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에는 중국인과 혈통도 문화도 전혀 다른 토착 원주민이 있다. 또 오래전에 중국 대륙에서 건너와 뿌리는 한족이지만 중국인도 아니고 토착 원주민도 아닌 민난인(閩南人)이 있다. 여기에 또 1949년 국민당이 후퇴할 때 대량으로 이주한 외성인(外省人)이 있다. 타이완은 혈통, 언어, 문화가 다른 사람들이 다 함께 모여 사는 복잡한 공간이다. 타이완 향토문학의 기초를 다진 중리허와 그의 작품에는 타이완인이 갖는 복잡한 정체성이 교착하고 있다.
<원향인>, 근대인에게 ‘고향’과 ‘상실’은 같은 낱말이다.
‘원향’이라는 말에는 다층적인 의미가 담겨있다. 중국 대륙에 대한 혈연적, 문화적 유대감이 그 하나이면, 다른 한편에는 직접 체험해 본 ‘원향’ 중국이 자신들이 그리던 곳과는 다르다는 실망감이 자리한다. 주인공은 어렸을 때부터 ‘원향’이라는 말을 접하며 중국이야말로 자신의 진정한 고향이라 믿었다. 그러나 작품 도처에는 주인공의 ‘상상된 향수’와 원향을 향한 막연한 동경이 실패할 것임을 예고하는 복선이 자리하고 있다. 이민의 역사가 뚜렷한 타이완 사회에서 ‘족군(族群)’을 둘러싼 정체성 문제가 쟁점이 됐을 때 이목을 끌었던 이 작품은 중국과 다른 타이완의 역사와 정체성 수립 문제를 다각도에서 조명한다.
<협죽도> 후원에는 독초가 자란다.
사합원(四合院)은 베이징과 중국의 건축 양식을 대표하는 주거 형태다. 중리허는 사합원을 배경으로 빈곤과 삶의 무게에 눌려 ‘인간다움’을 돌아볼 여력이 없는 군상을 치밀하게 묘사했다. 체면을 따지지 않는 인물, 게으른 인물, 나약한 인물, 저항할 줄 모르는 인물, 가족을 져버린 인물. <협죽도>가 표상하는 중국인의 형상은 상당히 부정적이어서 많은 비평가들은 그것을 중리허의 한계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그러한 경사를 타이완인의 원향에 대한 상실감과 연관 지을 때 작품의 의미는 한층 더 풍성해진다.
<도망> 봉건적 유습에 대한 저항
이 작품은 하카(客家) 사회에 남아 있던 동성불혼(同姓不婚)이라는 봉건적 유습 때문에 사랑의 도피를 감행해야 했던 중리허의 개인적 체험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는 자전적인 작품이다. 중리허는 중핑메이(鍾平妹)와 사랑의 결실을 맺기 위해 타이완을 떠났다. 집안의 반대에 부딪치는 자세한 내막은 생략된 채, 주인공 두 사람은 타이완을 출발해 일본의 시모노세키와 조선의 부산을 거쳐 기차를 타고 만주를 향한다. 종착지에 닿지 못한 채 끝을 맺는 처리는 독자들로 하여금 작품을 손에서 놓는 순간까지 긴박감과 초조를 느끼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