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대중 문화의 패러다임

대중 문화의 패러다임

  • 원용진
  • |
  • 한나래
  • |
  • 2014-09-25 출간
  • |
  • 587페이지
  • |
  • 174 X 227 X 30 mm /927g
  • |
  • ISBN 9788955661033
판매가

24,000원

즉시할인가

24,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문화 연구의 길라잡이
대중 문화를 무엇이라고 간단히 정의 내리는 것은 쉽지 않다. 대중 문화란 고급 취향 문화의 반대편에 서있는 문화인가, 아니면 대량의 문화 상품인가, 아니면 지배 계급의 의도와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담겨 있는 것인가. 분석하는 관점이 여러 방향에서 가능하다는 것은 그만큼 대중 문화가 무수히 많은 면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대중 문화 안에는 여성의 삶, 남성의 삶, 노동자로서의 삶, 동성애자로서의 삶, 서울의 삶, 지역의 삶 등 다양한 삶이 얽혀 있다. 그래서 무수히 많은 모순과 갈등이 서로 싸우기도 하고 화해하기도 한다. 이렇게 복잡하고 다단한 대중 문화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려는 시도는 때론 무모하고, 무의미하게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미래를 향해 나아가려는 사람에게 여태까지의 삶과 현재의 삶을 되돌아보고 과연 이제까지의 삶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어떤 방향성을 갖고 있었는지 살펴보는 일이 꼭 필요한 일이듯, 대중 문화를 향유하는 우리에게도 복잡한 이론과 용어를 거쳐 대중 문화를 좀 더 면밀히 파악하고 연구하는 일은 꼭 필요하다.
이 책은 그동안 연구된 여러 대중 문화 이론을 좀 더 알기 쉽게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대중 문화 논의는 다양한 흐름, 이론, 방법이 여러 형태로 연결되고 도움을 주고받고 있으므로 그들 간의 흐름, 수용, 이탈을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책은 대중 문화를 설명하는 여러 이론들의 지형을 그려주고 있는데, 대중 사회론, 구조주의, 문화주의 문화 연구,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후기 구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등 대중 문화를 대하는 다양한 시각들을 장별로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이론적 논의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이론을 우리나라 대중 문화 현실 속에서 찾은 예와 결부시켜 설명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1장 대중 문화에 대한 ‘진실’
대중 문화에 대해 ‘정의’를 비롯해 바라보는 여러 시각에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리하여 이 책에서 살펴볼 대중 문화의 특성과 대중 문화를 파악하는 여러 가지 입장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2장 왜 대중 문화를 논의하는가
소비 문화의 대명사였던 대중 문화가 학문의 대상으로 자리잡게 된 이유, 대중 문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논의가 증대한 이유를 관련된 몇 가지 현상을 들어 소개한다.

3장 대중 사회론이 바라본 대중 문화
대중 사회론은 전통 사회에서 산업 사회로 바뀌면서 사회의 연대, 규범, 도덕, 생활, 일상, 태도 등에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를 추적하는 작업이다. 대중 사회론의 하위 범주인 자유주의적 입장, 대중/엘리트론, 문화와 문명론 (혹은 아널디즘Arnoldism), 전체주의론을 소개하고 있다.

4장 마르크스주의 문화론
이 책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문화론은 마르크스주의 문화론과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거나 연관을 맺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비판의 태도로 그를 대하고 있다. 이 장에서는 왜 많은 문화론들이 마르크스주의 문화론에 대해 그 같은 비판점을 도출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마르크스주의 문화론의 윤곽을 그려본다. ‘정통 마르크스주의 문화론’과 마르크스주의를 수정하려 하는 ‘서구 마르크스주의 문화론’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5장 문화주의 대중 문화론
다른 대부분의 문화론과 달리 밑으로부터의 문화에 관심을 갖는 문화주의를 소개한다. 문화주의는 피지배 계급이 지닌 문화가 다른 문화와 어떤 긴장 관계를 유지해 왔는지, 그것이 지배 문화인 고급 문화와 경쟁하면서 어떻게 변해 왔는지, 그리고 어떤 사회적 효과를 내는지 등에 대해 설명한다.

6장 구조주의 문화론
구조주의는 숨어 있으면서 현상을 가능케 하는 심층 구조를 설명한다는 목적을 갖는다. 구조주의 문화론을 논하는 이 장에서는 대표적 구조주의자인 소쉬르, 레비스트로스, 바르트, 알튀세르가 편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7장 페미니즘과 대중 문화
페미니즘을 급진주의 페미니즘, 자유주의 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그리고 사회주의 페미니즘으로 크게 나누어 설명한다. 여성 억압의 원인을 무엇으로 보는가와 그 해결책을 분류의 기준으로 삼는다. 페미니즘 내부에서도 다양한 의견과 차이가 발생하고 있지만 이들이 공유하는 공통점을 찾아 같은 묶음으로 분류하고 그 지형을 보여주고자 한다.

8장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후기 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론을 소개한다. 이들은 학문적 계통상 공유하고 있는 부분이 많다. 후기 구조주의는 지금까지의(모더니즘적)서구 철학 혹은 인식론에 대한 도전을 의미하고, 포스트모더니즘은 그러한 도전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문화 예술 사조, 문화 양식을 가리킨다.

보론_포스트콜로니얼리즘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은 ‘식민 통치라는 억압의 역사가 남긴 유산을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다. 아직 식민주의 잔재가 남아 있음을 드러내 보여 주고, 그것을 극복할 실천을 제안하려 노력하는 포스트콜로니얼리즘에 대해 소개한다.

9장 문화연구
대중 문화를 분석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다시 정리하고 기존 문화론이 얼마나 유용했던가를 살펴본다. 앞서 논의된 다양한 대중 문화론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면서 각 문화 연구의 핵심 주장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중 문화를 어떻게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을지를 살펴본다.

“원용진의 새로 쓴 대중 문화의 패러다임은 한국 대중 문화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꾼 책이다. 세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 이 책은 "이론은 학술의 영역이고 현실은 저널리즘의 영역"이라는 기존 이론?현실 분리주의를 배격한다. 둘째, 이 책은 대중 문화만을 다루는 파편화된 전문주의를 지양하고 거시적?총체적인 정치 사회적 맥락에 주목한다. 셋째, 이 책은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을 동시에 거부하면서 한국의 주체적 관점을 살리는 ‘대중 문화 연구의 한국화’를 구현한다.”
-강준만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대중 문화와 대중 문화론에 대한 일반적 오해는 그것이 우리의 일상을 이루고 있고 그런 일상적 현상을 다룬다는 이유만으로 ‘별로 어렵지 않을 것이다’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마르크스주의, 구조주의 , 포스트모더니즘 따위의 묵직한 명제와 부딪히면서 생각의 반전을 겪는다. 그러나 이 책은 또 하나의 반전을 선사한다. 바로 위의 그 묵직한 명제들에게 주눅 들지 않게 해주는 길잡이가 된다. 책의 순서대로 따라가다 보면 문화 연구의 성과들이 머릿속에 편하게 자리 잡는다. 반전의 반전이니 매우 유쾌한 역반전이다.”
-손석희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정보학과

“일반 대중과 통하는 이론적 실천, 사회 변환을 위한 문화적 운동에 오래 몸담아 온 저자가 시대의 흐름에 맞춰 새롭게 쓴 대중 문화론을 내놓았다. 이 책에서 우리는 신자유주의와 교전하는 데 필요한 비판적 사유, 미디어/문화를 전유하는 데 유용한 이론들과 흥미롭게 조우하게 될 것이다.”
-전규찬 한국예술종합학교 방송과

“문화 연구는 입문하기가 어려운 학문 중 하나다. 언어학, 철학, 사회학, 정치학, 인류학, 여성학 등에 관한 융합적 지식을 바탕으로 논의가 전개되기 때문에 문화 연구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보다는 단편적인 지식을 섭렵하는 과정을 되풀이하기가 쉽다. 새로 쓴 대중 문화의 패러다임은 문화 연구에 입문하는 학생들에게 이런 오류에서 벗어나 체계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길라잡이가 되어 주는 ‘인식의 지도’와 같은 책이라고 할 수 잇다. 문화 연구를 학문적으로 조망하고 싶은 모든 이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조흡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목차


머리말

1. 대중 문화에 대한 ‘진실’
2. 왜 대중 문화를 논의하는가
3. 대중 사회론이 바라본 대중 문화
4. 마르크스주의 문화론
5. 문화주의 대중 문화론
6. 구조주의 문화론
7. 페미니즘과 대중 문화
8.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보론_포스트콜로니얼리즘
9. 문화 연구

참고문헌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