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임용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 교사,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학교 문법에 대한 입문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법의 교육 내용을 상세히 기술하고,
학교 문법의 배경이 되는 문법 이론의 내용을 소개하다
‘학교 문법(學校文法)’은 국어를 규범대로 바로 쓰도록 하기 위하여 학교에서 가르치는 문법을 이른다. 곧, 학교 문법은 초등학교와 중ㆍ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에 기반하여 문법 교과서에 반영되어 있는 문법 교육의 체제와 내용이다.
≪학교 문법의 이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법의 교육 내용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학교 문법의 배경이 되는 문법 이론의 내용을 소개하는 책이다. 따라서 이 책은 학교 문법을 교육하고 있는 현직 국어과 교사와 중등학교 교사 임용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 교사, 그리고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에게 학교 문법에 대한 입문서이다.
≪학교 문법의 이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에 기술된 교육 내용을 반영하여, 학교 문법의 내용을 두 권의 책에 나누어 ≪제2판 학교 문법의 이해 1≫과 ≪제2판 학교 문법의 이해 2≫로 지난 2018년 2판 1쇄로 발행되었던 바 있으며, 이 책은 ≪제2판 학교 문법의 이해 2≫의 수정 증보판이다.
이미 발행된 ≪제2판 학교 문법의 이해 1≫에서는 현대 국어의 공시적인 모습을 중심으로 하여, ‘음운론ㆍ형태론ㆍ통사론ㆍ의미론ㆍ화용론ㆍ국어의 특징’ 등의 학교 문법 내용을 다루었다. 그리고 ≪제2판 학교 문법의 이해 2≫에서는 국어사와 문자론를 중심으로 하여, ‘차자 표기법, 중세 국어, 근대 국어, 어문 규정’을 다루었다. 특히 ≪제2판(수정) 학교 문법의 이해 2≫에서는 근대 국어의 문법 현상을 중세 국어와 비교하면서 기술함으로써, 학습자들이 15세기의 중세 국어로부터 19세기 말의 근대 국어에까지 국어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2판 학교 문법의 이해 1≫과 ≪제2판 학교 문법의 이해 2≫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내용을 기술하였다.
첫째, 이 책에서 쓰인 문법 용어와 내용 체제는 대체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에 기술된 대로 따랐다.
둘째, 학교 문법의 내용을 쉽게 소개하고자 하는 기본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 지은이의 개인적인 견해를 밝히지 않았다.
셋째, 학교 문법의 내용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이미 학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이설(異說)은 글상자에 넣어서 별도로 기술했다.
넷째,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에 관련된 내용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법≫(2010)에서 기술된 내용을 기본 골격으로 삼고, 학계에서 널리 통용되는 보편적인 이론을 덧보태어서 기술하였다.
이 책에는 필자인 나찬연이 앞서 간행한 저서의 내용이 많이 반영되어 있다. 곧, ≪언어ㆍ국어ㆍ문화≫, ≪표준 발음법의 이해≫,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현대 국어 의미론의 이해≫, ≪국어 어문 규범의 이해≫, ≪훈민정음의 이해≫, ≪중세 국어의 이해≫, ≪중세 국어 강독≫, ≪근대 국어 강독≫ 등에 기술된 내용이 이 책에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