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의 글
이동주 박사(선교신학연구소 소장, 전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선교학 교수)
장훈태 박사(백석대학교 선교학 교수)
정흥호 박사(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총장)
개정판 저자 서문
제1장 서론
제2장 꾸란 “계시”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예수의 신성 부정과 꾸란 “계시”의 필연성
2. 꾸란 “계시” 전달자인 “가브리엘 천사”와 “성령”
3. 무함마드의 “계시” 체험 현상
4. “기적 중의 기적,” 꾸란 “계시”
5. 시인과 무함마드 41
제3장 꾸란의 “계시”와 “가브리엘 천사”
1. 가브리엘 “계시”의 장소와 시간
2. 가브리엘 “계시”의 종교적 배경
3. “가브리엘”의 “계시”에 관한 구절들
제4장 꾸란의 영에 대한 이해
1. 꾸란의 “성령”
2. 꾸란의 “진”
3. 꾸란의 “이블리스”
제5장 가브리엘 “계시” 장면에 관한 현상적 고찰
1. 두려움
2. 억누름
3. 환청
4. 환상
제6장 성경의 ‘삼위일체’ 관점에서 본 꾸란의 성령론 비판
1. 성령의 정의
2. 성령 강림
3. 성령의 사역
4. 기독교적 해석
제7장 결론
부록 1 정현경의 혼합주의적 신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성령론을 중심으로
부록 2 기독교적 관점에서 바라본 터키 수피즘의 영성에 관한 연구-신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메블라나’ 영성을 중심으로
부록 3 선교와 성령-성령 세례와 성령 충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