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신생 2021.봄

신생 2021.봄

  • 전망편집부
  • |
  • 전망
  • |
  • 2021-03-01 출간
  • |
  • 325페이지
  • |
  • 152 X 221 mm /417g
  • |
  • ISBN 9771739707003
판매가

12,000원

즉시할인가

10,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0,8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오래된 신생]
최창규 | 마을을 잇다 텃밭공동체 도시농부 이진욱

선생의 농장과의 인연은 우연히 시작됐다. 퇴직하고 2003년 칠보산도토리교실에 와서 활동하면서이다. 도토리교실은 황구지천 논밭 한가운데 있는 농가주택이다. 1950년대 지어진 이곳에서 환경체험교육장 또는 마을 주민들의 소모임 활동이 이어지는 마을 소공방으로 쓰이는 곳이다. 입춘대길 건양다경 입춘첩이 붙은 나무대문을 열고 들어가면 네모난 마당 한쪽에 수돗가가 있고 대청마루 끝에는 제비집이 늘 있었다. 집 뒤쪽 안으로 돌아가면 교육공간으로 쓰던 교실과 거기에 있던 무쇠 난로, 그리고 나무들 쌓여있던 목재창고도 떠오른다. 그 곳에서 솟대 깎는 모습, 염색 수업 하던 모습, 막걸리 빚기, 흙피리굽기, 목판화수업, 미술사 강의 듣던 것 모두가 추억속의 한 장면이다. 도토리교실은 생태환경을 위한 학습공간이자 마을의 여러 사람들이 교류하는 소모임 작은 공방이었다.
이 선생은 2004년도부터 이곳 도토리교실과 인연을 맺은 후 남효창 박사가 설립한 숲연구소에서 생태아카데미 과정을 수료하였다. 숲 생태와 숲 교육으로 이뤄져서 매주 목요일은 이론수업을 하고 주말에는 모여 전국으로 생태 답사를 했다. 토요일마다 만나서 국내 곳곳을 다니며 나무, 야생화, 토양, 생태놀이 등을 배우고 교육 시연과 발표도 하며 1년 동안 뜻깊은 시간을 지냈다.

[기획특집] 이상기후와 재난의 문학
근대 인식론의 질문인 “인간은 어떻게 자연을 파악할 수 있는가?”와, 존재론의 질문 “인간은 어떻게 자연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가?”와, 논리학의 질문 “인간의 논증구조는 어떻게 자연을 설명하는가?”라는 인문학의 구도는 바로 자연과 생명으로부터 인간을 떼어놓고 생각하고 도구화하기 시작한 발상의 기초가 되었다. 그러나 인간의 활동은 모두 자연과 생명에 연결되어 있다. 인간이 자연과 생명에 대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과 생명을 대상화하고 도구화하는 것은 곧바로 거대한 둘레환경인 기후현상의 변화를 초래하는 원인이 될 수밖에 없다. 시시각각 다가오는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근대의 성립과 태동의 근원이 되었던 인문학 자체를 재구성하는 작업이 요구될 수밖에 없다.

신승철 | 기상과 인문학
이비체 | 끝에서야 비로소 시작되는 질문
전해수 | 위기의 지구, 환경의 변화와 재난 시(詩)

[특집시]
김미령 : 그들끼리 외 9편

시를 이루는 활자들이 밀어올리는 의미가 그 공간 위에 선다. 한 편의 시가 하나의 장면이 된다. 시인이 자신의 시를 장면으로 기술하는 것은 우리에게 자신의 시가 사진과 같은 역할을 하길 바란다는 것처럼 보인다. 시인은 시를 쓰며 스스로를 타자화시키고, 우리는 그 안에 든 시인의 파편을 읽으며 정동을 부딪치고, 시인과 ‘우리’가 될 수 있다. 시는 ‘시인의-존재-했음’이다. 독자들은 시인의 자취를 읽으며 감응하고, 각자의 의미를 가지고 시집을 덮는다. 사진이 감상되는 사람의 주관 속에서 의미화되듯, 시 역시 독자의 의식 속에서 고유한 무언가가 된다. 그것이 시가 일으킬 수 있는 푼크툼이자, 김미령 시인이 자신의 시를 장면으로 기술한 이유일 것이다.
-「작품론」 중에서


목차


[신생(2021년 봄호) 목차]

이번 호를 내면서

오래된 신생
최창규 마을을 잇다 텃밭공동체 도시농부 이진욱

신작시
신경림 눈 오는 날
정희성 삶 외 1편
최문자 어제의 숲에서 중얼거렸다 외 1편
최휘웅 청음請音 외 1편
김정수 참 따스한 풍경 외 1편 57
김수우 如如 적막 외 1편
김명옥 프리솔로 등반 외 1편
박남희 갈대가 붓을 들어 외 1편
박분필 겨울 숲 외 1편
김일태 상상임신 외 1편
서연정 봄 오는 까닭 외 1편
김미희 민들레씨 외 1편
김병호 기습의 예외 외 1편
양아정 하수구 외 1편
정연홍 용산을 추억함 외 1편
박승민 만이천오백칠십팔일 외 1편
이미숙 벌레의 방 외 1편
권상진 생일 축하합니다 외 1편
권영하 리셋 외 1편
정희안 이팝나무 장례식 외 1편

특집시
김미령 그들끼리 외 9편
E-mail 대담
정익진 대리석 조각 속에 숨은 여인과 무채색의 혁명성
작품론
김동진 문장의 사진술

기획특집 이상기후와 재난의 문학
신승철 기상과 인문학
이비체 끝에서야 비로소 시작되는 질문
전해수위기의 지구, 환경의 변화와 재난 시(詩)

혁명과 시인 20
이선이 한용운, 선(禪)과 혁명과 글쓰기의 삼위일체

나의 시 나의 시론
김언 그 겨울에서 겨울까지 짧은 기록 메모 몇 개

문학관으로 가는 길에서 시를 읽다
하상일 ‘대지(大地)’의 상상력과 ‘금강(錦江)’의 정신을 노래한 아나키스트
-신동엽과 부여 그리고 〈신동엽문학관〉

현대시와 24시품 20
황선열 현실을 벗어난 영혼이 닿는 곳
-초예超詣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