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리말 맛으로 읽는 중국 현대사
1장 중국 요리란 무엇인가
중국 요리와 중화 요리
‘문화혁명의 맛’
요리에 깃든 해체와 융합의 중국사
중국 요리의 여러 얼굴
2장 루쉰이 본 베이징의 음식 풍경
루쉰, 베이징을 밟다
1912년 베이징의 뒷골목 풍경
경극 스타 메이란팡이 즐긴 맛
동래순, 베이징 명문 음식점의 탄생
루쉰의 음식, 마오쩌둥의 음식
3장 제국의 통치술과 궁중 요리
쿠빌라이 칸의 양고기, 주원장의 쌀밥
환관 요리의 역사
만한전석의 통치술
건륭제와 남방 요리
서태후 입맛의 비밀
4장 청나라 요리의 백화제방
궁중 요리, 거리로 나오다
산둥 대 남방의 격돌
사교의 장, 찻집
베이징 음식점 흥망기
최고 미식, 산둥의 자라 요리
서민 식탁에 오른 양고기와 오리 구이
뎬신(點心)의 발달
5장 공산당과 혁명의 맛
마오쩌둥과 문화혁명
끼니와 계급투쟁
음식과 혁명 정신
마오쩌둥의 매운맛, 저우언라이의 단맛
“사회주의에 성벽은 필요 없다”
혁명 요리, 반혁명 요리
베이징 음식 골목의 추억
대약진 운동과 대기근
6장 문화혁명과 평등의 맛
흥위병, 음식점을 접수하다
사라진 외식 문화
사회주의 개조 음식점 풍택원
중국 10대 요리 명인 왕이쥔
산둥 요리 대 상하이 요리
<해서파관>과 사라진 죽순 요리
‘맛없는 맛’의 시대
7장 부활하는 맛, 사라지는 맛
덩샤오핑과 맛의 개방
1989년 톈안먼의 수수께끼
베이징의 가정식 열풍
요리의 운명을 생각하다
8장 홍콩 요리, 중국 밖 중국 요리
반환의 날
홍콩 요리의 원점
광둥 요리의 뿌리
미식을 창조하는 ‘악’의 활력
9장 고추와 쓰촨 요리의 탄생
고추, 가장 참신한 쾌락의 맛
대항해 시대와 고추
“매운 것을 먹지 않으면 혁명을 할 수 없다”
둥베이, 조선족과 여진족이 만든 맛
덩샤오핑이냐, 마오쩌둥이냐
· 후기를 대신하여
· 추천사
· 옮긴이의 말
· 찾아보기