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삶, 도대체 무엇이 잘못된 걸까?
가족은 때론 짐이자 지옥이고, 직장에서는 적당히 일하고 월급만 받아가며, 각종 비리와 불법을 저지르는 리더와 고위층 인사들의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는 요즘 세태를 두고 저자는 지금이야말로 ‘오래된 지혜’가 필요한 때라고 말한다. 옛 세대 즉, 초등학교 3학년 중퇴자 아버지의 세대는 전쟁을 겪고 무너진 국가를 재건하기 위해 안과 밖으로 힘써온 위대한 세대였다. 그들은 자녀들을 올바른 인성을 갖춘 사람으로 자라게 하기 위해 교육했고, 직업의 낮고 높음에 연연하지 않고 자기 일에 자부심을 갖고 맡은 바 최선을 다했으며, 기꺼이 타인을 돕고, 보살피는 등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했다. 반면 요즘 세대들은 보이는 것에만 집중한 나머지 자신을 그럴 듯하게 포장하고, 최선을 다하기보다는 적당히에서 멈추는 삶의 태도가 뿌리 깊게 박혀 있다. 보여주기식 삶의 이점은 쉽고 편안하다는 점이다. 이런 행태가 만연한 가정, 직장, 사회에서는 올바른 태도, 높은 생산성, 합리적 리더가 나올 수 없다.
인생 최고의 멘토는 멀리 있지 않다
‘라떼는 말이야’, ‘꼰대’ 같은 말이 널리 쓰이는 요즘 ‘오래된 지혜’를 언급하는 것이 시대착오적으로 들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인생에는 변하지 않는 진리가 존재하고, 기본을 지키는 것에서부터 삶은 시작된다. 그렇다면 이 오래된 지혜를 전수해줄 사람은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우리는 흔히 지혜는 세계적인 그루, 위대한 현인에게서만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멀리서 찾을 필요가 없다. 나보다 앞선 세대를 살아온 사람, 인생 최고의 멘토인 부모님에게서도 얼마든지 배울 수 있다. 그들 세대를 한번 찬찬히 되돌아보자. 주말 오후 아이들에게 텔레비전을 보는 것보다 이웃집 페이트칠을 도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새벽 5시에 시작하는 식당일을 위해 몇십 년간 매일같이 한 시간 일찍 출근을 하고, 위험에 빠진 어떤 가족을 돕기 위해 떠나는 봉사자에게 대가 없이 자신의 카드를 건넬 줄 아는 사람이 바로 우리 부모님 세대였다. 그들은 이것들을 몸소 실천했고, 아이들에게 가르쳤으며, 주변 사람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선사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릭 릭스비의 아버지, 초등학교 3학년밖에 나오지 못한 한 남자가 아들에게 전한 인생의 교훈이자 지혜였다.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어떻게 하면 인생을 잘 살 수 있을까?’에 대한 해답은 단순하고 명쾌하다. 거대한 담론이나 이론을 찾을 필요도 없다. 바로 부모님 세대가 물려준 교훈을 이해하고 삶에서 실천하기만 하면 된다. 첫째, 친절한 행동에는 힘이 있다. 친절은 베풀수록 나에게 돌아오게 되어 있다. 둘째, 한 시간 일찍 서둘러라. 1분 늦는 것보다 한 시간 일찍 서두르는 게 낮다. 이런 말도 있지 않는가. ‘다른 사람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남기는 확실한 방법은 그 사람의 시간을 낭비하게 만드는 것이다.’ 셋째, 항상 누군가를 도울 수 있는 위치에 서라. 다른 사람을 돕는 일은 특별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봉사라는 고귀한 소명을 늘 가슴에 품고 이를 실천하면 절로 특별한 사람이 된다. 넷째, 일을 하려거든 제대로 해라. 어떤 일을 할 때 최선을 다하지 않을 거면 시작조차 하지 마라. 최선이 아닌 차선을 선택하는 일은 자기 자신에게 비겁한 일이다. 다섯째, 인품을 갈고 닦아라. 어둠 속에서 하는 행동이 곧 그 사람의 인품이라는 말이 있다. 매일의 선택이 쌓여 인품이 되므로 누가 보든, 보지 않든 한결같은 태도로 임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포기하지 말고 버텨라. 어떤 시련과 고난이 와도 ‘그저 버티는’ 사람은 결국 다시 일어서는 법을 발견하게 된다.
초등학교 3학년 중퇴자 아버지가 아들에게 전한 인생의 교훈은 지금까지 우리가 간과했던 기본 중에 기본 태도일 수 있다. 기본을 지키지 않고 나아간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당신은 기본을 지키는 사람인가, 기본을 무시하는 사람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