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함윤수 시선집

함윤수 시선집

  • 함윤수
  • |
  • 문예바다
  • |
  • 2017-05-12 출간
  • |
  • 244페이지
  • |
  • 153 X 217 X 20 mm /452g
  • |
  • ISBN 9791161150048
판매가

12,000원

즉시할인가

10,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0,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앵무새
不死(불사)의 偶像(우상) ………… 37
앵무새 ………… 38
별 ………… 39
꿈 ………… 40
그의 마음 ………… 41
츄-? ………… 42
水仙花(수선화) ………… 43
病床(병상)에서 ………… 44
無題(무제) ………… 45
너구리같은 女人 ………… 46
달 1 ………… 47
달 2 ………… 48
바닷가 ………… 49
박 ………… 50

은화식물지
祝宴(축연) …………… 55
時間(시간) …………… 56
밤 …………… 57
꿈 …………… 58
暗影(암영) …………… 59
歷史(역사) …………… 60
復讐(복수)의 女神(여신) …………… 61
聖餐(성찬) …………… 62
葬送曲(장송곡) …………… 63
偶像(우상) …………… 64
薔微(장미) …………… 65
水仙花(수선화) …………… 66

사향묘
I

腐爛(부란) …………… 71
거머리 …………… 72
鼠公(서공) …………… 73
花粉(화분) …………… 74
밤 …………… 75
無名指(무명지) …………… 76
??(희화) …………… 77
包圍(포위)된 太陽(태양) …………… 78
自動人形(자동인형) …………… 79

II

距離(거리) …………… 83
原罪(원죄) …………… 84
花蛇(화사) …………… 85
女人(여인) …………… 86
?泄(비설) …………… 87
月見草(월견초) …………… 88

III

눈동자 …………… 91
除夜(제야) …………… 92
그리움 …………… 93
黃昏(황혼)의 노래 …………… 94
이슬진 두볼 …………… 95

IV

흰곰 …………… 99
歌人(가인) …………… 102
공포의 역사 …………… 103

後記(후기) …………… 106

咸允洙 詩選 1965

I

亡命地帶(망명지대)ㆍ1959 …………… 113
神話(신화)ㆍ1960 …………… 114
迷路(미로)ㆍ1961 …………… 115
손톱ㆍ1961 …………… 116
落葉(낙엽)ㆍ1963 …………… 117
食人種(식인종)ㆍ1963 …………… 118
不渡手票(부도수표)ㆍ1963 …………… 119
交叉路(교차로)ㆍ1964 …………… 120
無許可(무허가) 建築(건축)ㆍ1964 …………… 121
平行線(평행선)ㆍ1964 …………… 122
候鳥(후조)ㆍ1964 …………… 123
늑대ㆍ1964 …………… 124

II

歷史(역사)ㆍ1940 …………… 127
밤ㆍ1940 …………… 128
검은 그림자ㆍ1940 …………… 129
夜宴(야연)ㆍ1940 …………… 130
時間(시간)ㆍ1940 …………… 131
以上(이상) 『隱花植物誌(은화식물지)』에서

거머리ㆍ1951 …………… 132
鼠族(서족)ㆍ1952 …………… 133
살무사ㆍ1953 …………… 134
包圍(포위)된 太陽(태양)ㆍ1957 …………… 135
以上(이상) 『麝香猫(사향묘)』에서

III

그리움 1ㆍ1938 …………… 139
그의 마음ㆍ1938 …………… 140
바닷가ㆍ1938 …………… 141
病床(병상)ㆍ1938 …………… 142
앵무새ㆍ1938 …………… 143
不死(불사)의 偶像(우상)ㆍ1938 …………… 144
枯葉(고엽)ㆍ1938 …………… 145
츄립ㆍ1938 …………… 146
以上(이상) 『앵무새』에서

수선화ㆍ1970 …………… 147
『隱花植物誌(은화식물지)』에서

그리움 2ㆍ1938 …………… 148
황혼의 노래ㆍ1953 …………… 149
이슬진 두 볼ㆍ1976 …………… 150
눈 瞳子(동자)ㆍ1978 …………… 151
以上(이상) 『麝香猫(사향묘)』에서

시론 遺稿
현대시의 본질 -함윤수 …………… 155

함윤수 시평
『문학의 논리』 중에서-임하 …………… 201
함윤수 시 거머리에 대하여-박인환 …………… 203
함윤수 시선 1965 발문-유정 …………… 204

상징의 언어 이면의 현실 이해를 찾아서
―함윤수의 시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 ㆍ장경렬 …………… 210

함윤수 주요연보 …………… 237

함윤수의 문학과 삶 -오영숙 …………… 238

저자소개

저자 함윤수(1916~1985)는 현대시인. 함경북도 경성 출생. 호는 목운(牧雲). 1941년 니혼대학(日本大學) 예술과 졸업. 1951년 월남하여 상명여자고등학교 교사, 청주대학 강사를 역임하였으며 출판사를 경영하였다.

1938년 《맥》 창립동인에 참가하여, 시 〈앵무새〉(매1호, 1938.6.) · 〈유성(流星)〉(맥1호 1938.6.) · 〈너구리 같은 여인〉(맥2호, 1938.10.) 〈말 못하는 앵무새〉(맥3호 1938.10.) 등을 발표하였다. 이 무렵에 시집 《앵무새》(三文社, 1939) · 〈은화식물지(隱花植物誌)〉(奬學社, 1940) 등의 시집을 내어 왕성한 창작의욕을 보여주었다. 광복 후에도 작품활동을 계속하여, 시 〈부취(腐臭)〉(文藝, 1953. 송년호) · 〈기원〉(新天地, 1957.7.) · 〈여인〉(思想界, 1955.8.) · 〈눈으로 말하고〉(文學藝術, 1955.10.) 등을 발표하였다.

그의 작품은 인생의 허무와 어둠을 극복하려고 하는 꿈과 빛에의 의지를 추구하였다. 그밖에 제3시집 《사향묘(麝香猫)》(中央文化社, 1958) · 《함윤수시선(咸允洙詩選)》(中央文化社, 1965)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함윤수 [咸允洙]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한국사전연구사)

도서소개

인터넷을 검색해 보면, 시인 함윤수咸允洙(1916-1984)에 대한 정보는 극히 제한되어 있다. 호는 목운牧雲이며, 1916년 4월 1일 함경북도 경성에서 출생했다는 점, 일본 도쿄 소재의 니혼[日本]대학 예술과를 졸업했다는 점, 1938년 시 동인지 『맥』을 통해 「앵무새」와 「유성」으로 등단하고, 네 권의 시집― 『앵무새』(1939), 『은화식물지隱花植物誌』(1940), 『사향묘麝香?』(1958), 『함윤수 시선』(1965) ―을 출간했다는 점 등이 알려져 있을 뿐이다.2) 그의 작품 가운데 인터넷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수선화」 정도이고, 「화분花粉」이 신문의 칼럼을 통해 두어 군데 소개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시집 『앵무새』에 수록된 작품 「츄?」에 대한 임화의 짤막한 비판과 『사향묘』에 수록된 작품 「거머리」에 대한 박인환의 한층 더 짤막한 찬사가 단편적으로 소개되어 있을 뿐이다. 요컨대, 시인 함윤수는 우리에게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하지만 국회도서관의 자료를 확인해 보면 함윤수는 1975년 『월간문학』 제8권 제9호에 「나락奈落의 향연」을 발표하는 등 비교적 최근에 이르기까지 작품 활동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이처럼 잘 알려지지 않은 시인으로 남아 있는 이유는 무엇보다 오랜 세월 시작 활동을 했지만 남긴 작품의 수가 극히 적다는 데 있을 수도 있고, 문단의 주된 흐름이나 시류時流에 비켜서서 작품 활동을 했다는 데 있을 수도 있다. 그 이유가 어디에 있든, 『함윤수 시선』의 발문跋文3) 에 해당하는 글에서 시인 유정柳呈이 주목했듯, 함윤수는 “짧지 않은 세월”을 “애오라지 ‘영성靈性의 밀실密室을 찾아든 새하얀 앵무새’처럼 자기시미自己詩美의 세계를 파고”든 시인이자 “외부의 시적 유행 사조엔 전연 아랑곳없이 ‘내 영성의 밀실’을 추구한” 시인이었다. 그리하여 함윤수의 시 세계에서는 “달리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하고도 기이한 탐미眈美의 짙은 향취香臭”를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이 유정의 판단이다. 이는 과작寡作이라 하지 않을 수 없는 함윤수의 작품 세계를 훑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동의하지 않을 수 없는 지적일 것이다.
이처럼 함윤수는 “독특하고도 기이한 탐미의 짙은 향취”를 담은 시 세계를 펼쳐 보였지만, 이에 합당한 문단의 주목을 받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함윤수의 시 세계는 늦었지만 새롭게 조명해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시인이 문단에서 받았던 얼마 안 되는 주목조차 상반된 것이라는 점도 유의하지 않을 수 없다. 앞서 밝혔듯, 임화와 박인환은 함윤수의 시에 대해 짤막한 비평적 평가를 내린 바 있다. 문제는 양자의 판단이 극명하게 대비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임화는 「츄?」을 예로 들어 함윤수의 시에는 “기교주의에의 모방, 그중에서도 일시 우리 시단에 전파되었던 말초화末梢化된 기교시파의 역력한 각인이 남아” 있다고 진단하면서, “[기교주의를] 모방하려는 심리 가운덴 시를 주로 언어의 색채로 장식하려는 습성이 뿌리 깊이 박혀” 있음을, “이것은 시적 정신의 극도의 빈곤의 전형적 표현”이자 “허식虛飾의 감정, 사치의 정신의 우회된 표현”임을 지적한다.4)
한편, 박인환은 「거머리」를 예로 들어 “상징화된 형식으로 한국의 현실과 그의 심경을 표현하고 있다”는 진단과 함께, “시인의 슬픔과 인생의 애수[를] 간략한 몇 줄로써 이렇게 노래할 수 있다는 것은 이 시인이 얼마나 실력이 훌륭하다는 것을 좌기左記하는 것”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5)
물론 임화와 박인환은 문학적 입장이 서로 다르다는 점과 논의 대상이 된 작품이 10여 년 이상의 시간적 간격을 두고 창작된 것이라는 점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유정이 지적한 바와 같이 함윤수의 시 세계는 세월의 변화와 크게 관계없이 여일한 경향을 보였다는 점에서 보면, 이처럼 의견이 극단으로 나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가 함윤수의 시 세계를 새삼스레 검토해 보고자 함은 이 때문이다. 이어지는 앞으로의 논의는 함윤수의 네 권 시집에 수록된 작품 가운데 특히 주목할 만한 작품을 한두 편씩 뽑아 이를 조명하는 데 바치기로 한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