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광조 평전 (양장)

조광조 평전 (양장)

  • 신병주
  • |
  • 한겨레출판사
  • |
  • 2021-01-25 출간
  • |
  • 264페이지
  • |
  • 152 X 217 X 29 mm /546g
  • |
  • ISBN 9791160404548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최고의 조선시대 전문가, 〈역사저널 그날〉의 신병주 교수가 들려주는
시대를 앞서나간 개혁가 조광조 이야기

조광조(1482~1519)는 조선시대, 나아가 한국 역사 전체에서 손꼽히는 개혁가다. 조광조는 가슴에 성리학적 이상을 품고 성리학을 조선 사회에 정착시키는 데 인생을 바쳤으나, 그의 이상은 당대 조선 사회가 용납할 수 없는 ‘불온’한 꿈이었다. 조광조의 이상은 결국 시대의 한계에 부딪혀 좌절됐지만, 역사는 그를 시대를 앞서나간 개혁가로 기억한다. 〈역사저널 그날〉로 대중에게도 널리 알려진 최고의 조선시대 전문가, 신병주 건국대학교 교수는 이 책에서 조광조의 삶과 사상을 통해 그의 성공과 실패가 주는 역사적 의미를 짚는다.

조광조가 태어난 15세기 후반은 ‘사화(士禍)의 시대’였다. 성종 대 후반부터 서서히 중앙 정계에 등장한 사림파는 조선 건국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기득권 세력인 훈구파를 견제했지만, 이러한 시도는 훈구파의 강한 반발에 부딪혀 좌절됐고 오히려 사림파가 대거 숙청되는 사건인 사화가 발생했다. 특히 연산군은 무자비한 독재 정치를 일삼으며 무오사화와 갑자사화를 일으켰다. 자신에게 조금이라도 거슬리는 말을 하면 죽은 사람까지 부관참시할 정도로 가혹했던 연산군의 폭정은 큰 반발을 불러왔고, 마침내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물러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즉위한 중종은 성리학적 질서의 회복이라는 시대적 소명을 자각하고 있었다. ‘사화의 시대’에 성장한 조광조 또한 성리학 이념으로 완전 무장한 채 왕의 부름을 기다리고 있었다.

중종의 마음을 사로잡은 조광조,
성리학적 이상을 꿈꾸며 비상하다

조광조는 무오사화로 유배 길에 올랐던 사림파의 핵심 인물, 김굉필을 스승으로 삼아 학문을 갈고닦았다. 학문에 전념하던 그는 29세인 1510년(중종 5년) 과거 초시에 응시해 장원으로 합격하고, 34세가 된 1515년(중종 10년)에는 알성시에서 2등으로 급제한다. “성실하게 도를 밝히고[明道] 항상 삼가는 태도[謹獨]를 나라를 다스리는 마음의 요체로 삼을 것”이라는 조광조의 대책문은 중종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조광조는 성균관 전적에 발탁됐다.

3개월 후, 조광조가 언관직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사간원 정언에 임명됐을 때 폐비 신씨의 복위를 둘러싼 논쟁이 벌어진다. 중종의 왕비였던 단경왕후는 연산군의 처남인 신수근의 딸이라는 이유로 중종반정 일주일 만에 폐위되어 쫓겨났는데, 10여 년이 흐른 시점에서 순창군수 김정과 담양부사 박상이 폐비 신씨를 복위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린 것이다. 그러나 훈구파 대신들이 조정을 장악한 상태에서 이런 주장이 받아들여질 리 없었다. 오히려 상소를 올린 두 사람이 유배 길에 올랐다. 이때, 언관직에 제수된 지 불과 이틀밖에 되지 않았던 조광조는 김정과 박상을 유배 길에 오르게 만든 대간들의 전원 파직을 주장하는 상소를 올렸다. 몇 달에 걸친 논쟁 끝에 대간들이 전원 교체됐고, 조광조는 화제의 인물로 떠올랐다.

이렇듯 화려하게 중앙 정계에 등장한 조광조는 본격적으로 성리학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개혁정치에 나섰다. 군주가 도덕적으로 완벽해야만 제대로 된 민본정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경연을 활성화했고, 도교의 제천 행사를 주관하던 관청인 소격서 혁파에 나섰다. 『소학』과 향약을 보급해 조선 사회 곳곳에 두루 성리학적 질서를 확립하려 했고, 지방 사회를 중심으로 은거한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일종의 천거 제도인 현량과를 실시했다.

개혁의 정점은 정국공신 개정이었다. 중종반정에 공을 세웠다는 이유로 정국공신에 책봉된 사람 가운데는 공이 없는데도 인맥으로 공신이 된 인물이 많았다. 조광조는 ‘공신을 중히 여기면 공을 탐내고 이(利)를 탐내어 임금을 죽이고 나라를 빼앗는 일이 다 여기서 말미암으니, 임금이 나라를 잘 다스려지게 하려면 먼저 이의 근원을 막아야 한다’면서 정국공신으로 책봉된 사람 중 공이 없는 이들의 훈작을 빼앗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종은 자신의 정통성과도 연관된 정국공신 개정에 반대했지만, 조광조를 비롯한 신하들의 뜻에 밀려 마침내 정국공신 120명 가운데 무려 2/3에 달하는 76명을 공신에서 삭제하기로 했다. 그렇게 조광조의 개혁정치는 승리한 것처럼 보였다.

중종의 변심과 훈구파의 반격
조광조, 개혁의 정점에서 추락하다

하지만 중종이 정국공신 개정을 선언한 지 불과 4일 뒤인 11월 15일, 상황이 반전됐다. 중종은 갑작스레 조광조 세력을 전격적으로 체포했다. 붕당을 만들어 자기 세력을 형성하고, 자기와 뜻이 다른 자는 배척하며, 자기들만 요직을 차지했다는 명목이었다. 영의정 정광필을 비롯한 대신들, 성균관 유생들이 적극적으로 구명 운동을 펼치며 조광조의 죽음만은 어떻게든 막아보려 했지만, 중종은 조광조의 세력이 너무 커지는 데 위협을 느끼고 있었다. 중종은 그렇게 한때 최고의 파트너였던 조광조에게 사약을 내려 그를 제거했다. 조선시대 4대 사화 중 하나로 꼽히는 기묘사화가 발생한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정국공신 개정, 현량과 실시 등 조광조가 추진했던 정책을 번복하며 개혁의 흔적을 지우는 일도 진행됐다. 기묘사화 이후, 조광조 일파가 널리 보급했던 성리학 이념서 『소학』과 『근사록』이 잘 읽히지 않을 정도로 기묘사화의 정치적ㆍ사상적 파급 효과와 후유증은 컸다.

하지만 역사는 조광조를 실패한 개혁가로만 놔두지 않았다. 조광조가 추구했던 개혁정치를 인정하고, 계승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계속 나타났다. 홍문관 부제학 송세형, 성균관 유생 신백령 등 수많은 사람이 조광조의 복권을 요청했고, 마침내 조광조가 사망한 지 26년 만인 1545년(인종 1년)에 인종의 유언으로 조광조는 복권됐다. 광해군 대에는 김굉필, 정여창, 이언적, 이황과 함께 문묘에 종사되면서 조선 최고의 유학자 반열에 올랐다. “지금 성리학이 있는 것을 알게 된 것은 광조의 힘인 것이다”라던 이이, “조광조의 부음을 듣고 사로(仕路, 벼슬길)의 험난함을 알았다”라며 낙향했던 조식 등 사림파의 영수들 또한 조광조를 자신들의 정신적 뿌리로 숭상했다.

성리학 이념의 ‘확신범’,
조광조의 개혁이 오늘날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

역사의 승리자로 남은 조광조가 정작 당대에는 패배한 이유가 뭘까?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시대의 한계다. 조광조는 왕이 성리학 이념 위에 군림할 때 연산군의 폭정 같은 일이 벌어진다고 생각했고, 이를 막기 위해 경연 등을 통해 끊임없이 왕을 견제하려 했다. 성리학이라는 견제 장치를 통해 군주 독재를 막아야 한다고 생각했던 그는 성리학 이념의 ‘확신범’이었다. 중종이 한때 그토록 총애했던 조광조를 제거한 것은 단순한 변덕이 아니라 왕권과 신권의 갈등이라는 구도 속에서 벌어진 일이었다. 사림파와 갈등하던 훈구파도 중종에게 힘을 보태면서 조광조의 개혁정치는 실패로 돌아갔다.

조광조가 살았던 시대는 사화(士禍)의 시대, 보수와 개혁 사이의 진통이 따르는 시대였다. 성리학 이념으로 무장한 조광조는 성리학의 이상과 원칙에 충실한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조광조의 개혁은 당대에 받아들여질 수 없을 만큼 급진적이고 과격했으며, 이에 반발하는 보수 세력이 결집함으로써 결국 조광조는 미완의 개혁가로 남았다. ‘개혁’이 화두로 떠오른 요즈음, 조광조의 개혁정치와 그 실패 원인이 보여주는 역사적 교훈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이유다.


목차


발간의 글|‘한겨레역사인물평전’을 기획하며-정출헌ㆍ5
들어가는 말|조광조의 개혁이 오늘날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ㆍ9

1장 사화(士禍)의 시대에 태어나다
1. 무오사화, 훈구파와 사림파의 첫 충돌 17
2. 갑자사화, 폐비 윤씨의 죽음과 그 후폭풍 25
3. 연산군의 폭정과 중종반정 35

2장 역사 속에 등장하다
1. 평생의 스승, 김굉필과의 만남 45
2. 중종의 마음을 사로잡다 60

3장 성리학적 개혁을 꿈꾸며 비상하다
1. 경연, 왕을 철인(哲人)으로 만들기 91
2. 소격서 혁파, 왕도정치의 첫걸음 102
3. 『소학』과 향약 보급, 성리학적 질서의 확립 111
4. 현량과 실시, 개혁의 후원군을 얻다 116

4장 기묘사화, 개혁의 정점에서 추락하다
1. 개혁의 완성, 정국공신 개정 127
2. 11월 15일 밤, 중종의 역습 135
3. 조광조를 둘러싼 공방 140
4. 중종의 진심 144
5. 뜨거웠던 감자, 현량과의 폐지 157
6. 조광조, 개혁가의 최후 163

5장 조선 최고의 유학자로 기억되다
1. 중종, 조광조를 끝까지 부정하다 169
2. 인종, 조광조를 복권시키다 177
3. 선조 대, 유생들의 문묘 종사 청원 180
4. 광해군 대, 문묘에 종사되다 184
5. 사림파의 영수들, 조광조를 기억하다 187
6. 정조, 조광조를 존숭(尊崇)하다 190

6장 성리학적 이상을 함께 꿈꾼 사람들
1. 기록으로 부활한 기묘사림 195
2. 기묘팔현, 조광조와 함께한 사람들 201

7장 조광조를 기억하는 서원들
1. 심곡서원,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에서 살아남다 218
2. 죽수서원, 육신이 죽은 곳에서 부활한 정신 221
3. 도봉서원, 당쟁의 중심에 서다 223

맺음말 | 중종과 조광조의 ‘위험한 동거’ 231
주석 238
주요 저술 및 참고문헌 244
이미지 출처 246
연보 248
『연려실기술』에 기록된 현량과 합격자 28인 251
찾아보기 26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