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FTA와 글로벌경제의 이해

FTA와 글로벌경제의 이해

  • 서정수
  • |
  • 두남
  • |
  • 2020-08-30 출간
  • |
  • 212페이지
  • |
  • 172 X 245 mm
  • |
  • ISBN 9788964148921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4,2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2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21세기 초반 한국경제는 세계 11위~12위를 다투는 경제이다. 그러나 그 시작은 미약하여, 1962년 시작된 제1차 5개년 개발계획에서 언급된 수출주도형 경제발전 모형에 근간을 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경제는 늘 그래왔듯이 대외의존도가 매우 높은 개방경제이다. 이러한 개방경제에서의 대외통상환경은 불확실성에 휩싸여 있으며, 이는 한국경제와 기업에 끊임없는 도전을 던져둘 뿐만 아니라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1960년대 이후 한국경제는 자유스러운 무역 통상환경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한 국가이면서 동시에 전 세계 경제의 자유로운 무역 및 통상환경을 이루어 나가는데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기여를 하고 있다.
전 세계 통상환경이 기존의 GATT 체제에서 1995년 이후부터 다자주의 무역체제인 WTO 체제로 전환되었지만, WTO가 가진 태생적 한계로 인해 WTO의 출범과 동시에 지역 무역주의 경향 또한 강하게 나타났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즉 FTA라고 할 수 있다. 전 세계 통상환경이 FTA를 통해 지역주의적인 경제 및 통상환경 중심으로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FTA 관련하여 후발주자인 한국은 2004년에 가서야 한국-칠레 FTA를 발효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시다발적이고 높은 수준의 FTA 협상과 추진을 통해 2020년 2월 현재 한국은 한-미 FTA, 한-EU FTA, 한-중 FTA 등 총 56개국을 포함하는 16건의 FTA를 체결하여 발효함으로써 FTA를 통한 경제영토를 확장해왔으며 FTA의 활용을 통해 우리나라의 경제 개선 및 발전과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의 국제경제 상황과 국제통상 환경은 2008년 발생한 세계 금융위기의 여파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채 전 세계적으로 경제 성장률의 둔화가 관찰되고 있으며 더불어 이와 밀접하게 연관된 보호주의 무역의 확산으로 인해 또 다른 차원의 도전을 우리나라 경제에 던져주고 있다. 환태평양동반자협정(TPP 11), 동아시아의 포괄적 지역 무역협정(RCEP) 등 다자간 무역 협상의 틀에서 양자 간 FTA와 관심을 같이 하는 국가 간의 복자간 자유무역협정의 틀이 형성되어 지역주의가 심화하고 있다. 최근 각국에서 행해지고 있는 보호주의 무역 정책의 기조는 어찌 보면 FTA 협상에서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가지고 있었던 분야를 각국 정부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국 산업을 보호하려고 하는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는 효율적인 방안은 이미 발효된 FTA를 체계적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며 나아가 지적재산권, 표준화, 인증, 환경 등의 문제를 FTA의 틀 안으로 끌어들여 이 분야에서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한 방안일 것이다.
FTA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부족하거나 미지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FTA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특히, 무역학이나 경제학 등을 전공으로 학습하는 경제통상학부 전공 학생이나 혹은 이와 연관된 분야를 복수전공을 하고자 학생들 또한 FTA에 대한 이해는 필요하다. FTA를 깊이 이해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은 경제학 원론과 통상학에 대한 원론을 통해 이론적인 역량을 배양하면서 필요에 따라 수리적이고 계량적인 접근 방법을 사용하거나 혹은 깊이 있는 질적 접근 방법을 함양하는 일종의 연역법적인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접근 방법은 현실, 즉 경제 및 통상과 관련된 현실적인 이해 혹은 경험적인 노출이 많지 않은 학생들이 소화하기에는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제학에서나 혹은 국제통상학에서 배우는 이론들이 어떻게 현실과 연결되었는지에 대한 막연한 이해조차도 쉽지 않을 때가 다반사이다.
따라서 본 교재는 학생들에게 경제 현상, 즉 전 세계의 경제 현상에 대한 가급적 최신의 정보제공이라는 아주 간단한 명제를 가지고 출발한다. 경제학과 국제통상학에 관심을 가진 학생들이 막연하게 경제학 모형과 국제통상학의 이론을 최신의 자료를 바탕으로 한 그래프와 표 등을 활용하여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학생들 스스로 세계 경제에서 관찰되는 현상이 왜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복합적인 질문을 던질 수 있게 만들며, 나아가 이런 현상을 이론적으로 접근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모형과 이론들이 필요한지를 이해하고 탐구해 볼 수 있게 하는 부담스럽지 않은 어찌 보면 즐거울 수 있는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자 한다. 더는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경제 현상과 변화하고 있는 국제통상 환경이 나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문제가 아니라 내가 그 안에 살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기업과 국가 경제 그리고 나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느끼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교재를 통해 학생들이 왜 경제학과 국제통상학에 대한 더 많은 공부가 필요한지를 이해하고 이를 행동으로 옮길 수 있다면 이 교재가 근본적으로 의도하고 있는 목적은 달성된다고 할 수 있다. 경제 현상에 대한 관찰을 통해 이를 이해하려는 호기심이 자극되어 지식을 축적해 나간다면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왜 우리나라가 FTA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왔으며, 나아가 자유로운 국제통상 환경이 왜 중요한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FTA를 더욱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스스로 배양하고 또한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급변하고 있는 국제통상 환경과 경제 환경에 적극적이고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게 되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목차


제1장 세계 경제의 이해
1. 국가 경제의 이해 19 1.1 국민총생산의 개념 19
1.2 GDP 측정 방법과 국가 간 비교 25
1.3 경제 성장률의 이해: 명목 경제 성장률 및 실질 경제 성장률 27
2. 세계 경제의 이해 28
2.1 최근의 전 세계 경제 성장률의 변화와 이해 28
2.2 장기간에 걸친 전 세계 경제 성장률의 이해 32
2.3 지역별 실질 경제 성장률의 이해 36
2.3.1 선진국 실질 경제 성장률의 이해 38
2.3.2 신흥 및 개발도상국가의 실질 경제 성장률의 이해 42
ㆍ정리문제 47

제2장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의 이해
1. 인플레이션의 이해 51 1.1 인플레이션의 정의 51
1.2 소비자 물가지수와 인플레이션의 측정 52
1.3 인플레이션의 계산 52
2. 세계 인플레이션의 변화 55
3. 실업률의 이해 60 3.1 실업률의 정의와 측정 60
3.2 선진국 실업률의 변화와 이해 62
ㆍ정리문제 68

제3장 대외거래 관계의 이해
1. 국제수지: 개념과 이해 71
2. 세계 무역의 발전과 변화 72
2.1 상품무역의 변화 72 2.2 세계 주요 교역국의 변화 81
2.3 서비스무역의 변화 87 2.4 주요 서비스 무역국의 변화 92
3. 국제통상환경의 변화 96
3.1 지역 무역협정의 확산 96
3.2 지역별 국가별 지역 무역협정 현황 99
4. 외국인 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의 발전과 변화 101
4.1 외국인 직접투자의 정의와 형태 101
4.2 외국인 직접투자 발전과 현황 103
4.3 주요 국가별 외국인 직접투자 현황 107
ㆍ정리문제 111

제4장 무역정책
1. 무역정책의 의의 115
2. 무역정책의 유형 116
3. 무역정책 수단 119 3.1 관세정책 119
3.1.1 관세의 의의 119 3.1.2 관세의 종류 120
3.1.3 관세의 경제적 효과 121
3.2 우리나라의 FTA 관련 관세 133
3.2.1 FTA관세특례법 운용 133
3.2.2 협정 관세의 적용 133
4. 비관세정책 135
4.1 비관세정책의 의의 135
4.2 비관세정책의 유형 135
4.2.1 수입할당제 135
4.2.2 수출자율규제 136
4.2.3 생산 보조금, 수출 보조금과 상계관세 137
4.2.4 반덤핑 관세 138
4.2.5 긴급수입제한조치 138
4.2.6 원산지 규정 140
4.2.7 수출세 142
4.2.8 대항 조치 142
ㆍ정리문제 144

제5장 FTA와 지역경제통합 유형
1. 세계의 지역 무역주의 147
2. 지역 무역협정의 종류 148
3. 지역 경제통합 유형과 지역 무역협정 추진 현황 150
4. 지역 무역협정의 비중 154
5. 지역 무역협정의 체결 확대 배경 155
6. 세계 지역 무역협정의 특징 156
6.1 FTA 체결의 지리적 범위의 확대 156
6.2 대부분 FTA 형태로 체결 156
6.3 지역 무역협정 형태 157
7. 주요 지역 무역협정에 대한 이해 157
7.1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157
7.2 유럽연합(EU) 158
7.3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160
7.4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160
7.5. 남미공동시장(MERCOSUR) 161
7.6. 다자 무역규범과 FTA 163
7.6.1 WTO 통보 163
7.6.2. WTO 규범 합치성 심사 164
7.6.3. FTA와 WTO 규범 간 포괄 범위의 유사성 165
ㆍ정리문제 168

제6장 한국의 FTA 현황과 무역
1. 한국의 FTA 현황 171
2. 한국의 FTA 추진 주요 내용 174
3. 한국의 FTA 추진 전략 175
4. FTA 발효 및 체결 국가와의 교역 현황 176
4.1 한국의 수출입 총괄 176
4.2 FTA 발효 및 체결 국가와의 교역 현황 177
5. 한국 FTA의 나아갈 방향 178
5.1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초광역 FTA 체결의 필요성 대두 178
5.2 긍정적인 FTA 효과 지속성 확보 180
6. 한국의 경제 동향 및 무역 동향 181
6.1 세계 무역 중 한국의 비중 및 무역의존도 187
6.2 한국의 주요 교역 상대국 191
6.3 한국의 무역 상품 구조 196
6.3.1 수출 상품 구조 196
6.3.2 수입 상품 구조 197
6.3.3 최근 한국의 수출 주력 상품 199
6.3.4 최근 한국의 수입 주력 상품 201
ㆍ정리문제 204
참고문헌 205
찾아보기 20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