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천주(侍天主) : 한국적 평등사상
동학이 창도되었던 19세기 중반. 우리나라는 밖으로는 서세동점(西勢東漸)이라는 서양 열강의 침탈 위기에, 안으로는 삼정문란(三政紊亂)이라는 체제 위기에 놓여 있었다. 거기에 더해 콜레라와 장티푸스가 유행하고 가뭄과 기근 등의 자연재해가 끊이지 않고 발생해 이 땅의 민초들은 단 한시도 편하게 살 수가 없었다. 전대미문의 위기 아래서 수운 최제우는 만민평등과 만물해방의 사상으로서 ‘동학(動學)’을 창도했다.
동학의 핵심은 ‘시천주(侍天主)’, 즉 “모든 사람은 제 안에 가장 성스럽고 거룩한 존재를 모시고 있다”는 것이다. 양반이나 평민이나, 어른이나 어린이나, 늙은이나 젊은이나, 남자나 여자나 모두가 ‘시천주’의 존재로 태어나며, 또한 누구나 ‘시천주’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 동학의 요지다. 《용담유사》는 모든 사람이 거룩한 ‘하늘님’을 모신 존재라는 가르침을, ‘다시 개벽’의 새 세상이 오고 있음을 실감나게 노래한 한글 가사다.
동학이 엄청난 속도로 많은 사람들에게 파고들며 전국에 동학 네트워크를 건설할 수 있었던 것에는 《용담유사》의 역할이 지대했다. 동학의 핵심 경전인 《동경대전》이 한문으로 된 것과 달리, 《용담유사》는 평범한 부녀자, 어린이, 노비, 평민 등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한글로 창작되었기 때문이다. 1860년에 성립한 이래, 34년간의 지하 포교 시대를 거쳐 수백만 명의 민초들이 뛰어들어 보국안민을 위해 목숨 걸고 싸웠던, 세계사에서 일찍이 그 유례가 없는 최대이자 최고의 민중 운동이었던 동학농민혁명의 사상적, 조직적 기반이 《용담유사》였던 것이다.
서(西)로 활짝 열린 동(東)
서학에 대립하는 동학 또는 서를 배척하는 동이 아니라 서(西)에 활짝 열린 동(東), 생명 또는 광명을 상징하는 동, 타자와 어울려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동으로서의 동학(東學)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제우는 말했다. “운즉일(運則一)이요 도즉동(道則同)이며 이즉비(理則非)라.” 즉 “시운은 하나요, 도는 같으며, 이치는 다르다.” 근대라는 새로운 시대의 요청으로서 서학이 조선 사회에 받아들여지는 것이나, 조선 땅에서 동학이 창도되어 널리 전파되는 것이나 시운은 똑같다는 것이다. 수운은 자신이 창도한 동학과 서양에서 들어온 서학이 같은 ‘시운’을 타고났음을 인정하고 있었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도즉동(道則同)” 즉 도는 같다고 했다는 것이다. 서학, 지금의 천주교가 추구하는 길이나 동학이 추구하는 길이 궁극적으로 같다는 것이다. 서학과 동학이 추구하는 ‘도(道)’의 보편성을 강조한 것으로, 타종교에 대한 다원주의적 사고를 보여 준다.
그러나 수운은 “이즉비(理則非)”, 즉 이치는 다르다고 했다. 내가 서 있는 자리, 내가 살고 있는 현장은 다른 사람과 다를 수밖에 없다. “나는 동에서 태어나서 동에서 도를 받았으므로 내가 만든 것을 어찌 서학이라고 할 수 있느냐? 동학이라고 밖에 표현할 수밖에 없다.” 내가 서 있는 이 자리의 상황에 충실할 수밖에 없다는 말인 동시에, 나의 주체성을 역설한 것이다. 한편으로는 서학과 같은 타종교나 서양 문명과 같은 이질 문명에 대해 전면적으로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면서도 나는 내 길을 갈 수밖에 없다는, 타자를 향해 활짝 열려 있으면서도 자기 주체성을 갖는 것이 바로 동학인 것이다. 상대의 보편성을 인정하면서도 내가 서 있는 바로 이 자리에 충실하려는 것이 동학의 핵심 사상이다.
《용담유사》의 초판은 1881년 충청도 단양에서 목활자본으로 간행됐다. 현재 초판본은 발견되지 않고 있으며 1982년 전주에서 발견된 계미중추판(癸未仲秋版), 즉 1883년 음력 8월에 ‘북접(北接)’이라는 이름으로 간행된 판본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이다. 이 책은 계미중추판을 저본으로 삼아 현대 한글로 바꾸었다. 또한 수운 최제우가 체포되어 순교 당하는 빌미가 되었던 〈검가〉[劍歌, 검결(劍訣)이라고도 한다]도 여러 이본(異本)을 비교·대조해 정본화(定本化)해서 수록했다.
* 동학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 분은 수운 최제우가 저술한 동학의 핵심 경전인 《동경대전》(박맹수 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을 함께 읽어 보시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