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브리핑은 내가 ‘앵커’이게 한 코너다. 30년 이상을 앵커석에 앉았지만, 앵커브리핑을 위해 뉴스 스튜디오의 비디오월 앞에 서는 순간부터 나는 진정한 앵커가 될 수 있었다. 이 세상 어느 앵커가 자신의 생각을 자신의 언어로 그렇게 말할 수 있겠는가. 그것은 제작진과의 교감, 시청자와의 공감 속에서만 가능한 일이었다. 이후 다른 방송에서도 비슷한 코너를 만들어냈다지만 앵커브리핑이 갖는 의미는 한국 방송사에서 각별하다고 생각한다.”
- <책머리에> 중에서
뉴스의 지평을 인문으로 확장한 저널리즘의 신기원.
지난 2014년 9월 22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 뉴스 속에서 대본이 아니라 앵커만의 목소리를 고스란히 들려줌으로써 한국 방송사에서 전무후무한 새로운 저널리즘을 탄생시켰던 ‘앵커브리핑’. 종합 뉴스의 한 코너였지만 수많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분노, 그리고 성찰의 기회를 제공했던 ‘앵커브리핑’ 950편 중 특별히 더 큰 울림을 줬던 284편이 앵커 손석희의 새로운 코멘트와 주석, 그리고 이미지들을 덧붙여 두 권의 책으로 재탄생했다. 앵커 손석희가 ‘칼날 위에 선 것 같은 시간들’을 견뎌내고 담아낸 이 역사적인 기록들은 뉴스로서의 냉철함을 잃지 않으면서도 인간에 대한 온기로 가득하다. 그렇게 때문에 <손석희의 앵커브리핑>은 이웃들의 참사를 속절없이 지켜봐야 했던 집단적 트라우마나 국민의 손으로 뽑은 권력자를 다시 국민의 손으로 끌어내려야 했던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우리 모두가 지금 다시 돌아봐야 할 소중한 기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