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동남아시아 도시들의 진화

동남아시아 도시들의 진화

  • 한광야
  • |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
  • 2022-02-28 출간
  • |
  • 624페이지
  • |
  • 152 X 225 mm
  • |
  • ISBN 9791155505021
판매가

38,000원

즉시할인가

34,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문제의식과 저술 목표

도시를 ‘변화하는 대상’으로 가정해 그 모습을 추적하고 이해하는 건 흥미로운 작업이다. 도시는 한 시대상황과 사회구조 안에서 단일한 방향으로 성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오랜 기간 동안 충돌하는 사회가치와 지배구조의 영향을 받으며 진화한다. 이 책은 인간 문명이 만들어낸 가장 종합적인 물리적 결과물이라는 도시를 동남아시아의 보다 광범한 지역 범위와 연속된 환경 속에서 고찰해낸 결과물이다.
지금까지 동남아시아 도시 연구들은 주로 단일한 사회ㆍ경제적 조건 아래서 분석 결과를 도출하곤 했다. 따라서 다양한 지리ㆍ사회ㆍ경제적 변수들의 병존으로 완성되는 현대 도시의 실존상 해명과 미래 도시설계를 위한 정책 구상 차원에서는 그 활용도가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저자는 여러 해 동안 동남아시아의 주요 도시들을 다각적으로 탐사해왔다. 도시 디자인 차원에서 건축ㆍ조경ㆍ환경 분야에 주목하되, 각 도시들이 품은 문화적 가치와 정체성을 함께 해명해보고자 했다. 이 책의 각 장마다 동남아시아 도시들의 형성 배경에서 출발해, 유럽 세력의 식민통치와 도시 개조 그리고 거대도시로의 확장과 광역도시 인프라 확충 등에 관한 폭넓은 문헌 연구가 전제되어 있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현지답사와 인터뷰, 고지도와 근현대 지도의 시간차 중첩 분석 그리고 다양한 사진 아카이빙을 통해 공간의 현장감을 그대로 전달하려는 시도들도 이 책의 돋보이는 장점이다.
책을 세상에 내놓으며 저자는 이렇게 강조한다. 동남아시아의 도시들은 이미 주변과 함께 성장(또는 쇠퇴)하고 진화하고 있는 생명력 넘치는 활동체라고.

동남아시아의 도시들과
문화 다양성

이 책은 동남아시아의 도시들이 어떻게 내륙 토착 세력의 오래된 행정 거점에서 현대 다핵도시로 변모해왔는가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동남아시아 대표 도시 열두 곳을 선정했다. 토착 세력의 통치 거점과 하천의 항구로 형성된 운하 중심의 원도심(原都心), 중국인과 인도인의 이주에 따른 교역 거점과 대항해시대 유럽과 아메리카 세력들이 건설한 철도ㆍ트램ㆍ도로 중심의 구도심(舊都心),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구 유입과 광역교통체계라는 대규모 개발 거점 중심의 신도심(新都心)으로 구분한 뒤, 각 단계의 성장과 변화 형태 그리고 그 중첩된 결과물들을 비교ㆍ분석해나갔다. 이는 문헌 고찰, 지도 분석, 현장 답사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된 후 종합적으로 달성된 결과이기도 하다.
또한 이 책은 동남아시아 도시들의 진화 과정을 ‘문화적 다양성을 담아내는 다핵도시로의 변화’로 설정해, 각 도시들이 지니고 있는 문화 다양성의 역할에 주목했다. 요컨대 동남아시아의 도시들은 토착 세력, 이주 세력, 식민교역 세력, 식민행정 세력, 외국자본 간의 인종ㆍ종교ㆍ문화의 접촉과 확산 그리고 충돌과 혼합을 그 도시의 문화적 다양성으로 수렴해왔다. 이 과정에서 각 지역권의 입지 특성은 도시의 형성과 성장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도시 중심부는 각 세력이 기대하고 요구하는 기능과 프로그램으로 채워지고 재정의되면서 변화해갔다. 예컨대 인력의 이동과 물자의 운송을 유도하는 하천과 운하, 철도와 트램, 모노레일과 지하철 그리고 최근의 고속철도ㆍ공항철도ㆍ순환도로 등의 교통운송체계는 거대 광역권을 가진 다핵도시로의 성장을 이해하는 의미 있는 변수였다.


동남아시아의 세 권역

____제1부 ‘링난과 난하이, 기회의 땅과 바다’
동남아시아에 큰 변화를 유도한, 중국대륙으로부터 한족(漢族)의 남하와 기회의 땅으로 알려진 난하이(Nan Hai, 南海)로의 이주 그리고 이를 통한 동남아시아의 지리적 시작점을 정의하며, 그 범위를 결정해온 광저우, 하노이, 홍콩, 쿠알라룸푸르를 소개한다.
중국 남부 링난(Lingnan, 嶺南)문화권의 역사적 중심부이자 대륙 진입을 위한 주강삼각주(Pearl River Delta, 珠江三角洲)의 중심항구이며 초거대 공업도시로 성장해온 광저우, 베트남 세력의 역사적 중심부인 홍강삼각주(Hong River Delta, 紅江三角洲)의 행정 거점으로 형성되어 중국과 프랑스 세력의 육상 및 철도교역으로 성장해온 하노이, 영국 세력의 빅토리아 항구(Victoria Harbour)로 형성되어 지속적인 간척사업을 통해 공장ㆍ신도시ㆍ금융 거점을 확장해온 홍콩, 슬랑오르(Selangor)분지의 주석광산 개발과 함께 상업 거점으로 성장해온 말레이 세력의 중심부인 쿠알라룸푸르가 그 주인공이다.

____제2부 ‘쿠로시오의 마조여신과 교역상인’
적도와 북극을 연결하는 거대한 쿠로시오해류의 흐름을 타고 남중국해와 타이완해협을 따라 이동해온 중국 상인의 교역활동 그리고 대발견의 시대(Age of Discovery, 15~17세기 중반)에 서유럽 세력들의 교역 거점과 식민행정 거점으로 형성된 대표적 도시들인 자카르타, 마닐라, 타이베이, 나가사키를 소개한다.
자바섬 서쪽 내륙 순다 세력의 행정 거점인 보고르(Bogor)와 연계된 순다해협과 자카르타만의 항구로서 네덜란드 세력의 교역과 생산 거점으로 성장했으며 이후 인도네시아의 수도로 치리웅강(Ci Liwung)을 중심으로 대규모 확장을 지속해온 자카르타, 역사적으로 루손섬의 토착 톤도 세력의 지배ㆍ중국인 교역 커뮤니티의 성장ㆍ스페인과 미국의 식민지배를 통과해 이후 광역도시로 성장해온 마닐라, 중국 본토 푸젠성(福建省) 중국인의 이주 거점으로 형성되어 일본 지배기를 겪었고, 담수이강(Tamsui River)의 내항과 외항이 함께 성장해온 타이베이, 쿠로시오해류의 종점 항구로서 포르투갈과 네덜란드 세력과의 접촉을 통해 일본의 근대화를 이끌었던 나가사키가 그 주인공이다.

____제3부 ‘몬순바닷길과 대륙철도선’
동남아시아 도시들의 중심 교역로를 결정해온 말라카해협과 이를 중심으로 해운과 육상운송체계를 갖추고 대표적인 다핵도시로 성장해온 방콕, 말라카, 호치민시, 싱가포르를 소개한다.
타이반도의 역사도시인 아유타야(Ayutthaya)의 외항으로 형성되어 이후 차오프라야강삼각주(Chao Phraya River Delta)의 중심항구이자 철도 거점 그리고 태국의 수도로서 성장해온 방콕, 말라카해협 중심부이자 말라유 세력의 거점으로서 포르투갈ㆍ네덜란드ㆍ영국의 교역 거점으로 성장했으며, 말레이시아정부가 주도하는 항구 개발로 현대 항구도시로 다시 부상 중인 말라카, 인도차이나반도의 관문인 메콩강삼각주(Mekong River Delta)에 중국인이 주도한 쌀 생산의 거점항구이자 철도와 연결된 프랑스 해상교역의 중심부로 성장했던 호치민시, 말라카해협과 남중국해를 연결하는 싱가포르해협의 중심항구로서 산업신도시와 해안 간척을 통해 도시 중심부를 확장하며 성장해온 도시국가 싱가포르가 그 주인공이다.


목차


프롤로그
동남아시아의 도시들

서론
동남아 도시와 다양성|동남아 도시의 여섯 가지 주제

〈제1부 링난과 난하이, 기회의 땅과 바다〉

제1장 광저우
링난의 판위와 선불교의 유에시우|네 개의 도성, 서원, 운하-항구|광동체제, 시관, 13행구역, 사미안|주강삼각주의 철도선과 외곽순환도로, 하이주, 티안허

제2장 하노이
홍강삼각주와 당나라의 라타인|리-쩐-레 왕조의 탕롱과 올드쿼트|프렌치쿼터, 박람회, 철도체계|사회주의 도시구조와 광역권 도시 확장

제3장 홍콩
남송의 이주와 진주 생산|코우룬과 빅토리아시티의 병영, 부두, 마을|산가이 신도시와 센트럴-침사추이 간척

제4장 쿠알라룸푸르
말레이반도와 클랑분지|암팡의 주석광산과 중국인 시장|퍼레이드그라운드, 행정시설, 철도선|골든트라이앵글과 링도로-메트로

〈제2부 쿠로시오의 마조여신과 교역상인〉

제5장 자카르타
순다해협, 자카르타만, 순다클라파항구|바타비아, 치뎅-칠리웅운하, 칼리브사르, 시청광장|모렌브리엣, 바타비아 철도선, 벨테브레덴-멘텡 가든시티|크바요란바루, 탄제랑-사우스탄제랑, 수도의 이전

제6장 마닐라
파시그강과 톤도만달라|스페인 인트라뮤로스와 엑스트라뮤로스, 파리안, 비논도, 퀴아포, 산니콜라스|빅마닐라와 에르미타, 그린힐즈, 마카티, 파사이

제7장 타이베이
타이베이분지와 담수이강|망가, 타투디아, 부성, 베이토우|타이호쿠, 시멘딩, 치퉁-용강|군인마을과 동부 타이베이

제8장 나가사키
히젠의 교역항구와 우라카미 어촌|도쿠가와막부의 봉행소, 신사, 데지마, 도진야시키|나가사키 해군훈련소와 미쓰비시제철조선소

〈제3부 몬순바닷길과 대륙철도선〉

제9장 방콕
차오프라야삼각주와 톤부리|랏방콕운하, 라타나코신 링운하, 삼판타웅|철도-트램선의 거점, 차로엔크룽도로, 오리엔탈부두, 실롬|모노레일-메트로와 랏차테위, 파툼완, 수쿰빗

제10장 말라카
라웃족과 몬순교역로|말라카술탄왕조의 요새, 해상법, 해군병영|포르투갈-네덜란드의 요새, 시청광장, 페라나칸하우스|문화유산 보전과 신개발, 말라카강 수변, 플라우말라카

제11장 호치민시
메콩강삼각주와 프레이노코르|자딘요새와 조론|가톨릭 도시블록, 항구와 철도|수변 재생과 도시 확장

제12장 싱가포르
인도-중국의 교역로와 스리위자야항구|싱가푸라의 부킷라랑안과 롱야멘|커머셜스퀘어, 보트부두, 아웃람, 브리티쉬 싱가포르|주롱과 슴바왕 산업신도시와 마리나베이의 해안 간척

에필로그
주ㆍ참고문헌ㆍ찾아보기
총서 ‘知의회랑’을 기획하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