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나의 어린이
여기가 나의 기쁨이야
총 3부로 구성된 이 책은 1부에서 3부로 나아가며 한 사람이 과거로부터 이어진 삶을 통과하여 새로운 시작 앞에 서는 여정에 함께하게 만든다.
1부 ‘여름에 만난 아이’에서 작가는 자신 안의 어린이가 혼란하고 뜨거운 날들을 보내며 무엇을 느꼈고 어떤 사랑을 했는지를 복기한다. 그 중심에는 언제나 할머니가 있다. 조손 가정의 어린이로 자란 작가는 어린 시절 할머니가 주었던 사랑이 성인이 된 이후에도 자신을 단단하게 지탱하는 양분이 되어주었다고 말한다. 할머니는 언제나 ‘주는’ 쪽으로, 가난한 형편에도 가난하지 않은 마음을 물려주려 애쓰던 모습으로 그의 기억 속에 남아 있다. 손녀에게 먹일 오이지를 절이기 위해 눅눅한 여름 새벽 물을 끓이다가 화상을 입은 할머니, 열두살까지 품에 안아 머리를 감겨주던 할머니, 그렇게 “나의 몸, 나의 말, 때때로 나의 밤이 되어 내내 나와 함께할 사랑의 재료들”이 되어준 기억들. 마침내 “그러니까 나는 하나의 사랑 이야기가 될 것”이라 말하며 풀어놓는 이야기는 마음의 온도를 올리고, 우리를 지탱해온 사랑을 돌아보게 한다.
2부 ‘기쁘게 집으로 돌아오렴’에는 상실과 그 이후의 시간이 담겨 있다. 사랑과 기쁨이 있다면 상실과 아픔 또한 피할 수 없다. 작가는 할머니, 아버지와의 이별을 경험한다. 삶의 순간마다 안고 가야 할 무거움을 남긴 이 경험은 극복하거나 시간이 지나면 온전히 이해할 수 있게 되는 종류의 것이 아니다. 작가는 온몸으로 아파하며 상실의 경험을 이야기하면서도 그 시간의 곁에 아름다운 기억들을 덧대어보기로 다짐하는 ‘어른’의 모습을 보여준다. 무너지고 부서진 조각들과 반짝이는 기억을 함께 모아둔, “내가 아니면 열릴 일이 없는 상자”를 열며 아픔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방식으로 다시 살아내기로 다짐하는 작가의 용기는 은은한 빛이 되어 독자에게 스며든다.
3부 ‘나를 기다리는 이야기’는 한 꼭지의 제목처럼 ‘그러고도 혹여 네게 힘이 남아 있다면’에 대한 대답이다. “내가 아는 나의 어린이”로부터 고개를 들면 지금의 나를 지키는 존재들이 보인다. 사랑하는 사람과 두마리의 개, 시 쓰는 날들을 응원하는 다정한 동료들은 다시 한번 용기 내어 살아갈 이유가 되어준다. 그렇게 작가는 결핍을 껴안고 충만함 쪽으로 나아간다. 불안과 상처가 얽혀 있는 그물을 통해서도 건져 올릴 수 있는 사랑이 있고, 그 사랑은 타자를 향해 뻗어갈 때 더욱 빛난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럴 때 우리의 사랑은 조금 더 나아”간다고 분명하게 말하는 목소리는 어떤 화려한 수식어를 붙인 문장보다도 단단하게 삶을 보호한다.
매일매일 조금 더 환한 쪽으로
작가는 가장 깊은 곳에 있는 마음을 꺼내어놓는 순간의 힘을 믿는다. 그렇기에 자신의 기쁨과 슬픔이 얼룩진 시간 속으로 먼저 들어가 어려운 고백의 무게를 감당하면서도, 그 고백을 마주하는 우리에게는 “당신의 여름 과일은 무엇인가요?” 물으며 느리고 조심스럽게 다가온다. “몸은 얼고 숨은 가빠지고 온몸이 깨질 것 같은 두려움”은 언제든 다시 찾아올 수 있다. 그럼에도 그 두려움이 지나간 자리에 기쁨의 기억을 덧대어보는 이 아름다운 시도는 태양이 뜨겁게 내리쬐는 삶의 한복판을 향해 한발자국 내디딜 수 있는 용기를 선물해줄 것이다. “내가 또다른 누군가를 아프게 할까봐. 이파리 하나라도 상하게 만들까봐. 나는 얌전히 조심한다”라고 말하는 사람의 진심은 조금 더 다정한 마음으로 오래전 감춰두었던 말들을 털어놓아도 안전한 공간을 만든다. 우리의 여름 한복판에 무엇이 기다리고 있을지 기대하는 설렘으로, 이제 이 기분 좋은 흔들림을 마주할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