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동아시아 역사와 자기 서사의 정치학

동아시아 역사와 자기 서사의 정치학

  • 김성연(엮음) ,임유경(엮음) ,이헬렌 ,김항
  • |
  • 앨피
  • |
  • 2018-08-30 출간
  • |
  • 410페이지
  • |
  • 139 X 215 X 26 mm /541g
  • |
  • ISBN 9791187430315
판매가

17,000원

즉시할인가

15,3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5,3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자기서사’란 무엇인가
자전적 서사autobiographical narrative, 자기서사self-narrative, 에고 도큐먼트ego document, 사적 심급 문헌, 일상 기록…. 최근 들어 자기서사를 새롭게 개념화하려는 시도가 활발하다. 자기서사를 통칭하는 용어는 문화권마다 다양하다. 이 책에서 ‘자기서사’라고 한 것은, 이 용어가 실제 텍스트들에서 발견되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글쓰기 양식과 스타일, 다양한 저자들과 글의 목적 및 효과를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자기‘서사’는 곧 자기표현, 기록, 전달, 증언, 호소, 고백, 폭로, 대항, 과시 등의 집필 동기 아래, 글쓰기 주체와 내용, 방법과 공유에서 자기 기술적이거나 개인적 글쓰기, 자전적 서술이라는 특징이 있는 글을 가리킨다.

국가.민족.계급.젠더를 관통한 역동적인 역사
이 책의 특장점은,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자료, 담론, 현상, 이론 등 다각적 차원에서 자기서사 연구에 새롭게 접근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근현대사의 질곡 속에 만들어진 자기서사의 주체를 국가, 민족, 계급, 젠더, 세대의 차원에서 폭넓게 검토할 수 있었다. 자기서사는 특정 형식이나 장르가 아니기 때문에 여러 장르들이 만나고 교착되며 발생하는 독특한 특징들이 존재한다.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은 제국과 식민에서 냉전과 분단, 독재와 개발, 민주화에 이르는 동아시의 근현대사와 역사적 경험들을 복합적으로 품고 있는 다양한 서사들을 통해 자기서사의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음미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저자들이 채택한 새로운 관점과 접근법은 그 자체로 자기서사 연구의 학술적 의의와 사회적 의미를 함께 조명해 준다.

감춰지거나 지워진 존재에 대한 사회적 관심
자기서사의 집필자들과 새로운 글쓰기 양태를 어떤 결여로서가 아니라 우리가 주목해야 할 특징적인 현상으로 재인식된 것은 21세기 들어서이다. 특히 10여 년 전부터 자기서사 연구는 역사를 하나의 규범적 서사를 통해 공식화하려는 오랜 시도를 성찰하고 비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다양한 주체의 자기서사를 통해 다양한 주체의 ‘있음’에 주목하게 되었고, 감춰지거나 지워졌던 존재와 삶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촉발시켰다. ‘서구-근대-남성’을 중심으로 구성되던 자기서사와 그에 관한 연구가 지역과 시대 및 대상의 모든 방면에서 확장되었고, 이와 맞물려 주체와 텍스트가 위치한 역사적 맥락과 그로부터 창출되는 사회적 효과에 대한 관심이 일어났다. 한국에서는 자기서사 연구가 서구 근대의 보편성과 동아시아적 지평, 아울러 한국적 특수성을 포괄적으로 논의하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작은 서사들’이 지닌 가치
식민과 전쟁, 냉전과 분단, 독재와 민주화로 이어지는 근대 이후의 역사적 경험은 세계와 지역에 모두 걸쳐 있기 때문에, 보편적 경험과 개별적 경험의 변증법적 관계를 성찰해야만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일국사적 역사 서술의 한계를 보완하거나 기존 서술 체계를 근본적으로 뒤흔드는 ‘작은 서사들’을 통해야만 다가갈 수 있다. 다양한 주체들의 자기서사 연구는 한편으로 탈식민, 디아스포라, 젠더, 서벌턴 연구의 활성화에 빚지고 있으면서, 이주민과 난민, 여성, 노동자 등 사회의 여러 주체들에 관한 연구가 본격화되는 데 중요한 자원을 제공한다.

(지은이)
이헬렌_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대학 교수. 일본문학을 전공했으며, 주로 일본의 제국주의와 재조선 일본인 연구를 중점적으로 다뤄왔다. 대표 저서로 Reading Colonial Japan: Text,
Context, and Critique(편저)와 《포위된 평화, 굴절된 전쟁기억》(공저)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Unending Stories of the Battleship Yamato:Narrating the Past, Creating a Phantom,” “Writing Colonial
Relations of Everyday Life in Senry?”, “Dying as Daughter of the Empire” 등이 있다.

김항_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교수.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표상문화론을 전공했으며, 주로 한국/일본 근현대 지성사와 현대 문화/정치이론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 《말하는 입과 먹는
입》, 《제국일본의 사상》, 《종말론 사무소》 등이 있고, 역서로 《예외상태》, 《정치신학》 등이 있다.

조영추_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중국 남경대학교 한국어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현재 해방기 문학과 한·중 근대문학의 비교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기억·정치이념과 몸의 정체성: 해방기 이용악의 시 세계를 중심으로>, “Screening Nostalgia in Korean Television Drama Reply 1988” 등이 있으며, 역서로 《集體情感的譜系(집단감성의 계보)》(공역)가 있다.

김예림_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교수. 연세대학교에서 한국문학을 전공했으며, 근현대 한국문학 및 문화를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 《문학풍경, 문화환경》, 《국가를 흐르는 삶》, 《분단시대의 앎의 체제》(공저), 《현대사회와 비판적 글쓰기》(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여행하는 자와 세 개의 지도>, 〈1960~1970년대의 제3세계론과 제3세계문학론>, <노동의 로고스피어> 등이 있다.

정승화_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전문연구원. 연세대학교에서 비교문학협동과정 대학원을 거쳐 사회학을 전공하였고. 젠더사회학과 감정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 《친밀한 적: 신자유주의는 어떻게 일상이 되었나》(공저), 《정치의 임계, 공공성의 모험》(공저), 《세계의 백과사전》(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한국 근대 가족의 경계와 그림자 모성: ‘식모-첩살이’ 여성의 구술생애사를 바탕으로>, <치유적인 것은 정치적인가: 치유 문화에 대한 미국 페미니즘의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식민지 시기 자살에 대한 사회적 책임론의 형성: 사회관에 따른 자살론 분석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박연희_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연구교수. 동국대학교에서 <한국 현대시의 형성과 자유주의 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로 해방 후 한국문학과 냉전문화사를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공저), 《다시 보는 한하운의 삶과 문학》(공저), 《비평현장과 인문학 편성의 풍경들》(공저), 《할리우드 프리즘》(공저), 《미국과 아시아》(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박인환의 미국 서부 기행과 아메리카니즘>, <김수영의 전통 인식과 자유주의 재론>, <1970년대 『창작과비평』과 민중시 담론>, <『청맥』의 제3세계적 시각과 김수영의 민족문학론> 등이 있다.

김혜인_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동국대학교에서 한국문학을 전공하고 있으며, 주로 자서전·수기 등을 대상으로 자기 서사의 문화정치학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 《월경의
기록》(공저), 《근대 한국의 문학지리학》(공저)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망명의 기록, 난민의 시간>, <기억의 변방, 증언(testimony)으로서의 글쓰기>, <난민의 세기, 상상된 아시아> 등이 있다.


목차


간행사
서문 자기 서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

제1부 동아시아의 유령들, 시대의 알레고리
헤게모니의 역사와 자전적 욕망

제국의 딸로서 죽는다는 것: 식민지 시기 재조선 일본인의 일기 _ 이헬렌
‘강요’된 체제와 개인
식민사회 프로젝트, 제국의 딸과 미시 서사
아사노의 죽음과 건모健母 운동
텍스트의 분열과 독서의 다중성

혁명을 팔아넘긴 남자: 유폐되는 혁명과 음모 서사의 틈입 _ 김항
그 남자의 귀환
상황과 국면: 일본공산당의 노선투쟁
혁명의 유폐와 현실의 차단: ‘이토 리츠’라는 알레고리
혁명의 소극과 음모의 서사
20세기의 보편주의와 혁명정치의 종언

체제의 시간과 저자의 시간: 서준식의 옥중기와 자기 서사의 정치학 _ 임유경
수인의 시간
최초의 비전향수 출옥과 《서준식 옥중서한》
감옥獄과 언어言, 글쓰기라는 장치
자기로의 생성 변화, ‘비전향장기수-재일조선인’
앎과 권력, 전향서와 옥중기

제2부 문화 냉전, 국가 서사의 히스테리
집단 언어와 난반사하는 서사들

집단 언어와 실어증: 중국 문인들의 한국전쟁 참전 일기 _ 조영추
21세기 공론장과 ‘항미원조’ 전쟁 담론
전시戰時 생활을 통한 자기 개조와 내부 균열
실어증과 이국 형상에 대한 시각 언어
현장의 언어와 동어반복적 세계의 균열

정체, 인민 그리고 베트남이라는 사건: 베트남 전쟁을 쓰기 _ 김예림
베트남(전쟁)의 시간과 전쟁기록의 수행성
정체政體를 사유하기: 민주주의라는 문제
인민을 보기: 리얼리티와 역능
교환되는 것과 공통의 것

‘우정’이라는 심리전: 1960년대 한국의 펜팔 운동과 문화 냉전 _ 정승화
1960년대 한국, 편지 쓰기라는 취미의 등장
문화적 냉전과 펜팔이라는 탈/정치적 국가기획
한국의 펜팔 운동과 공보公報 활동
펜팔 편지 쓰기와 자아의 확장
우정이 환기시키는 평등에의 환상

제3부 자서전의 시대, 공적 자아의 탄생
문화 공간과 자기 서사의 대중화

시인들의 문학적 자기 서사: 《자작시 해설집》 총서(1958~1960)를 중심으로 _ 박연희
1950~60년대 문학적 자기 서사의 맥락
‘회고’의 정치학
‘해설’의 역설
문학적 자기 서사의 재검토를 위하여

자서전의 시대, 구성되는 정체성: 1970년대 자서전 붐의 문화적 토양 _ 김성연
근대인의 자서전, 언어로 구성되는 정체성
출판 미디어와 자서전의 공모 관계
자서전 집필 주체의 대두: 공인과 여성
사적인 삶의 사회적 귀속

자본의 세기, 비즈니스 자서전: 1970년대 〈재계 회고〉와 기업가적 자아의 주체성 _ 김혜인
비즈니스 자서전
경영하는 인간, 자기 계발의 문법
1970년대, 회고하는 재계와 ‘현대 한국 경제사’ 구축의 기획
기업가적 자아 구성의 정치학
20세기 자본의 자서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