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설봉유고 5 (양장)

설봉유고 5 (양장)

  • 강백년
  • |
  • 문진
  • |
  • 2020-12-30 출간
  • |
  • 518페이지
  • |
  • 152 X 225 mm
  • |
  • ISBN 9791187638650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9,70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강백년(姜栢年, 1603?1681)은 17세기의 인물이다. 그의 문집 《설봉유고》에 대해서는 이전의 해제 내용이 상세하다. 최근 몇 년 사이에는 강백년의 문학에 대한 학계의 관심도 높아져 그의 삶과 시세계가 연구되고, 청백리로서의 삶도 조명되었다. 강백년 개인을 넘어 가문의 학문 정신과 가깝게 교유했던 인물들의 작품세계도 자세하게 다루어졌다.
《설봉유고》는 전체 30권 8책으로 구성되었다. 책의 간행 배경을 알 수 있는 서문(序文)이나 발문(跋文)이 없기 때문에 이 책의 간행 시기는 고증하기 어렵다. 책의 앞부분에 목록이 있지만 그 내용 역시 개별 작품의 제목은 기록하지 않고 각 권의 별칭(別稱)과 문체만을 나열하였다. 권1부터 21까지는 모두 시(詩)이고, 권22부터 29까지는 문(文), 권30은 부록이다. 각 권의 문체와 작품 수를 정리하면, 권1_한계록(閑溪錄)_시79제, 권2_환성록(歡城錄)_시88제, 권3_해서록(海西錄)_시27제?오주록(吳州錄)_시20제, 권4_관동록(關東錄)_시71제, 권5_정관록(靜觀錄)_시61제, 권6_임영록(臨瀛錄)_시44제, 권7_한계후록(閑溪後錄)_시57제, 권8_응청록(凝淸錄)_시152제, 권9_정관후록(靜觀後錄)_시36제, 권10_금영록(錦營錄)_시63제, 권11_수성록(愁城錄)_시127제, 권12_관영록(關營錄)_시56제, 권13_낙동록(駱東錄)_시101제, 권14_연경록(燕京錄)?해영록(海營錄) 51제?15제, 권15_여강록(驪江錄)_시60제, 권16~21_성남록(城南錄)_시494제, 권22_교명문(敎命文)1?책문(冊文)3?표전(表箋)10?조고제(詔誥制)3?유교서(諭敎書)7?비답(批答)5?상량문(上樑文)4?권선문(勸善文)1?부(賦)4_총38편, 권23_서(序)9?발(跋)1?설(說)7?기(記)5?논(論)1?잠(箴)1?명(銘)1?전(傳)1_총26편, 권24_제문(祭文)23?책제(策題)5_총28편, 권25_소(疏) 30편, 권26_차(箚)3?계사(啓辭)1_총4편, 권27_묘갈명(墓碣銘) 19편, 권28_묘지명(墓誌銘) 6편, 29권_묘표(墓表)2?신도비명(神道碑銘)2?시장(諡狀)1_총5편, 권30_부록이다.
권21까지의 시는 창작 시기에 따라 수록되었다. 각 권의 별칭은 강백년이 거주했던 지역, 또는 지방관을 지냈던 지역과 관계된 경우가 보인다. 권2의 환성(歡城)은 충남 천안, 권6의 임영(臨瀛)은 강원도 강릉, 권15의 여강(驪江)은 경기도 여주이다. 권14의 연경록은 강백년이 청나라에 다녀올 때 지은 시를 모은 것이다. 경기도 파주(坡州)로 가면서 지은 시를 시작으로 연행 도중의 감회와 여정의 어려움을 읊거나 당시 정사(正使) 정치화(鄭致和), 서장관(書狀官) 권격(權格)의 시를 차운한 작품 등이 보인다. “옥하관에 머문 사흘, 10년을 보낸 듯하네.[三日玉河館, 已如經十年.]”라는 내용에서 사신으로서의 부담감과 이역에서의 괴로움이 느껴진다. 권16 이후의 성남록에는 만시(挽詩)가 대부분의 분량을 차지한다. 강백년의 시 가운데 38%가 만시라는 통계가 있을 정도로 《설봉유고》에는 만시가 많은데, 특히 성남록에 집중되었고, 친분이 강할수록 장편화 경향을 보인다. 강백년과 함께 소북팔문장으로 지칭되는 박수현(朴守玄)과 신유(申濡)의 어머니에 대한 만사도 수록되었다.
권22에는 세자 시절 숙종(肅宗)의 관례 때 지은 교명문과 왕세자빈 김씨를 맞아들일 때 지은 책문, 인선왕후(仁宣王后)와 현종(顯宗)의 시책문(諡冊文) 등 왕실에 관련된 글들이 다수 수록되었다. 국가적으로 중요한 이러한 글을 강백년이 지었다는 것은 그의 문장이 당시에 인정받았음을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권23은 태계(台溪) 하진(河?)과 후천(朽賤) 황종해(黃宗海)의 문집 서문을 비롯하여 여러 문체의 글을 수록하였다. 강백년은 《장자(莊子)》의 영향을 받은 인물로 언급되는데 소요유(逍遙遊)를 분석한 〈소요유설(逍遙遊說)〉은 그의 《장자》에 대한 이해를 보여주는 글이다.
권24은 대부분 제문(祭文)이다. 치제문(致祭文)도 다수 수록되었는데 그 대상 인물은 신경진(申景?), 심열(沈悅), 이목(李?), 심연(沈演), 이후원(李厚源), 유정량(柳廷亮), 여이재(呂爾載), 이만(李曼), 정효준(鄭孝俊) 등이다.
권25의 소장 30편은 대부분 사직소(辭職疏)이다. 사직의 이유로는 여타 사직소에서도 자주 소재로 등장하는 신병(身病)과 연로한 부모님을 들었다. 첫 번째 소장인 〈부교리 때에 숙직하며 올린 소장[副校理時在直廬疏]〉를 올리면서는 〈생을 기르고 마음을 기르는 법은 같은 법이라는 잠[養生養心同一法箴]〉을 함께 바쳤다. 1672년에 올린 〈대사간을 사직하며 소회를 진달한 소장[辭大司諫仍陳所懷疏]〉에서는 칠정(七情) 가운데 특히 분노[怒]가 다스리기 어렵다는 점을 전제하고 숙종이 음성과 안색에 노여움을 표출하여 화평(和平)이 부족하다는 점을 과감하게 지적하였다.
권27에는 강복성(康復誠), 조직(趙稷) 등의 묘갈명이, 권28에는 정효준(鄭孝俊), 여이량(呂爾亮) 등의 묘지명이, 권29에는 김탁(金琢), 맹세형(孟世衡)의 묘표(墓表)와 배흥립(裵興立), 정효준(鄭孝俊)의 신도비명, 윤경(尹絅)의 시장이 수록되었다.
권30 부록(附錄)에는 임상원(任相元)이 지은 강백년의 행장(行狀)과 묘갈명(墓碣銘)이 수록되어 강백년의 생애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교서(敎書)는 강백년이 충청?강원?황해?경기 감사에 임명될 때 내린 것이다.


목차


일러두기


설봉유고 제19권
시詩
성남록城南錄
정 허후를 천장할 때의 만사 許正 厚 遷葬挽
장령 정적 만사 鄭掌令 ? 挽
임지로 가는 예산 현감 서한주를 전송하다 送徐禮山 漢柱 之任
해성군 김여수 만사 海城君金 汝水 挽
동지 윤정지 만사 尹同知 挺之 挽
삼가 백헌 상국의 시를 차운하여 상순 상인에게 주다
敬次白軒相國韻 贈尙淳上人
해주 목사 이숙달 만사 李海州 叔達 挽
병사 황도창 만사 黃兵使 道昌 挽
봉사 김득중 만사 金奉事 得重 挽
화순 현감 조종면의 어머니 만사 趙和順 宗冕 母夫人挽
관서의 막부로 부임하는 도사 이옥을 전송하다 병서
送李都事 沃 赴關西幕 幷序
병사 유정 만사 兪兵使 ? 挽
도사 박수성 만사 朴都事 壽聖 挽
찰방 유영후 만사 柳察訪 榮厚 挽
참판 신유의 어머니 만사 申參判 濡 大夫人挽
안동 부사로 부임하는 이규령을 전송하다 送李安東 奎齡 之任
안동 부사 김우석의 어머니 만사 金安東 禹錫 大夫人挽
판서 오정일 만사 吳判書 挺一 挽
좌윤 엄정구 만사 嚴左尹 鼎? 挽
참의 정기풍 만사 鄭參議 基? 挽
복녕군 만사 福寧君挽
신단 만사 辛生 湍 挽
광주 부윤 심지명의 어머니 만사 沈廣州 之溟 母夫人挽
임피 현령 임질의 어머니 만사 任臨陂 ? 母夫人挽
해막으로 부임하는 생질 조이병을 전송하다 送趙姪爾炳赴海幕
황해도 관찰사 맹주서 영감에게 주다 贈海伯孟令 胄瑞
감찰 민심 만사 閔監察 ? 挽
판서 조복양 만사 趙判書 復陽 挽
용주와 동주의 시를 차운하여 이구의 시축에 쓰다
次龍洲東州韻 題李生 絿 詩軸
남추강의 옛 터에 이구가 집을 짓고 지은 시를 차운하다
次南秋江舊基李生 絿 卜居韻
박태현의 시에 차운하다 次朴太玄韻
긍구당에 쓰다 題肯構堂
판서 김좌명 만사 金判書 佐明 挽
참판 이만의 부인 만사 李參判 曼 夫人挽
재상 홍중보 만사 洪相 重普 挽
헌상과 동명의 시에 차운하여 청오의 시축에 짓다
次軒相東溟韻 題淸晤詩軸
박태현의 시에 차운하다 次朴太玄韻
참군 정수선 만사 鄭參軍 壽先 挽
좌윤 이지온 만사 李左尹 之? 挽
흥해 군수로 부임하는 권열을 전송하다 送權興海 悅 之任
서윤 이징후 만사 李庶尹 徵厚 挽
판서 권대운의 대부인 만사 權判書 大運 大夫人挽
직강 윤세임 만사 尹直講 世任 挽
참판 이정기 만사 李參判 廷夔 挽
영광 군수 심구 만사 沈靈光 玖 挽
순천 현감 조상한 만사 趙順天 相漢 挽
판관 윤주 만사 尹判官 湊 挽
양근 군수 민여흠의 아내 만사 閔楊根 汝欽 室內挽
집의 곽지흠의 아내 만사 郭執義 之欽 室內挽
직장 송회길 만사 宋直長 誨吉 挽
진잠 현감 정후준 만사 鄭鎭岑 後俊 挽
전부 심광사 만사 沈典簿 光泗 挽
첨지 김종필 만사 金僉知 宗泌 挽
교관 이정립 만사 李敎官 廷立 挽
집에 흰 오리 한 쌍이 있는데 수컷이 살쾡이한테 죽었다. 암컷만
남아 슬피 울기에 느낌이 있어 짓다
家有一雙白鴨 而雄死於? 雌獨留悲啼 有感題之
강촌 즉사 江村卽事
자형 이진철 공 만사 ?兄李公 震哲 挽
상국 이경석 만사 李相國 景奭 挽
청도 군수 유비 만사 兪淸道 ? 挽
판서 박장원 만사 朴判書 長遠 挽
철원 부사 홍흥지 만사 洪鐵原 興祉 挽
승지 박일성 만사 朴承旨 日省 挽
우연히 읊다 偶吟
회양 부사로 부임하는 참의 윤비경을 전송하다
送尹參議 飛卿 之任淮陽
참판 홍처량 대감의 시에 맞춰 짓다 次洪參判 處亮 台韻
여주 목사 이명전 만사 李驪州 明傳 挽
정랑 이후징 만사 李正郞 厚徵 挽
종성 부사 이관징의 부인 만사 李鍾城 觀徵 夫人挽
첨지 오빈의 부인 만사 吳僉知 ? 夫人挽
풍기 군수 어상준 만사 魚?基 尙儁 挽
장령 정적 만사 鄭掌令 ? 挽
파주 목사 이보 만사 李坡州 ? 挽
유경길 만사 柳生 敬吉 挽
생질 조이병에게 주다 贈趙姪爾炳
첨지 안시성 만사 安僉知 時聖 挽
박태현의 시를 차운하다 次朴太玄韻


설봉유고 제20권
시詩
성남록城南錄
우정래의 운에 맞춰 짓다 次禹生 鼎來 韻
지헌 이우정이 북막의 막료로 나가는 것을 전송하다
送李持憲 宇鼎 出佐北幕
무주 부사로 부임하는 유헌을 전송하며 送兪茂朱 櫶 之任
생질 조이병의 운에 맞춰 짓다 次趙姪爾炳韻
경성으로 부임하는 판관 박신규를 전송하다
送朴判官 信圭 之任鏡城
안주로 부임하는 판관 이수경을 전송하며
送李判官 壽慶 之任安州
참봉 박천귀 만사 朴參奉 天龜 挽
정중하 만사 鄭生 重夏 挽
안경중 만사 安生 敬重 挽
남추강이 조대에 지은 시에 맞춰 짓다 병서
次南秋江題釣臺韻 竝序
청안 현감 이진의 운에 맞춰 짓다 次李淸安 ? 韻
밀양 부사 이규진 만사 李密陽 奎鎭 挽
교관 윤집 만사 尹敎官 ? 挽
김봉래 만사 金生 鳳來 挽
감사 이만영 만사 李監司 晩榮 挽
정자 최반 만사 崔正字 ? 挽
정랑 남몽성 만사 南正郞 夢星 挽
영안위 홍주원 공 만사 永安尉洪公 柱元 挽
참봉 이태만 만사 李參奉 泰晩 挽
접위하러 가는 직강 조사석을 전송하다 送趙直講 師錫 接慰之行
동지 홍헌 만사 洪同知 憲 挽
판서 민유중의 부인 만사 閔判書 維重 夫人挽
동지 김엽 만사 金同知 曄 挽
한방 만사 韓生 枋 挽
참판 이연년 만사 李參判 延年 挽
성시망 만사 成生 時望 挽
금림군 만사 錦林君挽
상사 이일기 만사 李上舍 一耆 挽
연안 현감 이숙달의 아내 만사 李延安 叔達 內挽
마전 군수 김천석 만사 金麻田 天錫 挽
토산 현감 이경항 만사 李?山 景沆 挽
홍주 목사 이섬 만사 李洪州 暹 挽
조유징 만사 趙生 有徵 挽
밤에 읊조리다 夜吟
도사 이진 만사 李都事 ? 挽
우연히 읊조리다 偶吟
원주 목사 송시철 만사 宋原州 時喆 挽
장령 여경 만사 선대격 呂掌令 儆 挽 扇對格
현종대왕 만사 顯宗大王挽
지성연 만사 池生 性淵 挽
사간 홍여하 만사 洪司諫 汝河 挽
참판 조수익 만사 趙參判 壽益 挽
풍기 군수 김계광 만사 金?基 啓光 挽
족형 판교 오소 만사 族兄吳判校 ? 挽
이윤적 만사 李生 允迪 挽
오만 만사 吳生 晩 挽
양양 부사 정세보 만사 鄭襄陽 世輔 挽
도사 이선경 만사 李都事 先慶 挽
판관 유이태 만사 柳判官 以泰 挽
영천 군수 이효영 만사 李永川 孝永 挽
진사 조성한 만사 趙進士 成漢 挽
응교 조위봉 만사 趙應敎 威鳳 挽
좌랑 이면의 〈상의원계병방회도〉에 쓰다
題李佐郞 ? 尙方契屛榜會圖
임피 현감으로 부임하는 윤원을 전송하다
送別尹臨陂 源 之任
유수 이후산 만사 李留守 後山 挽
병사 성익 만사 成兵使 ? 挽
참의 이동직 만사 李參議 東稷 挽
참의 이하 만사 李參議 夏 挽
우연히 읊다 偶吟
이산 현감 남항 만사 南尼山 ? 挽
동지 최 □□ 만사 崔同知 □□ 挽
청풍부원군 김우명 공 만사 淸風府院君金公 佑明 挽
이영철 만사 李生 英哲 挽
첨지 이시욱 만사 李僉知 時煜 挽
참판 권우 만사 權參判 ? 挽
동지 김정현 만사 金同知 鼎鉉 挽
우연히 읊다 偶吟
김지석 만사 金生 志奭 挽
고성 군수로 부임하는 이입중을 전송하다 送李高城 立中 之任
재종 동지 강학로 만사 再從姜同知 鶴老 挽
진산 군수 송씨 만사 宋珍山挽
진사 박욱 만사 朴進士 ? 挽
박희 만사 朴生 ? 挽
지돈녕부사 이구원 만사 李敦寧 久源 挽
늦은 봄의 즉흥시 暮春卽事
우연히 읊다 偶吟
정동명의 시구를 열람하고 느낌이 있어서 짓다
覽鄭東溟詩句 感而有作
권대준 만사 權生 大準 挽
임천 군수 임질 만사 任林川 ? 挽
부안 현감으로 부임하는 이항을 전송하다 送李扶安 沆 之任
지사 홍처대 만사 洪知事 處大 挽
종성 부사로 부임하는 강여호를 전송하다
送別姜鍾城 汝? 之任
강릉 부사로 부임하는 이익상을 전송하다 送李江陵 翊相 之任
목수 석생이 이웃집에 가서 일을 하다가……가엾은 생각이 없지
못하여 생각나는 대로 쓰다
梓人石生 往隣家役……不能無矜惻 隨意以書之
영천 군수로 부임하는 이만봉을 전송하다 送李永川 萬封 之任
종성 부사 강계숙에게 주어 이별하다 贈別鍾城?姜啓叔
회양 부사로 부임하는 김우형을 전송하다 送金淮陽 宇亨 之任
단양 군수 이익배 만사 李丹陽 益培 挽
동래 부사로 부임하는 이복을 전송하다 送李東萊 馥 之任
관동으로 안찰하러 나가는 감사 정륜을 전송하다
送鄭監司 ? 出按關東
백향산의 일칠령 고체를 사용하여 생질 이일주에게 부치다
用白香山一七令古體 寄李姪一舟
변무 서장관 정 이서우를 전송하다 送辨誣書狀李正 瑞雨
영남의 막료로 부임하는 도사 엄집을 전송하다
送嚴都事 緝 之嶺南幕
변무 부사 참판 정석 백야를 전송하다 送辨誣副使鄭參判 晳 白也
신계 현감 강홍익의 아내 만사 姜新溪 弘益 內挽
참봉 윤대형 만사 尹參奉 大亨 挽
홍집 만사 洪生 鏶 挽
호서를 안찰하러 가는 감사 이명익을 전송하다
送李監司 溟翼 出按湖西
전주 판관 박신을 전송하다 送全州朴判官 紳
승지 김옥현 만사 金承旨 玉鉉 挽
영남을 안찰하러 나가는 감사 김덕원을 전송하다
送金監司 德遠 出按嶺南
연경으로 가는 좌참찬 오정위를 전송하다 送吳三宰 廷緯 赴燕
대사성 장응일 만사 張大司成 應一 挽
성 병사 □ 만사 成兵使 □ 挽
판교 이지형 만사 李判校 之馨 挽
김이곤 만사 金生 以坤 挽
헌납 이수경의 모부인 만사 李獻納 壽慶 母夫人挽
은진 현감으로 부임하는 임당을 전송하다 送任恩津 堂 之任
해서에 안찰하러 가는 감사 정창도를 전송하다
送丁監司 昌燾 出按海西
감역 황락 만사 黃監役 洛 挽
승지 박일성의 부인 만사 朴承旨 日省 夫人挽
동지 강열 만사 姜同知 悅 挽
비안 현감 이민도의 아내 만사 李比安 敏道 內挽
안산 군수 윤송 만사 尹安山 松 挽
김태경 만사 金生 泰慶 挽
연경으로 가는 서장관 박순을 전송하다 送朴書狀 純 赴燕
정 이장영 만사 李正 長英 挽
동지 이첨 만사 李同知 詹 挽
천안 현감 이치 만사 李天安 緻 挽
정 민중로 만사 閔正 重魯 挽
감역 이기선 만사 李監役 耆善 挽
김이상의 아내 만사 金生 履祥 內挽
도사 박태소 만사 朴都事 太素 挽
함평 현감으로 부임하는 오시복을 송별하다 送吳咸平 始復 之任
동명의 〈망모재〉운에 맞춰 짓다 병서 次東溟望慕齋韻 幷序


설봉유고 제21권
시詩
성남록城南錄
낙중 기로회 병서 洛中耆老會 幷序
판관 우경석 만사 禹判官 敬錫 挽
강련에게 농담으로 주다 ?贈姜鍊
집의 최유지 만사 崔執義 攸之 挽
참의 이한 만사 李參議 ? 挽
좌랑 박규 만사 朴佐郞 ? 挽
참판 정두경 만사 鄭參判 斗卿 挽
오 지평의 아들 만사 吳持平子挽
부제학 이민적 만사 李副提學 敏迪 挽
영릉 천장 만사 寧陵遷葬挽
좌랑 최영세 만사 崔佐郞 永世 挽
경식 만사 慶生 寔 挽
이처인 만사 李生 處仁 挽
진사 김문도 만사 金進士 文道 挽
사예 이극태 만사 李司藝 克泰 挽
찰방 이이형 만사 李察訪 以馨 挽
감사 홍처후 만사 洪監司 處厚 挽
명선공주 만사 明善公主挽
참판 임유후 만사 任參判 有後 挽
사의 박원개 만사 朴司議 元開 挽
동지 원사철 만사 元同知 思哲 挽
도사 배유화 만사 裵都事 幼華 挽
복창군의 부인 만사 福昌君夫人挽
영의정 정태화 만사 鄭領相 太和 挽
준원전으로 부임하는 참봉 권위를 전송하다 送權參奉 偉 之任濬源
수원 부사 성후설 만사 成水原 後卨 挽
은산 현감으로 부임하는 유명현을 전송하다. 送柳殷山 命賢 之任
장령 박순의 모부인 만사 朴掌令 純 母夫人挽
산음 현감 박정룡 만사 朴山陰 廷龍 挽
문신 삭시사 시관 때 우연히 읊다 文臣朔試射試官時偶吟
직장 송근 만사 宋直長 根 挽
토산 현감 임가재 만사 林?山 可材 挽
사예 박수현 만사 朴司藝 守玄 挽
신상증 만사 申生 尙曾 挽
인천도호부사 남득붕의 아내 만사 南仁川 得朋 室內挽
인선왕후 만사 仁宣王后挽
사어 홍석 만사 洪司禦 錫 挽
전부 성후주 만사 成典簿 後周 挽
첨정 한기 만사 韓僉正 ? 挽
승지 채충원 부인 만사 蔡承旨 忠元 夫人挽
현풍 현감 최주 만사 崔玄風 宙 挽
해주 목사 홍석귀 만사 洪海州 錫龜 挽
참의 나만섭 만사 羅參議 萬葉 挽
회덕 현감 반윤기 만사 潘懷德 潤沂 挽
참의 강수학 만사 康參議 邃學 挽
판관 송석복 만사 宋判官 錫福 挽
첨지 박유준 만사 朴僉知 惟儁 挽
판교 박창문 만사 朴判校 昌文 挽
참판 정석 만사 鄭參判 晳 挽
사간 이일정의 모부인 만사 李司諫 日井 母夫人挽
판서 김휘 만사 金判書 徽 挽
진사 이계도의 아내 만사 李進士 繼道 內挽
곽선 만사 郭生 宣 挽
이명철 만사 李生 明哲 挽
연안으로 귀양 가는 윤현통을 전송하다 送尹玄通謫延安
정사년 동짓달 초하루에 조정에서 문안드리는 예가 있었으나……마음이
편안하지 못하여 되는 대로 시를 짓다
丁巳至月初吉 廷有問安之禮……心有所不安 率口以題
참동계를 보고 새벽에 앉아 우연히 읊다 覽參同契 曉坐偶吟
참봉 조명한 만사 趙參奉 鳴漢 挽
하윤달 만사 河生 潤達 挽
회포를 풀다 遣懷
덕산 현감으로 부임하는 홍수주를 전송하다 送洪德山 受疇 之任
참판 조위명 만사 趙參判 威明 挽
참의 이지무 만사 李參議 枝茂 挽
영안위가 공주의 수연에 지은 시를 차운하다 次永安尉公主壽筵韻
회포를 풀다 遣懷
병중에 우연히 읊다 病裏偶吟
앞의 시를 차운하여 윤현통에게 부치다 次前韻 寄尹玄通
졸 자를 읊다 詠拙字
변무 부사 이 제학을 송별하다 送別辨誣副使李提學
정용 만사 鄭生 墉 挽
양천 현감 이두환 만사 李陽川 斗煥 挽
김효술 만사 金生 孝述 挽
재상 이경여를 천장할 때의 만사 李相 敬輿 遷葬挽
참판 정지호 만사 鄭參判 之虎 挽
남원 부사 홍석기 만사 洪南原 錫箕 挽
호남 관찰사 유 영공을 전송하다 送湖南伯柳令
이흡 만사 李生 翕 挽
첨정 김인량 만사 金僉正 寅亮 挽
장령 이정의 아내 만사 李掌令 ? 室內挽
감사 이우정의 대부인 만사 李監司 宇鼎 大夫人挽
판서 이은상 만사 李判書 殷相 挽
도정 이초로 만사 李都正 楚老 挽
승지 강윤형 만사 姜承旨 允亨 挽
동지 김엽을 천장할 때의 만사 金同知 曄 遷葬挽
수사 이박 만사 李水使 璞 挽
진사 원륜 만사 元進士 綸 挽
첨지 최순 만사 崔僉知 淳 挽
황창의 모친 만사 黃生 ? 母親挽
참의 이항의 모부인 만사 李參議 沆 母夫人挽
진사 남극명 만사 南進士 克明 挽
첨정 채익준 만사 蔡僉正 益俊 挽
판서 조형 만사 趙判書 珩 挽
고서를 열람하다 閱古書
아산 현감 유정주 만사 柳牙山 廷舟 挽
생질 일주의 시에 차운하여 장난삼아 선과 현 두 아들의 정관첩에 쓰다
次舟姪韻 ?題銑?兩兒靜觀帖
처사의 아내 만사 處士內挽
만사 挽
만사 挽
만사 挽
만사 挽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