / 북한의 평화공세 : NYT와 WP 초청 323 / 박정희 “1980년 쯤 만나자”
336 / “평양에 다녀왔습니다” 341 / 박정희의 권력 의지 346 / 10월 유신(維新)
348 / 유신, 누구의 구상인가? 352 / 유신국회(제9대) 구성 355 / NYT, “아직도 한반도는 위험하다” 357
제13장 방위산업 : 막다른 선택 371
자주국방 372 / “우리도 원자폭탄을 연구해야겠어” 374 / 방위산업 1차 시도
379 / 방위산업 2차 시도 381 / 나라를 지켜낸 결정 384 / 남·북한과 일본의 핵
능력 386
제14장 김대중의 시간(3) : 납치 393
일본에서 맞이한 유신 394 / 미국으로 398 / 한민통(韓民統) 결성 404 /
납치(拉致) 406 / 누구의 지시인가? 418 / 진짜 이후락이 했나? 422 /
쏟아지는 기사(1) : Washington Post 425 |쏟아지는 기사(2) : New York Times
435 / 쏟아지는 기사(3) : Christian Science Monitor 443 / 눈속임 연금 해제
449
제15장 긴급조치와 저항세력: 재야와 대학가 457
유신 1년만의 반대 시위 458 / 한국의 재야(在野) 461 / 재야, 행동에 나서다
466 |대통령 긴급조치권 471 / 긴급조치 1, 2호 472 / 긴급조치 4호 474 /
구속된 변호사 476 / 육영수 여사 피격 480 / 긴급조치 7호 485 / 긴급조치
9호 485 / 유신시대의 언론자유 486
제16장 박정희의 시간(3) : 남북한, 체제경쟁 끝나다 493
신(神)의 옷자락을 잡다 494 / 중화학공업화 추진 504 / 수출 100억 달러 506
/ 공업화에 앞선 북한 510 / 북한의 위기와 주체노선 512 / 한국, 어려운 출발
516 / 체제경쟁 끝나다 523
제17장 김대중의 시간(4) : 격리 531
가택연금 532 / 백지(白紙) 광고 534 / 베트남 패망과 남침용 땅굴 537 / 3·1
민주구국선언 540 / 못으로 쓴 편지 543 / 다시 “김영삼을 총재로!” 563
제18장 코리아게이트(Koreagate) 549
열리는 코리아게이트 550 / 김형욱(金炯旭) 전 중앙정보부장의 증언 558 /
코리아게이트 전말 560 / 청와대 도청(盗聴) 564 / 미국의 ‘도청 본능’ 568
제19장 박정희의 마지막 시간(4) :권력의 공백 573
유신 2기의 출발(1978) 574 / 끈질긴 비리와 총선 참패 576 / 권력 내부의
불협화음 584 / “선명야당(鮮明野党)” 김영삼 총재 587 / 통치 자금 “1년에
30억~40억 필요” 589 / YH 사태 591 / 김영삼 “미국의 결단” 촉구 594 /
커지는 눈덩이 603 / 대통령의 마지막 만찬 606 / 역사의 가정(仮定) 614 / “박정희, ”아주 주도면밀한 통치자” 617
주석 / 참고문헌 632
후기 70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