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봉우 선생의 선 이야기 1

봉우 선생의 선 이야기 1

  • 권태훈
  • |
  • 책미래
  • |
  • 2017-08-10 출간
  • |
  • 1184페이지
  • |
  • 165 X 235 X 55 mm /1867g
  • |
  • ISBN 9791185134406
판매가

50,000원

즉시할인가

4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5,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선도의 중흥조, 봉우 권태훈 선생의 어록!

이 책은 봉우(鳳宇) 권태훈(權泰勳: 1900~1994) 선생의 강연, 대담들을 기록한 어록(語錄)이다.

봉우 권태훈 선생은 한국 현대 정신사에 매우 특이한 자취를 남기신 분으로서, 1984년 소설[단(丹)]의 실제 주인공으로 등장한 뒤 선풍적인 인심의 주목을 받아 당시 정신문화계에 ‘단 열풍’을 몰고 올 정도로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봉우 선생의 자전적(自傳的) 구술을 소설 형식으로 담아낸 [단]이 출간 후 수십만 권이 팔리는 베스트셀러가 될 정도로 폭발적인 대중의 반응을 받은 배경에는 봉우 선생의 이야기가 담고 있는 우리 민족만의 고유한 정서, 역사, 사상 등이 자리했는데, 이를 일러 ‘봉우 선생의 仙 이야기’라 부르기로 한다.
봉우 선생은 1980년대 한국지성사에서 자취를 감춘 우리 정신의 가장 깊숙한 원형인 선도(仙道) 사상을 이야기로 풀어내 대중에게 다시금 전해준 뛰어난 설화자(說話者)이자, 사상가였으며, 당대의 선인(仙人)이었다.

1980년대 한국 사회는 1960년대 이후 20년간의 산업화 매진으로 경제적 부(富)를 획득하여 해방 이후의 절대적 가난으로부터 벗어났으나, 상대적으로 정신문화가 피폐해지면서 주변 열강들에 둘러싸인 지정학 위치에서 오는 사대주의의 만연(漫然), 개인적, 사회적 자아(自我)의 상실, 외세에 의한 식민사관의 청산 부재 등 사회, 국가적 문제들이 속출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때 등장한 봉우 선생의 첫 말씀은 ‘우리의 조상을 알자’ ‘우리의 뿌리와 사상을 알자’였다. 우리가 일본의 노예생활을 겪었고, 외세에 의한 민족분단으로 민족적 자긍심을 가질 수 없는 암울한 상황에 빠져 있으나, 우리의 조상은 원래 위대했고, 강성했으며, 찬란한 문화를 창조했던 민족이었다는 것이다.
봉우 선생은 이야기로만 그치는 게 아니라, 1986년 민족전통 정신수련단체인 ‘한국단학회 연정원(硏精院)’을 설립하여 우리 조상들의 뿌리사상인 단군선도(檀君仙道)의 보급에 나섰으며, 여기서 민족선도의 핵심 경전인 [천부경(天符經)], [삼일신고(三一神誥)] 등의 요체(要諦)와 잃어버린 우리 민족의 참역사, 참나를 찾는 조상들의 고유한 정신수련법과 육체단련법 등을 수많은 강연과 [백두산족에게 고함], [천부경의 비밀과 백두산족 문화], [민족비전 정신수련법] 등 관련 도서 출판을 통해 세상에 알렸다.

이 책은 이렇듯 소설 [단] 이후 1985년에서 1990년까지의 봉우 선생 강연 및 대담들을 녹취하고 각주를 붙여, 한국의 1980년대 문화지평에 홀연히 등장, 정신계에 지각변동을 일으킨 봉우 권태훈 선생의 삶과 사상을 이해하는 구술 자료로 만들어졌다.

목차

책을 펴내며
01.1985.03.09-유관순기념관 단학 강연회 1
02.1985.03.09-유관순기념관 단학 강연회 2
03.1985.05.01-KBS 제5차 강연회(야외 강연)
04.1985.04.16-통일연수원 특강
05.1986.05.28-단학 공부의 민족사적 당위성
06.1986.06.09-여해관(서울) 개관식 기념사
07.1986.-학인들과의 대담 A
08.1986.05.20-중부교육구청 강연 2(법분16계)
09.1986. 05.-중부교육구청 강연 6
10.1986.-봉우 선생님 육통해(六通解) 특강
11.1987.10.30-연정원 중급 회원 특강
12.1988.05.21-단학대학 《천부경》 강의 A
13.1988.05.21-단학대학 《천부경》 강의 B
14.1988.01.23-단학대학 개강식 축사
15.1988.07.09-단학대학 《천부경》 2차 강의
16.1988.08.02-단학대학 졸업식 축사
17.1988.04.27-상고사(上古史) 대담(1) A B
18.1988.07.23-계룡산 하계수련회 질의응답
19.1988.-계룡산 하계수련회 특강
20.1988.05.21-단학대학 특강
21.1988.09.14-학인 대담(오행연기법, 도인법)
22.1988.09.-학인 대담 2
23.1988.09.-봉우 선생님 대담 3(연보작성)
24.1989.03.27-《심경(心經)》 강의 및 〈원상(原象)〉 해설
25.1989.05.28-특강 A B
26.1989.07.10-계룡산 하계수련회 특강 A
27.1989.07.10-계룡산 하계수련회 특강 B(질의응답)
28.1989.11. 23-중급 특강 A
29.1989.11.23-중급 특강 B(천부경)
30.1989.04.17-연정원 62기 회원 특강
31.1989.-학인 대담(백두산족에 대한 설명)
32.1989.02.11-서울연정원 창립 3주년 특강
33.1989.01.-《천부경》 대담 1
34.1989.01.-《천부경》 대담 2
35.1989.01.-천문 대담 1
36.1989.01.-천문 대담 2 7
37.1989.01.-천문 대담 3 0
38.1990.07.22~25-계룡산 하계수련회 학인 대담 6
39.1990.10.19-중급 특강 A B 1

저자소개

저자 권태훈(權泰勳: 1900~1994)은 1900년 음력 정월 20일 서울 재동(齋洞) 출생. 부친은 당시 대한제국 내부 판적국장 취음(翠陰) 권중면(權重冕), 모친은 절충장군 상호(商浩)의 따님이신 숙부인(淑夫人) 경주 김씨였다. 6세에 어머님께 민족고유정신수련법 조식법을 배웠다. 8세에 사서삼경 등 한학의 기본 경서들을 모두 이수함. 1909년(10세) 서울 종로 마동(麻洞) 단군교(현 대종교) 포교당에서 도사교(都司敎) 나철(羅喆) 선생을 뵙고 가르침을 받아 입교. 1912년(13세) 민족선도계의 스승이신 김일송(金一松) 선생을 충북 영동에서 처음 만나 뵘. 1913년(14세) 영남 유림의 거두이신 면우(?宇) 곽종석(郭鍾錫) 선생을 찾아 뵘. 1914년(15세) 일본에서 태영도(太靈道)의 전중수평(田中水平), 최면술의 대가 전궁형(田宮馨), 고옥철석(古屋鐵石), 일본정신계의 태두였던 원선불(原仙佛), 제자 목원귀불(木原鬼佛)을 만나 일본 정신수련계를 견학. 1918년(19세) 황해도 구월산에 입산, 일송 스승님의 지도하에 정신수련. 1919년(20세) 만주에 들어가 북로군정서의 김규식 장군 휘하에서 무장독립투쟁 시작. 1924년(25세) 정신수련 중 깨달은 자신의 전생을 찾아 중국 산동성 주가장(朱家莊) 방문, 확인. 이후 나부산(羅浮山)에서 당대 중국의 전설적인 신선 왕진인(王眞人) 친견. 1929년(30세) 3차 중국행. 당시 외교부장 왕정정(王正廷)을 비롯 오조추(伍朝樞), 고유균(顧維鈞), 풍옥상(馮玉祥), 녹종상(鹿鍾祥), 원극문(袁克文) 등 정치인들과 교유. 중국의 전통정신수련제도인 [천일선(千日禪)]을 참관함. 1948년 계룡산 삼불봉 아래 석굴에서 동지들을 규합, 합동수련. 처음으로 [용산 연정원(硏精院)]이라 명명함. 김구 선생 영도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 및 계룡산특별당부위원장을 맡음. 1964년 상경, 한의원 개업. 1982년 민족종교 대종교 제12대 총전교 취임. 1984년 소설 [단(丹)] 출간. 봉우 선생님의 구술을 소재로 작가 김정빈이 지은 이 소설은 수십만 부가 팔리는 당시 초베스트셀러였다. 1986년 사단법인 유도회(儒道會) 이사장, 한국단학회 연정원 총재에 취임. 1989년 수필집 [백두산족에게 고함] 출간, 구술 및 감수 [천부경의 비밀과 백두산족문화] 출간. 1990년 백두산 천지에서 천제(天祭) 봉행. 1992년 구술 및 감수 [민족비전 정신수련법] 출간. 1994년 양력 5월 16일 오전 계룡산 상신리 자택에서 환원(還元).

관련 도서: [세상 속으로 뛰어든 신선], [봉우일기], [봉우선인의 정신세계], [선도공부]

도서소개

『봉우 선생의 선 이야기』 제1권은 봉우(鳳宇) 권태훈(權泰勳: 1900~1994) 선생의 강연, 대담들을 기록한 어록(語錄)이다. 소설 [단] 이후 1985년에서 1990년까지의 봉우 선생 강연 및 대담들을 녹취하고 각주를 붙여, 한국의 1980년대 문화지평에 홀연히 등장, 정신계에 지각변동을 일으킨 봉우 권태훈 선생의 삶과 사상을 이해하는 구술 자료로 만들어졌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