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행정법원론 (하) -제28판

행정법원론 (하) -제28판

  • 홍정선
  • |
  • 박영사
  • |
  • 2020-02-10 출간
  • |
  • 1056페이지
  • |
  • 172 X 245 X 52 mm /1563g
  • |
  • ISBN 9791130335469
판매가

62,000원

즉시할인가

61,38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61,38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법령약어 xxxv
주요참고문헌 xxxix

제3부
특별행정법

제1편 행정조직법
제1장 일 반 론
제1절 행정조직법의 관념 4
제1항 행정주체 4
제2항 행정조직법 5
Ⅰ. 관  념 5
Ⅱ. 행정조직법의 종류 6
제2절 행정조직법과 헌법 7
제1항 행정조직법과 법치주의원리 7
제2항 행정조직법과 민주주의원리 9
제3항 행정조직법과 사회복지주의원리 9
제3절 행정기관 10
제1항 행정기관의 관념 10
제2항 행정기관의 구성방식과 종류 12
제4절 행정관청 14
제1항 행정관청의 관념 14
Ⅰ. 행정관청의 개념 14
Ⅱ. 행정관청의 법적 지위와 기능 15
Ⅲ. 행정관청의 종류 16
제2항 행정관청의 권한 16
Ⅰ. 권한의 관념 16
Ⅱ. 권한의 성질 17
Ⅲ. 권한의 획정과 충돌 17
Ⅳ. 권한의 내용 18
Ⅴ. 권한의 행사 19
제3항 권한의 대리와 위임(권한행사의 예외적 방식) 20
Ⅰ. 권한의 대리 20
Ⅱ. 권한의 위임 23
제4항 행정관청간의 관계 31
Ⅰ. 동일 사무영역 내의 행정관청간의 관계 31
Ⅱ. 상이한 사무영역에 있는 행정관청간의 관계 38
Ⅲ. 상이한 행정주체 소속의 행정관청간의 관계 38
제2장 국가행정조직법
제1절 직접국가행정조직법 39
제1항 정부조직법 39
Ⅰ. 정부조직법의 지위 39
Ⅱ. 정부조직법의 규정내용 39
Ⅲ. 정부조직법상 행정기관의 종류 39
Ⅳ. 정부조직법상 행정기관의 설치근거 41
Ⅴ. 정부조직법상 행정기관의 지위 42
제2항 중앙행정조직 43
Ⅰ. 종  류 43
Ⅱ. 행정각부 43
Ⅲ. 합의제행정기관 45
제3항 지방행정조직 46
Ⅰ. 정부조직법상 지방행정조직 46
Ⅱ. 보통지방행정기관 46
Ⅲ. 특별지방행정기관 47
Ⅳ. 통합운영 48
제2절 간접국가행정조직법 49
Ⅰ. 의  의 49
Ⅱ. 공법상 사단(공공조합) 49
Ⅲ. 공법상 재단 52
Ⅳ. 공법상 영조물법인 52
Ⅴ. 기  타 54
제2편 지방자치법
제1장 일 반 론
제1절 지방자치법의 관념 58
제1항 지방자치법의 의의 58
제2항 지방자치법의 헌법적 기초 59
제3항 지방자치법의 법원 59
제2절 지방자치의 관념 62
제1항 자치행정의 의의 62
제2항 지방자치의 본질(지방자치행정과 국가행정간의 관계) 64
Ⅰ. 자치위임설과 고유권설 64
Ⅱ. 간접국가행정으로서의 지방자치행정 65
제3항 지방자치의 기능 65
제4항 지방자치의 위기 67
제3절 지방자치의 보장과 제한 68
제1항 지방자치제도의 헌법적 보장 69
제2항 지방자치제의 형성과 제한 71
Ⅰ. 형성ㆍ제한의 원리로서 법률의 유보 71
Ⅱ. 자치권의 제한의 기준 72
Ⅲ. 자치권의 제한의 단계 72
Ⅳ. 제한의 한계로서 핵심영역 73
■참고 Rastede 판결 74
제3항 지방자치단체의 권리보호 76
제4절 지방자치단체의 관념 79
제1항 지방자치단체의 의의 79
제2항 지방자치단체의 명칭 82
제3항 지방자치단체의 종류와 사무소의 소재지 84
Ⅰ.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84
Ⅱ.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소의 소재지 87
제5절 지방자치단체의 구성요소 88
제1항 주  민 88
Ⅰ. 주민의 의의 88
■참고 주민등록신고의 이중적 성격 89
Ⅱ. 주민의 권리 92
Ⅲ. 주민의 의무 116
■참고 이용제공강제 117
Ⅳ. 지방자치와 주민의 참여 117
제2항 구  역 118
제3항 자 치 권 122
제2장 지방자치단체의 조직
■참고 지방자치단체의 조직형태(기관대립형)와 관련된 판례 모음 127
제1절 지방의회 133
제1항 일 반 론 133
제2항 지방의회의 구성과 운영 137
Ⅰ. 지방의회의 구성방법 137
Ⅱ. 지방의회의 내부조직 138
Ⅲ. 지방의회의 회의 142
제3항 지방의회의 권한 147
Ⅰ. 입법에 관한 권한(조례제정권) 147
Ⅱ. 재정에 관한 권한 148
Ⅲ. 대집행기관통제권 148
■참고 국정감사와 지방자치단체 150
Ⅳ. 일반사무에 관한 의결권한 152
Ⅴ. 지방의회내부에 관한 권한 152
제4항 조례제정권 154
Ⅰ. 조례의 관념 154
■참고 법률의 우위의 원칙을 위반한 조례 모음 160
■참고 법률의 유보의 원칙을 위반한 조례 162
■참고 법률과 조례의 관계 162
■참고 추가조례와 초과조례 163
Ⅱ. 적법요건 166
Ⅲ. 효력과 흠(하자) 170
Ⅳ. 통  제 172
■참고 지방자치법 제107조 제3항의 소송과 제172조의 소송 174
제5항 지방의회의원 178
Ⅰ. 지방의회의원의 지위 178
Ⅱ. 지방의회의원지위의 발생과 소멸 179
Ⅲ. 지방의회의원의 권리와 의무 180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집행기관 183
제1항 지방자치단체의 장 184
Ⅰ.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지위 184
Ⅱ.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신분 186
Ⅲ.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권한 190
제2항 보조기관과 행정기구 197
Ⅰ. 보조기관 197
Ⅱ. 행정기구와 공무원 199
제3항 소속행정기관 200
제4항 하부행정기관 201
제3절 교육ㆍ학예에 관한 집행기관 203
제1항 일 반 론 203
제2항 교 육 감 204
Ⅰ. 교육감의 지위 204
Ⅱ. 교육감의 권한 207
Ⅲ. 교육감의 보조기관 등 행정기구 210
Ⅳ. 지방교육협의체 210
제3장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의 유형 212
제1항 사무일원론과 사무이원론 212
제2항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의 종류 213
Ⅰ. 구분의 다양성 213
Ⅱ. 자치사무와 위임사무 213
제2절 자치사무의 관념 217
제1항 자치사무개념의 전제 217
제2항 자치사무의 의의 218
제3항 자치사무의 특징 219
제4항 자치사무의 민간위탁 220
Ⅰ. 민간위탁의 의의 220
Ⅱ. 민간위탁의 법적 근거 222
Ⅲ. 민간위탁의 법관계 222
Ⅳ. 서울특별시의 경우 223
제3절 자치사무의 내용 225
제1항 일 반 론 225
제2항 구체적 내용 226
제4절 자치사무의 배분 230
제1항 자치사무배분의 원리 230
제2항 지방자치법상 배분의 기준 231
제3항 사무의 이전 232
제5절 단체위임사무ㆍ기관위임사무 233
제1항 단체위임사무 233
Ⅰ. 단체위임사무의 관념 233
Ⅱ. 단체위임사무의 특징 234
Ⅲ. 위임에서 배제되는 국가사무 237
제2항 기관위임사무 238
Ⅰ. 기관위임사무의 관념 238
Ⅱ. 기관위임사무의 특징 239
제3항 공동사무 242
제4장 지방자치단체의 협력과 통제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협력 244
제1항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협력과 분쟁 244
Ⅰ. 협력의무와 협력의 방식 244
Ⅱ. 사무의 위탁 245
Ⅲ. 행정협의회 246
Ⅳ. 장 등의 협의체 248
Ⅴ. 지방자치단체조합 249
Ⅵ. 사법상 형식에 따른 협력 250
Ⅶ. 공ㆍ사법형식의 결합가능성 251
Ⅷ.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등의 분쟁조정 251
제2항 지방자치단체와 국가간의 협력 253
Ⅰ. 국가에 의한 협력 253
Ⅱ.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협력 254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통제 255
제1항 외부적 통제의 유형 255
Ⅰ. 국가에 의한 통제 255
Ⅱ. 광역지방자치단체에 의한 통제 259
Ⅲ. 주민에 의한 통제 259
Ⅳ. 행정적 통제(지방자치단체의 감독) 259
제2항 자치사무에 대한 감독 260
Ⅰ. 일 반 론 260
Ⅱ. 사전적 수단 262
■참고 지방자치법 제171조의 성격 264
Ⅲ. 사후적 수단 266
제3항 단체위임사무에 대한 감독 274
제4항 기관위임사무에 대한 감독 277
Ⅰ. 일 반 론 277
Ⅱ. 사전적 수단 278
Ⅲ. 사후적 수단 278
제5항 내부적 통제의 유형 281
제5장 대도시행정의 특례
Ⅰ. 자치구의 재원조정 283
Ⅱ. 서울특별시의 특례 283
Ⅲ. 제주특별자치도의 특례 284
Ⅳ. 특별자치시 290
Ⅴ. 특 례 시 290

제3편 공무원법
제1장 공무원법서설
제1절 일 반 론 292
제1항 공무원제도 292
제2항 공무원법의 관념 293
제2절 공무원법의 헌법적 기초 293
제1항 공무원제도의 법적 성격 293
제2항 공무원제도형성의 원칙 294
Ⅰ. 민주적 공무원제도 294
Ⅱ. 직업공무원제도 297
제3항 공무원과 기본권 300

제2장 공무원법관계
제1절 공무원법관계의 관념 302
제1항 공무원법관계의 의의 302
제2항 공무원법관계의 형성 303
제3항 공무원법관계의 당사자 304
제4항 공무원의 종류 305
제2절 공무원법관계의 발생ㆍ변경ㆍ소멸 309
제1항 공무원법관계의 발생 309
Ⅰ. 임명의 의의 310
Ⅱ. 임명행위의 성질 310
Ⅲ. 중앙인사관장기관과 임명권자 313
Ⅳ. 임용요건과 채용시험 등 314
Ⅴ. 임명의 형식과 효력발생 320
제2항 공무원법관계의 변경 321
Ⅰ. 다른 직위에로의 변경 322
■참고 전입ㆍ전출 323
Ⅱ. 무직위에로의 변경 326
제3항 공무원법관계의 소멸 330
Ⅰ. 당연퇴직 330
Ⅱ. 면  직 333
제3절 공무원법관계의 내용 337
제1항 공무원의 권리 337
Ⅰ. 신분상 권리 337
Ⅱ. 재산상 권리 343
제2항 공무원의 의무 349
Ⅰ. 관  념 349
Ⅱ. 국가공무원법ㆍ지방공무원법상 의무 349
Ⅲ. 공직자윤리법상 의무 360
Ⅳ. 공직자 등의 병역사항 신고 및 공개에 관한 법률상 의무 365
Ⅴ.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상 의무 367
제3항 공무원의 책임 369
Ⅰ. 서  설 369
Ⅱ. 헌법상 책임 369
Ⅲ. 행정법상 책임 370
Ⅳ. 형사법상 책임 383
Ⅴ. 민사법상 책임 384

제4편 경 찰 법
제1장 경찰법서설
제1절 경찰의 관념 386
제1항 경찰의 개념과 종류 386
Ⅰ. 경찰개념의 유형 386
Ⅱ. 실질적 의미의 경찰개념 389
■참고 위험방지-위험대비-잔여위험 393
Ⅲ. 경찰의 종류 395
제2항 경찰법의 의의와 종류 397
Ⅰ. 경찰법의 의의 397
Ⅱ. 경찰법의 종류 399
제3항 경찰법의 법원 399
제2절 경찰법과 헌법 401
제1항 경찰법과 헌법의 관계 401
제2항 행정의 법률적합성의 원칙과 경찰 402
Ⅰ. 행정의 법률적합성의 원칙 402
Ⅱ. 경찰조직과 법적 근거 403
Ⅲ. 경찰작용과 법적 근거 404
제3항 비례원칙과 경찰 405
제4항 기본권과 경찰 408
제5항 정보와 경찰 409
Ⅰ. 정보상 자기결정권(자기정보결정권, 정보자기결정권) 409
Ⅱ. 정보공개청구권 412
Ⅲ. 정보상 협력 413
제6항 판단여지ㆍ재량과 경찰 414
Ⅰ. 불확정개념과 판단여지(요건의 면에서 경찰의 자유와 법적 구속) 414
Ⅱ. 행정재량(효과의 면에서 경찰의 자유와 법적 구속) 415
제2장 경찰조직법
제1절 경찰행정기관법(협의의 경찰조직법) 418
제1항 경찰행정기관법의 관념 418
제2항 경찰기관(경찰행정기관)의 종류 419
Ⅰ. 국가일반경찰행정관청 419
Ⅱ. 국가특별경찰행정관청 421
■참고 국회와 경찰 422
Ⅲ. 국가경찰 의결기관ㆍ협의기관ㆍ자문기관 422
Ⅳ. 국가경찰집행기관 423
Ⅴ. 제주자치도 자치경찰기관 424
Ⅵ. 소방기관 425
제3항 사인과 경찰 426
Ⅰ. 공무수탁사인 426
Ⅱ. 청원경찰 427
Ⅲ. 경  비 428
제2절 경찰공무원법 428
제1항 일 반 론 428
Ⅰ. 경찰공무원법의 관념 428
Ⅱ. 경찰공무원과 기본권 429
제2항 경찰공무원의 법관계의 발생ㆍ변경ㆍ소멸 430
Ⅰ. 경찰공무원의 법관계의 관념 430
Ⅱ. 경찰공무원의 법관계의 발생 433
Ⅲ. 경찰공무원의 법관계의 소멸 434
제3장 경찰작용법
제1절 경찰작용의 법적 근거 436
제1항 경찰작용과 법률유보 436
제2항 특별경찰법상 특별수권 437
제3항 일반경찰법상 특별수권(경찰상 표준처분) 441
Ⅰ. 일 반 론 441
Ⅱ. 불심검문 444
Ⅲ. 보호조치 450
Ⅳ. 위험발생의 방지 454
Ⅴ. 범죄의 예방과 제지 456
Ⅵ. 위험방지를 위한 출입 458
Ⅶ. 사실의 확인 등 461
Ⅷ. 경찰장비의 사용 등 461
제4항 일반경찰법상 일반수권(일반조항ㆍ개괄조항) 462
Ⅰ. 관  념 462
Ⅱ. 합헌성ㆍ보충성 463
Ⅲ. 인정가능성 464
제2절 경찰권의 한계 467
제1항 관  념 467
제2항 법규상 한계 467
제3항 경찰법원리상 한계(조리상 한계) 468
제3절 경찰책임(경찰작용의 상대방) 471
제1항 일 반 론 471
Ⅰ. 문제상황 471
Ⅱ. 경찰책임의 관념 472
Ⅲ. 경찰책임의 주체 473
Ⅳ. 경찰책임의 유형 477
제2항 행위책임 478
Ⅰ. 관  념 478
Ⅱ. 행위와 위험 사이의 인과관계 478
Ⅲ. 타인의 행위에 대한 책임 480
제3항 상태책임 481
Ⅰ. 관  념 481
Ⅱ. 상태와 위험 사이의 인과관계 481
Ⅲ. 상태책임의 주체 481
Ⅳ. 상태책임의 범위 482
제4항 경찰책임자의 경합 483
제5항 경찰책임의 법적 승계 485
Ⅰ. 관  념 485
Ⅱ. 행위책임의 법적 승계 486
Ⅲ. 상태책임의 법적 승계 487
제6항 경찰상 긴급상태(경찰책임자로서 제3자) 489
제4절 경찰작용의 행위형식 493
제1항 경찰상 행정입법 493
제2항 경찰상 행정행위 494
Ⅰ. 경찰상 행정행위로서 하명(경찰상 하명) 494
Ⅱ. 경찰상 행정행위로서 허가(경찰상 허가) 499
제3항 경찰상 사실행위 508
Ⅰ. 경찰상 사실행위 일반론 508
Ⅱ. 경찰상 행정지도 509
제5절 경찰작용의 실효성확보 510
제1항 경찰벌(경찰상 행정벌) 510
제2항 경찰상 강제집행 510
제3항 경찰상 즉시강제 511
Ⅰ. 일 반 론 511
Ⅱ. 수  단 511
제4항 경찰상 행정조사(경찰조사) 514
제6절 국가책임과 비용상환 515
제1항 경찰관 직무집행법상 위험방지조치에 따른 손실의 보상 516
Ⅰ. 일 반 론 516
Ⅱ. 경찰책임자로서 장해야기자의 피해의 보상 518
Ⅲ. 경찰책임자로서 비장해야기자의 피해의 보상 519
Ⅳ. 경찰책임과 무관한 자의 피해의 보상 520
Ⅴ. 경찰의 보조자의 피해의 보상 521
Ⅵ. 경찰허가의 취소ㆍ철회와 보상 521
제2항 손해배상 522
제3항 경찰행정청의 비용상환청구권 등 522
Ⅰ. 비용상환청구권 523
Ⅱ. 보상금의 지급 524

제5편 공적 시설법
제1장 공 물 법
제1절 일 반 론 526
제1항 공물의 개념ㆍ본질 526
제2항 공물의 종류 529
제2절 공법적 지위의 성립ㆍ소멸ㆍ변경 530
제1항 공법적 지위의 성립(공물의 성립) 530
Ⅰ. 공용지정(의사적 요소) 531
Ⅱ. 제 공(형태적 요소) 534
Ⅲ. 공물성립의 예(도로의 경우) 535
제2항 공법적 지위의 종료(공물의 소멸)와 공용변경 536
Ⅰ. 공용폐지 536
Ⅱ. 형태적 요소의 소멸 537
Ⅲ. 공용변경 539
제3절 공물의 법적 특질 539
제1항 공물권의 성질(공물법제) 539
제2항 사법적용의 한계 541
■참고 구 국유재산법ㆍ지방재정법상 시효취득 543
제4절 공물의 관리 544
제1항 공물의 관리권 544
제2항 손해배상과 손실보상 546
제3항 공물의 관리와 경찰 547
제5절 공물의 사용관계 548
제1항 자유사용 548
제2항 허가사용 550
제3항 특허사용 552
제4항 관습법상 사용 553
제5항 사법상 사용 554
제6절 공물로서의 도로 556
제1항 도로의 관념 556
제2항 도로의 관리 559
Ⅰ. 도로관리청 559
Ⅱ. 도로관리권 559
Ⅲ. 비용의 부담 562
제3항 도로관리청과 교통경찰 564
제4항 도로의 사용 564
Ⅰ. 자유사용(공동사용) 564
Ⅱ. 특별사용 566
제5항 이웃의 보호 567
Ⅰ. 보호의 필요 567
Ⅱ. 특별한 공법적 보호 567
제2장 영조물법
제1절 영조물의 관념 571
제1항 영조물의 관념 571
Ⅰ. 개념의 정의와 분석 571
Ⅱ. 개념의 광ㆍ협 572
Ⅲ. 구분을 요하는 개념 572
제2항 영조물의 종류 573
제3항 영조물주체의 고권(영조물권력) 574
제2절 영조물의 이용관계 575
제1항 이용관계의 의의와 성질 575
제2항 이용관계의 성립과 종료 576
제3항 이용관계의 종류 576
제4항 이용자의 법적 지위 577
Ⅰ. 이용자의 권리 577
Ⅱ. 이용자의 의무 578
제3장 공기업법
제1절 공기업의 관념 579
제1항 공기업의 개념 579
Ⅰ. 세 가지 개념 579
Ⅱ. 공기업개념의 광ㆍ협 581
제2항 공기업의 종류 582
Ⅰ. 경영주체에 따른 구분 582
Ⅱ. 시장지위(독점권유무)에 따른 구분 582
제3항 공기업의 목적과 형식 584
제2절 공기업의 설립ㆍ보호ㆍ감독 584
제1항 공기업의 설립 584
제2항 공기업의 자치 585
제3항 공기업의 보호 586
제4항 공기업의 감독(통제) 587
제3절 공기업의 이용관계 588
제1항 이용관계의 의의와 종류 588
제2항 이용관계의 성질 589
제3항 이용관계의 성립과 종료 590
Ⅰ. 이용관계의 성립과 특색 590
Ⅱ. 이용관계의 종료 591
제4항 이용관계의 내용 591
Ⅰ. 이용자의 권리 591
Ⅱ. 공기업자의 권리 592
제4절 특허기업 593
제1항 특허기업의 개념 593
제2항 특허기업의 특허 594
Ⅰ. 특허기업의 특허의 의미 594
Ⅱ. 특허기업과 허가기업 595
제3항 특허기업자의 법적 지위 등 597
Ⅰ. 특허기업자의 권리 597
Ⅱ. 특허기업자의 의무 598
Ⅲ. 특허기업의 이용관계의 성질 599
제4항 특허기업의 이전ㆍ위탁ㆍ종료 599

제6편 공용부담법
제1장 일 반 론
제1절 공용부담의 관념 602
제2절 공용부담의 종류 603
제2장 인적 공용부담
제1절 부 담 금 605
Ⅰ. 부담금의 관념 605
Ⅱ. 법률의 유보 606
Ⅲ. 부담금부과의 한도 607
Ⅳ. 부담금의 종류 607
Ⅴ. 부담금에 대한 통제 609
제2절 부역ㆍ현품 610
제3절 노역ㆍ물품 611
제4절 시설부담 612
제5절 부작위부담 613

제3장 공용제한(물적 공용부담 1)
제1절 공용제한의 관념 614
제1항 공용제한의 의의 614
제2항 개발제한구역 615
Ⅰ. 의  의 615
Ⅱ. 법적 성질 615
Ⅲ. 보  상 616
제2절 종  류 619
제1항 공물제한 619
제2항 부담제한 619
Ⅰ. 의  의 619
Ⅱ. 종  류 620
Ⅲ. 강제와 보상 621
제3항 사용제한(공용사용) 621
제4장 공용수용(물적 공용부담 2)
제1절 공용수용의 관념 624
제1항 공용수용의 개념 624
제2항 공용수용의 유형 626
제2절 공용수용의 당사자 627
제1항 공용수용의 주체 627
제2항 공용수용의 상대방 628
제3절 공용수용의 목적물 630
제1항 목적물의 종류ㆍ제한ㆍ범위 630
제2항 목적물의 확장 631
제4절 사업의 준비(토지수용의 경우를 중심으로 살피기로 한다) 632
제1항 출입의 허가 632
제2항 출입과 장해물의 제거 등 633
제5절 공용수용의 절차 635
제1항 사업의 인정 636
제2항 토지조서ㆍ물건조서, 보상계획 및 보상액의 산정 641
제3항 협  의 642
제4항 재  결 644
제5항 이의신청 650
제6항 행정소송 651
제6절 공용수용의 효과 653
제1항 손실의 보상 653
Ⅰ. 보상금의 지급과 보상협의회 653
Ⅱ. 손실보상의 일반원칙 655
Ⅲ. 보상액의 산정 658
Ⅳ. 손실보상의 종류ㆍ내용 659
제2항 대물적 효과 667
제7절 환 매 권 669
제1항 환매권의 관념 669
제2항 환매의 요건 672
제3항 환매의 절차 676
제4항 환매권에 관한 소송 679
제5장 공용환지·공용환권
제1절 공용환지 680
■참고 도시개발법상 수용 또는 사용 방식에 의한 사업 시행의 단계 680
제2절 공용환권 683
Ⅰ. 의  의 683
Ⅱ.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상 공용환권 683

제7편 토지행정법
제1장 일 반 론
제1절 토지행정법의 관념 692
제1항 토지행정법의 의의 692
제2항 토지공개념과 법원 692
제2절 토지행정법상 행위형식 694
제3절 토지행정작용의 주요내용 695

제2장 국토의 계획
제1절 국토계획 698
제1항 국토계획의 개념 698
제2항 국토계획의 수립과 추진 699
제3항 국토조사와 국회보고 700
제2절 도시ㆍ군계획 701
제1항 도시ㆍ군계획의 관념 701
제2항 도시ㆍ군기본계획 702
제3항 도시ㆍ군관리계획 703
제4항 지구단위계획 705
제5항 용도지역ㆍ용도지구ㆍ용도구역 706
제6항 개발제한구역 708
제3장 국토의 이용질서
제1절 개발행위 714
제1항 개발행위의 허가와 그 제한 714
제2항 개발행위의 실효성확보 715
제3항 개발이익의 환수(개발부담금) 717
제2절 토지거래계약허가제 720
제1항 허가구역의 지정 720
제2항 토지거래계약의 허가 722
Ⅰ. 토지거래계약허가제의 관념 722
Ⅱ. 토지거래계약허가제의 합헌성 723
Ⅲ. 토지거래계약의 허가 723
Ⅳ. 이해당사자의 보호 726
Ⅴ. 무허가거래에 대한 제재 727
■참고 토지거래계약허가위반의 발생원인 727
Ⅵ. 선  매 728
제3절 부동산 가격의 공시 729
제1항 지가의 공시 729
Ⅰ. 표준지공시지가 729
Ⅱ. 개별공시지가 732
제2항 주택가격의 공시 736
Ⅰ. 표준주택가격의 공시 736
Ⅱ. 개별주택가격의 공시 737
Ⅲ. 공동주택가격의 공시 738
제3항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와 감정평가사 739
Ⅰ.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739
Ⅱ. 감정평가사·감정평가법인 739
제4절 건축물의 건축과 관리 740
Ⅰ. 일 반 론 740
Ⅱ. 건축물의 건축 740
Ⅲ. 건축물의 유지와 관리 743
Ⅳ. 위반 건축물 등에 대한 조치 743

제8편 경제행정법
제1장 일 반 론
제1절 경제행정법의 관념 748
제1항 경제행정법의 의의 748
제2항 경제행정법의 목적 749
제2절 경제행정법의 헌법적 기초 750
제1항 민주주의원리와 경제행정 751
제2항 법치국가원리와 경제행정 752
제3항 사회복지국가원리와 경제행정 757
제3절 경제행정조직법 759
제1항 국가의 경제행정조직 759
제2항 기타의 경제행정조직 761
제2장 경제행정의 임무
제1절 경제의 감독 769
제1항 경제감독의 관념 769
제2항 경제감독의 수단 770
Ⅰ. 수단의 개관 770
Ⅱ. 감독수단으로서 명령ㆍ금지 772
Ⅲ. 감독수단으로서 시설상 일정한 수준의 요구 777
Ⅳ. 기타 수단 777
Ⅴ. 경제영역별 경제감독수단 778
Ⅵ. 경제에 대한 규제의 완화 778
제2절 경제의 지도 779
제1항 경제지도의 관념 779
제2항 직접적 지도수단 781
Ⅰ. 일 반 론 781
Ⅱ. 개별수단의 검토 782
Ⅲ. 물가안정에 관한 법률 784
제3항 간접적 지도수단 785
Ⅰ. 경기조종(총괄적 수단) 785
Ⅱ. 투자의 통제 786
Ⅲ. 기타의 수단 786
제4항 수단의 선택과 통제 787
제3절 경제의 촉진 789
제1항 경제촉진의 관념 789
제2항 교부지원(조성행정) 791
Ⅰ. 교부지원의 의의 791
Ⅱ. 보 조 금 793
Ⅲ. 보조금 외 급부교부지원 798
Ⅳ. 감면교부지원 799
Ⅴ. 기타 경제촉진수단 799
제3장 경제행정의 행위형식
제1절 공법형식과 사법형식 801
제1항 공법과 사법의 구분 801
제2항 행정주체의 사법적 경제활동 803
Ⅰ. 국고이론 803
Ⅱ. 사법적 경제활동의 관념과 문제상황 804
Ⅲ. 사법적 경제활동의 유형 805
제3항 국가의 독점과 국공유화 809
Ⅰ. 국가의 독점 809
Ⅱ. 기업의 국공유화 810
제2절 불확정법개념과 재량조항(경제행정의 자유와 구속) 812
제1항 불확정법개념 812
제2항 재량조항 815
제3절 행위형식개관 818
제1항 행정입법 818
Ⅰ. 법규명령 818
Ⅱ. 행정규칙과 특별명령 819
Ⅲ. 자치법규 820
제2항 행정계획 820
Ⅰ. 계획의 종류 820
Ⅱ. 계획의 신뢰 821
Ⅲ. 사법적 통제 823
Ⅳ. 경제계획 823
제3항 행정행위 825
Ⅰ. 관  념 825
Ⅱ. 경제행정법상 행위의 적법성 826
Ⅲ. 부  관 827
Ⅳ. 제3자효 있는 행정행위 828
Ⅴ. 확  언 830
제4항 공법상 계약 831
제4장 실효성확보와 권리보호
제1절 실효성확보 833
제1항 관  념 833
제2항 영업의 금지 833
제2절 권리보호 834
제1항 경제행정과 헌법소송 834
제2항 경제행정과 행정소송 836
Ⅰ. 행정소송의 기능 836
Ⅱ. 행정소송의 한계 837

제9편 기 타
제1장 사회행정법(사회복지행정법)
제1항 일 반 론 842
Ⅰ. 사회의 안전(사회행정의 목표) 842
Ⅱ. 사회행정법 843
제2항 사회적 약자의 보호(공적 부조) 845
Ⅰ. 입법상황 845
Ⅱ. 아동ㆍ청소년의 보호ㆍ복지 846
Ⅲ. 부녀자의 보호ㆍ복지 848
Ⅳ. 노인의 보호ㆍ복지 851
Ⅴ. 장애인의 보호ㆍ복지 852
Ⅵ. 저소득층의 보호 853
제3항 사회보험제도 854
Ⅰ. 국민연금제도 855
Ⅱ. 국민건강보험제도 856
Ⅲ.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858
Ⅳ. 고용보험제도 859
제4항 특별원호 860
제2장 교육행정법
제1항 일 반 론 861
Ⅰ. 교육행정의 성격 861
Ⅱ. 교육행정법 861
Ⅲ. 교육행정의 행위형식ㆍ교부지원 863
Ⅳ. 교육행정기관 864
제2항 학교교육 864
Ⅰ. 초ㆍ중등교육 864
■참고판례 국공립학교 교원과 사립학교 교원의 징계소송의 차이 867
Ⅱ. 고등교육 870
Ⅲ. 학원의 민주화 872
제3항 평생교육 873
제4항 학술진흥 874

제3장 문화행정법
제1항 일 반 론 876
제2항 저작권과 공연권 877
Ⅰ. 저 작 권 877
Ⅱ. 공 연 권 881
제3항 신문ㆍ방송ㆍ정기간행물 883
Ⅰ. 헌법과 언론ㆍ출판의 자유 883
Ⅱ. 신  문 884
Ⅲ. 방  송 886
Ⅳ. 잡  지 887
제4항 문화재의 보존 888
Ⅰ. 문화재의 종류와 관리(일반론) 888
Ⅱ. 개별문화재의 보존 890
제4장 환경행정법
제1절 일 반 론 891
제1항 환경과 환경정책 891
제2항 환경행정법의 관념 894
제3항 환경행정법상 행위형식 897
Ⅰ. 침해행위 897
Ⅱ. 급부행위 898
Ⅲ. 계획행위 898
Ⅳ. 환경영향평가 899
Ⅴ. 환경공과금 904
Ⅵ. 비정식적 행정작용(경고와 지도) 905
Ⅶ. 환경정보 905
제4항 권리보호와 환경분쟁조정 906
Ⅰ. 권리보호 906
Ⅱ. 환경분쟁조정 907
제2절 영역별 환경행정 909
제1항 자연환경의 보전과 야생 동ㆍ식물의 보호 909
제2항 물의 보호(수질환경보전과 해양오염방지) 915
제3항 공기의 보호(대기환경보전과 오존층보호) 916
제4항 위험물질로부터의 보호(유해물질 및 폐기물의 관리) 917
제5항 소리의 규제(소음과 진동의 규제) 920
Ⅰ. 의  의 920
Ⅱ. 대상별 규제의 내용 920
제5장 재무행정법
제1절 일 반 론 924
제1항 재무행정(재정) 924
제2항 재무행정법(재정법) 925
제3항 재정작용 927
Ⅰ. 재정권력작용 927
Ⅱ. 재정관리작용 931
제2절 회  계 932
제1항 일 반 론 932
Ⅰ. 회  계 932
Ⅱ. 회 계 법 932
제2항 현금회계 933
Ⅰ. 일 반 론 933
Ⅱ. 예  산 934
제3항 채권회계 940
Ⅰ. 관  념 940
Ⅱ. 채권의 관리 940
제4항 동산회계(물품관리) 941
Ⅰ. 관  념 941
Ⅱ. 물품의 관리 942
제5항 부동산회계 943
Ⅰ. 관  념 943
Ⅱ. 국유재산 944
■참고 국유재산법ㆍ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상 관리위탁계약의 특수성 946
제3절 조  세 951
제1항 일 반 론 951
Ⅰ. 조세와 법 951
Ⅱ. 조세법의 기본원칙 952
Ⅲ. 조세의 관념 955
제2항 조세의 부과ㆍ징수와 납세의무의 소멸 958
Ⅰ. 조세의 부과 958
Ⅱ. 조세의 징수 961
Ⅲ. 강제징수의 절차 962
Ⅳ. 납세의무의 소멸 967
제3항 조세행정상 권리보호 969
Ⅰ. 행정쟁송(행정심판과 행정소송) 969
Ⅱ. 과오납반환청구 973
제6장 군사행정법
제1절 일 반 론 975
제1항 국가의 안전보장 975
제2항 군사행정의 관념 976
제3항 군사행정에 대한 헌법상 원칙 977
제2절 군사행정조직법 979
제1항 행정조직 979
Ⅰ. 대통령과 소속기관 979
Ⅱ. 국무회의 980
Ⅲ. 국무총리 981
Ⅳ. 국방부장관과 소속기관 981
제2항 군공무원 982
제3절 군사행정작용법 985
제1항 일 반 론 985
제2항 병  역 985
Ⅰ. 일 반 론 985
Ⅱ. 현역복무 등 987
Ⅲ. 보충역복무 988
Ⅳ. 소  집 990
제3항 군사부담 991
Ⅰ. 징  발 992
Ⅱ. 군사제한 994
제4항 비상사태와 군사행정 995
Ⅰ. 긴급명령 995
Ⅱ. 계  엄 996

사항색인 99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