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급변하는 현대 중국의 일상

급변하는 현대 중국의 일상

  • 장시
  • |
  • 살림
  • |
  • 2017-12-29 출간
  • |
  • 114페이지
  • |
  • 120 X 190 mm
  • |
  • ISBN 9788952238382
판매가

9,800원

즉시할인가

8,82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8,8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개혁개방의 바람을 타고
교통ㆍ통신ㆍIT 발달의 날개를 달고
경제대국의 롤러코스터를 탄 중국의 용트림!
급변하는 현대 중국의 일상을 들여다보다

ㆍ 한 줄 평
이 책은 한중문화 시리즈 총 3권, 즉『비슷하면서도 다른 한중문화』『급변하는 현대 중국의 일상』『중국의 한국 유학생들』로 기획된 콘셉트 중 제1권에 해당한다. 이 책은 현재 중국 시안음악대학(西安音樂學院) 기초학부에서 ‘중한문화교류사’를 강의하고 있는 장시(張西) 부교수가 같은 대학의 음악학과 리우린(柳琳) 강사와 공동으로 1978년 개혁개방 이후의 급변하는 중국의 현재 모습을 기술한 책이다. 중국은 비약적인 경제발전으로 G2 경제대국으로까지 치달아 ITㆍ스마트폰ㆍ인터넷 등으로 거의 모든 일상생활이 이뤄지고 의ㆍ식ㆍ주는 물론이고 교통수단도 최첨단으로 급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에 반하여 여전히 질서의식 수준 이 개선되지 않은 점과 가짜가 판치는 양심 미달의 의식수준을 지적하며 저자는 자국의 반성적 사고를 촉구한다.

ㆍ 출판사 리뷰

1978년 12월 덩샤오핑, 개혁개방으로 급변하는 중국을 주동하다
1978년 12월 덩샤오핑(鄧小平: 1904~1997)이 개혁개방정책을 주창한 이래 중국은 경제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현재에 이르렀다. 세계화 바람의 물꼬가 터지면서 중국 대중의 일상생활에도 커다란 변화의 물살이 요동을 쳤다. 개혁개방 이후 40년 동안 중국 국내총생산액은 80배에 달할 정도로 급속 발전하여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G2 대열에까지 올라섰다. 즐비한 초고층빌딩군, 인터넷의 발달, 고속철도ㆍ지하철ㆍ비행기와 같은 최첨단급 교통 수단의 발달 등은 중국인의 경제 수준 속도를 한층 빨리 끌어올렸다. 이러한 중국의 과속 경제 발달은 중국인의 생활 방식과 환경 변화에도 급물살을 타게 했다. 가시적인 가장 큰 변화는 자본주의 문화를 받아들임으로써 눈부신 경제발전을 이루었고 중국인들의 의식주는 풍족해졌으며, 최첨단의 ITㆍ인터넷ㆍ스마트폰 문화가 빠르게 일상생활에 침투했다. 미국의 경제를 위협할 정도로 거대 공룡이 되어 세계정세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펼치게 된 것이다.

인터넷 쇼핑광의 출현
‘마이, 마이, 마이 (買買買)’는 ‘사고, 사고, 또 산다’라는 말로 현재 중국인의 일상생활 속에서 매우 유행하고 있는 말이다. 경제발전으로 인해 구매력이 높아진 결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한국에 관광 가서 면세점의 상품을 거의 싹쓸이 구매하다시피 하는 것도 주로 중국 관광객이라는 점에서 볼 때 최근 중국인의 구매욕은 억제하기 힘든 것 같다. 급작스런 경제발전에 사회주의 이념은 엷어지고 자본주의 맛이 스며들면서 개인 소유가 자유로워짐에 따라 인터넷 구매 욕구 증후군들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타수족, 야도족, 광광족, 흘화족, 수장족, 습혜족 등 다양한 쇼핑광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들이 등장했는데, 그중 가장 심각한 쇼핑광은 타수족이다. 자기도 모르는 새에 인터넷 쇼핑을 많이 해서 청구서를 받으면 손을 자르고 싶을 정도로 그 증후가 심각한 쇼핑광을 일컫는다. 불과 20년 전의 중국과는 완전 딴판의 세상이 된 것이다. ITㆍ스마트폰ㆍ인터넷 발달 초기에는 최첨단 문화의 도전을 받고 적응하는데 두려움을 느꼈지만, 이제는 모든 생활 편의를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으로 해결함으로써 그들의 필요와 취향은 전 세계의 관심 대상이 되었다.

경제대국으로 가는 길목에서 부조리와 부정부패 극성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거대한 자본주의의 돈맛을 본 사람들이 돈을 벌어들이려는 데 혈안이 되어 양심 없는 행위를 일삼고 있다. 기상천외한 부조리로 국가적 위신이 실추되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 대표적인 불량식품 파동은 2008년 멜라민 분유 사건에서 비롯되었다. 이 분유를 먹어온 영유아들이 사망에 이르거나 신장 결석으로 병원에 입원하는 등 중국은 이 사건으로 큰 상처를 받았다. 그런데도 연이어 쓰레기 식용유, 쓰레기 웨빙(중국 대표적 명절 음식), 성장촉진제로 키운 돈육, 죽음을 부른 가짜 술 등의 부조리한 사건이 끊이지 않고 일어나 국가적 신용도가 크게 실추됐다. 그 외에도 부동산 투기 열풍으로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위화감은 극심해지고 부동산 난개발로 아무도 살지 않는 유령 아파트들이 속출하고 있기도 하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돈이 있거나 없거나 자동차를 개인이 소유하기가 힘들었는데, 국무원은 관용차량을 개인 용도로 과용하거나 나랏돈으로 흥청망청 사치와 향락을 즐기는 관행까지 생겨 부정부패가 극에 달하기도 했다. 이를 근절하기 위해 국가에서 대책을 세우고 있으나 그들이 곧 국무원이기 때문에 자신들의 이권을 쉽게 포기하기도 쉽지 않을 것이다. 이렇듯 아무리 혹독한 처벌을 해도 가짜와 사기가 판을 치고 부정부패가 난무하는 중국의 현재 모습이다. G2에 이를 정도로 경제대국 대열에 들어서 최첨단의 교통수단을 갖추었으나 여전히 새치기나 무질서가 바로 잡히지 않아 물질과 정신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본주의 물결의 과도기적 부작용을 고스란히 격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초고속 경제발전과 급변화된 일상의 일등공신은 스마트폰?인터넷 문화
10여 년 전만 하더라도 중국인의 생활 방식이나 가치관은 인터넷에 의해 충격과 도전을 받아왔다. 그런데 이제는 그와 반대로 중국 네티즌들의 폭발적인 요구와 습관, 사유 방식은전 세계의 온라인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바이두(百度: www.baidu.com), 텅순(騰訊: 중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무료 메신저, 텐센트 QQ) , 신랑(新浪: www.sina.com), 왕이(網易: 중국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온라인 게임 운영자, Netease) , 타오바오왕(淘寶網: 중국 최고 경매 사이트, world.taobao.com), 유쿠(優酷: 중국의 비디오 공유 사이트, www.youku.com), 서우후(搜狐: 중국의 주요 온라인 미디어, 통신, 상업 및 모바일 부가 서비스회사, Sohu.com Inc.), 톈야서치(天涯社區: www.tianya.cn) 등의 사이트는 중국의 집집마다 연계되어 있다. 인터넷을 통해 중국인은 인터넷 포털 사이트, 온라인서비스, 검색엔진, 동영상 감상, 인터넷 구매 등 여러 영역에서 중요한 고객의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인은 인터넷을 통해 세계 다른 나라와 많은 것을 공유하며, 경제적ㆍ문화적으로 수요와 공급의 중심축을 형성하여 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제 중국은 인터넷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나라가 된 것이다. 이제 중국은 이런 사이트나 메신저를 통해 모든 일상이 구현되고 있어 이를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은 일상에서 아웃당할(도태될) 위기감을 느낀다고 한다.

[책속으로 추가]

중국에서는 최대 명절인 춘제가 되면 고향을 떠난 가족들도 귀향해 온 가족이 모여 함께 보내는 것이 오랜 전통이다. 그런데 개혁개방 이후부터는 점점 그 민족대이동 숫자가 천문학적으로 늘어나,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문 ‘춘윈 현상’이 생겨나게 되었다.
최근 30년 이래 춘윈 대군은 약 1억 명에서 2015년에는 연인원 37억 명으로 늘어났다는 통계가 있다. 이는 아프리 카, 유럽, 미주, 대양주의 총인구가 한꺼번에 이동하는 수치에 해당되며 중국 전체 인구가 1년에 두 번씩 이동한 수치다. 이 엄청난 인구가 이동하는데 가장 큰 문제는 역시 교통수단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온갖 방법을 강구하고 있지만 여전히 만족스러운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 춘제 기간 표 한 장 구하는 것이 하늘의 별따기만큼이나 힘든 연례행사인 것이 중국의 현실이다. 워낙 대규모의 이동이라 관련된 많은 이야기와 사건이 따라 다닌다._56~57쪽
1956년 중국에서 생산한 최초의 자동차 ‘제팡 (解放)’을 필두로 ‘홍치(紅旗)’ ‘펑황(鳳凰)’ 승용차가 조립 생산되면서 중국 자동차공업 생산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사상ㆍ이념 문제로 인해 개인의 승용차는 자본주의의 상징이었다. 그래서 50년대에는 개인이 자동차를 소유하는 것은 매우 제한되었고 1966년 문화혁명 기간에는 완전히 금지되었다. 설사 공무를 위한 자동차라 할지라도 엄격히 등급에 따라서 안배되었다. 1970년대 말까지도 개인 자동차는 금지 대상이었다. 당시 중국의 승용차 가격은 국제시장의 3~4배에 달했다. 대다수 직장인의 월급이 40~50위안 하던 시절인데 안 먹고 안 쓰고 해도 반평생을 벌어도 차 한 대 못 사던 시절이었다.
1980년대 개혁개방 이후 비로소 개인 자동차 소유 금지 조항을 완화시키기 시작했다. 경제도 신속히 발전함에 따라 승용차에 대한 수요가 점차 강해지기 시작하면서 자동차 공업도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 당시 많은 외국의 자동차들이 중국 시장을 노크했다. 합작 생산의 형태로 푸조, 아우디, 폭스바겐, 혼다, 뷰익 등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 들어와 승용차는 점차 대중들의 일상생활 속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대도시에서는 전문가 그룹, 연예인 또는 연결 통로가 있는 사람들은 특별 허가를 받아 중국에 주재 중인 외국대사관에서 도태된 중고차를 샀다. 물건과 물건을 맞바꾸는 바터(barter) 무역형태로 동유럽에서 생산된 소형 승용차도 중국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이와 같이 자가용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중국 사회에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1994년 국무원은 「자동차공업 산업정책」을 발표해 개인들도 자동차를 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디어 승용차가 정식으로 일반 대중의 가정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오늘날에는 평균 3가구마다 차 1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 승용차 시장의 자가용 비율은 이미 83.2퍼센트에 이르고 있다._76~77쪽

오늘날 많은 사업체가 웨이보를 이용해 마케팅을 전개한 다. 중국에서 성공적인 케이스로 명성이 자자한 소위 ‘야수파 꽃가게(野?獸派花店)’를 들 수 있다. ‘야수파 꽃가게’는 실체적인 점포도 없고, 심지어는 타오바오 같은 인터넷 쇼핑몰에도 개설되어 있지 않고, 단지 웨이보상에서 몇 장의 선물용 화훼와 140글자로 된 간단한 소개가 전부다. 작년 12월부터 웨이보에 개통한 이래 지금까지 이 꽃가게는 이미 18만 명의 팔로우를 끌어들였으며, 심지어는 연예계의 유명 배우 들도 고객이라고 한다. 다른 꽃가게와 다른 점은 그들이 파는 것은 단지 꽃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손님들의 이야기를 귀담아 듣고, 그 이야기를 꽃다발로 표현해 매 꽃다발마다 풍부한 이야기가 깃들어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결혼기념일을 축하하는 이야기, 결혼 프로포즈를 하는 이야기, 부모님 건강에 관한 이야기, 몰래 사랑하는 남자 동료를 두고 얽히고 설킨 이야기…… 등등 행복하고 또는 가슴 아픈 이야기가 담긴 140글자는 읽는 사람들 마음의 청량제 역할을 한다._95~96쪽

웨이신은 텅쉰회사(텐센트)가 내놓은 스마트폰용 SNS앱이다. 한국의 카카오톡이나 네이버의 라인과 같은 성격이다.
현재 웨이신은 중국 SNS 사용자의 94퍼센트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여 개 나라에서 사용하며 20종 언어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2017년 현재 중국에서 약 8억 7천만 명이 사용 하고 있다고 한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이제는 웨이신을 사용 못하면 아예 아웃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친구와의 연락, 소식 전파, 정보 획득, 물건 구매, 기차표 예매 등 이 모든 것들이 단지 수 분 안에 해결된다. 만약 웨이신이나 인터넷의 존재가 없다면 어떻게 살아야 할지 의구심이 들 정도다. 이론적으로 웨이신에서 새로운 서비스 항목이 제공되면 전통인 오프라인의 업무 하나가 사라진다는 것이 된다. 스마트 폰을 들고 웨이신에 투입하는 시간이 갈수록 많아지면서 책읽기, 일반 업무, 연구 시간 등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오늘날 혹시 우리는 너무 웨이신의 마력에 취해 전통적인 전문가 능력을 상실해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그 결과 사람들의 두뇌가 퇴보하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마저 생긴다._97~98쪽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