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에너지시장 신재생에너지 산업실태와 전망 (학술도서)

에너지시장 신재생에너지 산업실태와 전망 (학술도서) MARKET REPORT 2014-05

  • 데이코산업연구소
  • |
  • 데이코
  • |
  • 2014-03-07 출간
  • |
  • 358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85037202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00,000원

즉시할인가

270,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0,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에너지산업과 발전 산업 관련 정책동향과 전략 19
1. 기후변화대응과 에너지부문 중장기전략 19
1-1. 개요 19
1-2. 주요 부문별 내용 20
1) 중장기 기후변화?에너지 정책 수립의 의의 20
2) 기후변화?에너지 미래 트렌드 21
(1) (기후) 기온상승 가속화와 극한기상 일상화?대형화 21
(2) (에너지) 에너지 수급구조?연관산업 재편과 분산형
전력공급체계 확산 23
3) 평가와 시사점 27
4) 중장기 정책방향 28
(1) 기본방향 28
2. 셰일가스, 천연가스 대응과 수급동향과 전략 37
2-1. 개요 37
2-2. 주요내용 39
1)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 개요 39
(1) 법적 근거 39
(2) 주요 내용 39
(3) 추진 경위 39
(4) 기본 방향 39
2) 천연가스 수요 추이 및 전망 40
(1) 천연가스 수요 추이 40
(2) 천연가스 수요 전망 41
3) 분야별 계획 43
(1) 도입계획 43
(2) 공급설비 건설 및 투자계획 44
(3) 도시가스 미공급지역 보급 계획 47
(4) 수급관리 계획 48
2-3. 주요 셰일가스와 비전통에너지 자원 현황 52
1) 셰일가스의 부활 52
2) 오일샌드의 부상 53
3) 국내의 비전통에너지 자원 54
4) 주요국의 비전통에너지 개발 사례 56
(1) 셰일가스 56
(2) 오일샌드 58
3. ICT기반 에너지 수요관리 신시장 창출방안 59
3-1. 배경 59
3-2. ICT기반 수요관리 현황과 문제점 60
3-3. ICT를 활용한 새로운 수요관리정책 패러다임 62
1) 에너지정책 패러다임을 전환 62
2) ICT와 과학기술 활용, 근본적이고 시스템적인 수요관리 전환 62
3) 수요관리자원 시장을 창출하여 새로운 서비스 산업과 일자리 63
3-4. 추진전략 64
3-5. 세부 추진과제 65
1) 에너지저장장치 (ESS) 65
(1) 신재생에너지 연계형 ESS 도입 65
(2) 발전사업자 주파수 추종용 ESS 도입 66
(3) 전력다소비 수용가 ESS 설치 67
(4) ESS 활용촉진을 위한 시간대별 차등요금 개선 67
(5) 비상전원으로 ESS 활용 촉진 68
2) 에너지관리시스템 (EMS) 68
(1) 대규모 건물?공장에 EMS 설치 확대 유인 68
(2) EMS 기반 수요관리 서비스 기업 육성 69
(3) EMS 제작?공급 기반 강화 70
3) ICT활용 고효율기기 71
(1) LED조명 보급 71
(2) 스마트플러그 보급·확산 72
(3) 지역 및 가스냉방 보급 확대 73
4) 한전의 효율향상 투자 확대 74
5) 수요관리자원 시장 활성화 75
(1) 수요관리 사업 기반을 정부재정에서 전력거래시장 75
(2) 에너지효율(Energy Efficiency) 시장 도입 77
3-6. 기대효과 77
3-7. 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수립 83
1) 개요 83
2) 주요 내용 83
(1) 수요전망과 에너지믹스 구성 83
(2) 2차 계획의 6대 중점과제 84
(3) 의미와 향후 추진계획 87
4. 국내외 발전 산업 동향과 6차전력수급계획 89
4-1. 6차 전력 수급 기본계획 89
1) 개요 89
2) 전력수급 기본계획 주요 내용 90
(1) 개요 90
(2) 제 6차 전력수급계획 기본방향 90
(3) 제6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세부내용 93
4-2. 국내외 발전시장 동향과 전망 109
1) 해외 발전시장 동향과 전망 109
2) 국내 발전시장 동향 127
5.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전략 134
5-1.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추진계획 134
1) 개요 134
2) 그간의 성과와 평가 135
5-2. 추진계획 세부내용 139
1) 추진전략 139
2) 추진방안 140
3) 추진체계 141
4) 선정기준 142
5) 제도개선 사항 143
5-3. 재원조달방안 143
1) 사업비 추산 143
2) 재원 조달 144
5-4. 제주실증단지 구축사업의 성과 및 평가 146
1) 사업 개요 146
2) 사업 성과 146
(1) 기술검증 146
(2) 사업모델 발굴 146
3) 종합평가 148
4) 향후 추진방향 148
(1) 기술수준 확보 148
(2) 사업모델 적용 149

Ⅱ.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시장 동향과 전망 153
1.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동향 153
1-1. 신·재생에너지 개요 153
1) 개요 153
2) 분야별 신·재생에너지 현황 154
(1) 태양광 154
(2) 태양열 157
(3) 풍력 159
(4) 바이오에너지 161
(5) 폐기물에너지 162
(6) 석탄가스화·액화 163
(7) 지열 165
(8) 수력 166
(9) 해양에너지 167
1-2. 2012년 신재생에너지 보급현황 169
1) 종합 현황 169
(1) 2012년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급비중 169
(2) 전년대비 변동량 170
(3) 1차에너지 대비 연도별 증가추이 171
(4) 연도별 공급량추이 171
(5) 20012년 지역별 공급현황 172
(6) 2012년 신재생에너지 원별 발전량 비중(발전부문) 172
(7) 전년대비 변동량(발전부문) 173
(8) 총발전량 대비 연도별 증가추이(발전부문) 173
(9) 연도별 발전량추이 174
(10) 2012년 지역별 발전현황 174
2)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현황 175
3) 2012년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현황 182
4) 발전원별 신재생에너지 현황 194
(1) 태양에너지 194
(2) 바이오에너지 198
(3) 풍력(단위 : kW) 207
(4) 수력(단위 : kW) 209
(5) 연료전지(단위 : kW) 211
(6) 폐기물 213
(7) 지열(단위 : kW) 219
(8) 해양에너지 221
2. 신재생에너지산업 관련 정책동향과 육성전략 223
2-1. 2013년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실행계획 223
1) 계획의 개요 223
(1) 2012년 정책평가와 과제 223
(2) 2013년 목표와 정책방향 227
2) 2013년 주요 추진과제 228
(1) 제 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수립 228
(2) 안정적인 보급사업 체제개편방안 시행 229
(3) 안정적인 보급기반 구축 237
(4) 수출산업화 촉진 245
2-2.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방안 수립 249
1) 개요 249
2) 그간의 추진경과와 과제 253
(1) 추진경과 253
(2) 과제 254
3) 주요 추진과제 255
(1)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 제도 개선 256
(2) 신재생 공급 신규 의무화제도 도입 및 적용 확대 261
4) 기대효과 265
5) 과제별 세부 추진계획 266
3. 신재생에너지산업 최근동향과 표준화 전략 267
3-1. 표준화전략과 동향 267
1) 개요 267
2) 신?재생에너지 표준화 전략 주요 내용 267
(1) 신?재생에너지 표준제도 선진화 267
(2) 표준활동 강화 268
(3) 수요자 중심의 인증서비스 제공 269
3) 2020 신?재생에너지 전략기술 표준개발 과제 리스트 269
4) 신?재생에너지 국제표준 제안 현황 및 계획 270
(1) 신?재생에너지 국제표준 진행 과제 270
(2) 신?재생에너지 국제표준 신규제안 과제 270
5) 태양광 분야 10대 품목별 CBTL 추가 지정 계획 271
6) IECRE 인증시스템 개요 271
3-2. 주택용 태양광 발전설비 대여 시범사업 272
1) 개요 272
2) 태양광 대여사업과 기존사업과의 비교 273
3) 태양광 대여사업 해외사례 274
4) 태양광 대여 시범사업 경제성 분석 274

Ⅲ. 부록 - 전력통계 279
1. 국내 발전 산업 주요 통계 279
1-1. 발전전력 279
1-2. 발전 연료 304
1-3. 발전 설비 314
1-4. 송배전 설비 322
1-5. 전력용 정보통신 설비 329
1-6. 전력 구입, 판매 실적 331
1-7. 주요지표 국제 비교 336
2. 2014년도 신재생에너지보급사업(주택/건물) 참여 선정기업 338
2-1. 태양광분야(155개사) 338
2-2. 태양열분야(39개사) 349
2-3. 지열분야(76개사) 352
2-4. 연료전지분야(10개사) 357
2-5. 기타분야(8개사) 35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