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내가 달라져야 세상과 교육이 달라진다

내가 달라져야 세상과 교육이 달라진다

  • 윤순경
  • |
  • 교육과학사
  • |
  • 2019-02-28 출간
  • |
  • 334페이지
  • |
  • 152 X 224
  • |
  • ISBN 9788925413617
판매가

14,000원

즉시할인가

13,86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86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나는 수업이 무언가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배움의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내 수업을 통해 우리 학생들이 배움의 즐거움을 경험하길 바라는 것이 내 수업의 목표 중 하나이다. 학기 말에 실시하는 강의 평가 결과가 상당히 높은 것에 비추어 볼 때 그 목표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것 같아서 마음이 조금은 가볍다. 내가 좋아하고 우리 학생들이 좋아해 준 사회문화적 관점에 기초한 나의 수업 과정을 이 책에서 하나씩 공유하면서 이 관점으로 교육과 세상, 그리고 자신을 지속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공감대를 독자들과 갖고 싶다. 




목차

┃저자 서문┃3

┃들어가며 : 나의 수업 구성┃12

 

제1부 왜 나는 학습관 혹은 삶의 관점을 강조하는가? 21

1.1. 현존하는 세 가지 학습관/세상을 보는 관점 23

1.1.1. 학습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 25

1.1.2. 학습에 대한 철학적 관점 30

1.1.3. 학습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 37

1.2. 절충이 아닌 자신의 관점 찾기 43

1.2.1. 삶의 방향으로써의 관점 45

1.2.2. 삶의 뿌리로써의 관점 48

1.2.3. 이론과 삶을 연결시켜주는 관점 52

1.2.4. 관점에 따라 교육과 세상이 달리 보인다 54

1.2.5. 관점은 강요가 아닌 치열한 고민의 결과이다 59

1.2.6. 사회문화적 관점과 구성주의의 차이 62

 

제2부 왜 사회문화적 관점인가? 69

2.1. 포스트모더니즘 75

2.1.1. 관심사: 다원주의의 이면에 초점 75

2.1.2. 포스트모더니즘 특징: 세상에 중립은 없다 78

2.1.3. 핵심어(1): 권력 82

2.1.4. 핵심어(2): 갈등 84

2.1.5. 핵심어(3): 비판적 사고 86

2.1.6. 핵심어(4): 정체성 89

2.2. 상황 학습 92

2.2.1. 이론이 아닌 학습을 이해하는 관점 92

2.2.2. 핵심어(1): 합법적 주변 참여 96

2.2.3. 핵심어(2): 실천 공동체 101

2.2.4. 핵심어(3): whole person 104

2.2.5. 학습의 의미: 삶의 모든 것이 학습이다 107

 

제3부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교육을 들여다보면? 111

3.1. 새롭게 보이는 학문의 정체성 113

3.1.1. 교육학: 사회 과학일 때 놓치는 것들 113

3.1.2. 교육 공학(1): 진보적 관점 115

3.1.3. 교육 공학(2): 기술보다 인문학적 사고 중시 118

3.1.4. 부모 교육학: 대상은 자녀가 아닌 부모 자신 123

3.1.5. 교육 심리학: 기준에서 자유로워지다 126

3.2. 주체자로서의 개인의 정체성 131

3.2.1. 정체성이 지식 습득의 허전함을 채워주다 131

3.2.2. ‘나’로 시작되는 질문들 133

3.2.3. 당위적인 논의 대신 ‘나’의 문제로 고민하기 136

3.2.4. 내 수업부터 바꾸기 138

3.2.5. 잦은 제도 변경 대신 ‘나’부터 바꾸자 140

3.2.6. 교육에 대한 이기심, ‘나’부터 성찰하자 144

3.2.7. 대학 교육을 통해 ‘나’를 알아가기 147

3.3. 관계 중심 수업 150

3.3.1. 내 수업에서 활용되는 세 가지 관계 유형 150

3.3.2. 대화를 통한 관계 맺기 152

3.3.3. 듣기의 중요성 155

3.3.4. 집단 지성의 경험: 월드 까페 157

3.3.5. 지속적 경험으로써의 질문 160

3.3.6. 지속적 경험으로써의 성찰 165

3.3.7. 사소한 성찰도 충분하다 167

3.4. 기존과 달리 보이는 교수법 170

3.4.1. 학습에 대한 고정 관념 깨기 170

3.4.2. 학습관에 따라 달라지는 수업 목표 173

3.4.3. ‘나’를 알아가는 과정을 학습 목표로 삼기 176

3.4.4. 교육 목표에 대한 고정 관념 깨기 178

3.4.5. 교수법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 내려놓기 181

3.4.6. 교수법 트랜드에 매몰되지 않기 184

3.4.7. 교수법, 개념이 아닌 목적에 초점을 두기 186

3.5. 학습자: 자신의 목소리를 주체적으로 내기 189

3.5.1. 학생이라는 호칭 대신 ◯◯씨 189

3.5.2. 학생은 스스로 변화하는 존재 191

3.5.3. 교수자가 아닌 학습자의 관심사로 논의하기 193

3.5.4. 전문가의 개념에 얽매이지 않기 195

3.5.5. 교수자에게 ‘아니요’라고 말하기 199

3.5.6. 비난이 아닌 비판적으로 사고하기 201

3.5.7. 학자의 주장이 아닌 자신의 견해를 말하기 204

3.6. 교수자: 권력을 내려놓고 배움을 논의하기 207

3.6.1. 교수자의 중립성에 대한 비판적 사고 207

3.6.2. 교수자의 사명감, 그 무게를 내려놓기 209

3.6.3. 강의 평가를 통해 학생들을 더 이해하기 211

3.6.4. 행복/고뇌/위안 등을 넘나드는 교수자 213

3.6.5. 지식이 아닌 배움을 학습자와 논의하기 216

3.6.6. 교수자로서의 정체성을 고민하기 218

3.6.7. 의무감 대신 배움에 집중하는 수업 제공 221

3.6.8. 지식 전달이 아닌 논의와 성찰의 수업 제공 224

3.6.9. 학습자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존중하기 227

3.6.10. 교육을 분류가 아닌 통합으로 이해하기 229

3.6.11. 연령에 따른 이분법적 사고 내려놓기 231

3.6.12. 학생을 미숙하다고 생각하지 않기 234

3.7. 교육과 사회는 분리가 아닌 함께 논의하기 237

3.7.1. 교과서의 중립성에 대한 비판적 사고 237

3.7.2. 초등교육의 기초 능력에 대한 비판적 사고 239

3.7.3. 체벌에 대한 비판적 사고 241

3.7.4. 이상향 대신 현실의 문제를 직시하기 243

3.7.5. 학교와 삶, 지식과 깨달음의 차이 246

3.7.6. 교실과 사회의 경계를 허물다 249

 

제4부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세상을 들여다보면? 253

4.1. 인내심 갖기 255

4.2. 죄책감 내려놓기 258

4.3. 자신의 위치에서 사회 정의를 위해 노력하기 261

4.4. 대학을 사회적 기준이 아닌 ‘교육 기관’으로만 보기 265

4.5. 삶의 어디에서나 필요한 비판적 사고를 갖기 268

4.6. 비판적 사고의 주체자 되기 270

4.7. 당위론적인 생각이 아닌 ‘나’의 문제로 고민하기 273

4.8. 과학 기술 발전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갖기 277

4.9. 인공 지능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갖기 280

4.10. 한 번에 하나씩 천천히 실천하기 282

4.11. 관점을 생활 속으로 끌어들이기 285

4.12. 인간에 대한 완벽함을 내려놓기 287

4.13. ‘나’의 삶 속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기 290

4.14. 생활 속 인터넷 기사들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갖기 293

4.15. 삶에서 느끼는 ‘당연함’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갖기 298

4.16. 분석과 공감 능력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 내려놓기 301

4.17. 아이를 있는 그대로 존중하기 305

4.18. 경쟁의 결과에 고정 관념을 덧붙이지 않기 309

4.19. 포기와 좌절 대신 용기와 실천하기 311

4.20.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 맺기 314

4.21. 생활 속의 사회 운동가 되기 317

4.22. 권력을 내려놓고 흔쾌히 잘못을 인정하기 320

4.23. 영상 매체를 보며 비판적 사고를 갖기 32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